|
* (一) 述志 -吉再
臨溪茅屋獨閑居。(임계모옥독한거) 시내를 앞둔 초가에 한가로이 사니
月白風淸興有餘。(월백풍청흥유여) 흰 달, 맑은 바람, 흥취도 넉넉하여라
外客不來山鳥語。(외객불래산조어) 손님은 오지 않고 산새들 지저귀는데
移床竹塢臥看書。(이상죽오와간서) 대밭에 침상 놓고 누어서 책을 읽네.
* (二) 泮宮偶吟 -吉再
龍首正東傾短墻。(용수정동경단장) 龍首山의 정동쪽 기울고 낮은 담장과
水芹田畔有垂楊。(수근전반유수양) 물미나리 밭 언덕에는 버드나무 섰네
身雖從衆無奇特。(신수종중무기특) 사람들 가운데 내몸이 특이한 것 없으나
志則夷齊餓首陽。(지칙이제아수양) 의지만은 首陽山 백이숙제를 본받으려네.
*용수산(龍首山) : 개성에 있는 산 이름
* (三) 足夢中聯句 -길재
古今僚友身新變。(고금료우신신변) 고금의 동료들 신분은 새로 바뀌었으나
天地江山是故人。(천지강산시고인) 천지와 강산은 옛 친구 그대로 있다네
太極眞君應許我。(태국진군응허아) 태국진군은 응당히 나에게 허락하여 주겠지
仁心不老自靑春。(인심불허자청춘) 참(인)을 추구하는 마음은 늙지 않고 청춘이라고.
*낱말 1.족몽(足夢) : 사전에는 찾을 수 없고 詩의 제목으로 쓴 용례(用例)는 심의(沈義)의 <대관재난고(大觀齋亂稿)>에 ‘족몽접시(足夢蝶詩)’라는 제목이 있고, 이황(李滉)의 <퇴계집(退溪集)>에 ‘족몽중작(足夢中作)’이라는 제목의 詩가 있음.
* 2.태극진군(太極眞君) : 太極은 천궁(天宮)의 뜻이 있으니 眞君은 하느님, 곧 조물주의 뜻으로 쓴 것임.
* (四) 閑居 -길재
盥手淸泉冷。(관수청천냉) 차갑고 맑은 샘물에 양치질한 뒤에
臨身茂樹高。(임신수수고) 높은 나무 그늘에 몸을 맏겼는데
冠童來問字。(관동래문자) 어른이나 어린이들 글 배우러 오니
聊可與逍遙。(료가여소요) 그들과 그런데로 재미있게 살아가네.
* (五) 偶吟
竹色春秋堅節義。(죽색춘추견절의) 대나무 빛갈은 세월가도(春秋) 절의를 굳히고
溪流日夜洗貪婪。(계류일야세탐람) 시냇물은 밤낮으로 탐욕을 씻어가네
心源瑩靜無塵態。(심원형정무진태) 마음속은 깨끗하여 속된 티끌이 없으니
從此方知道味甘。(종차방지도미감) 이로부터 도의 진미가 아름다움을 알려네.
* 又
五更殘月窓前白。(오사잔월창전백) 새벽에 넘어가려는달 창앞에히게 빛이고
十里松風枕上淸。(십리송풍심상청) 십리뻗은 소나무 바람 잠 자리 맑게 하네
富貴多勞貧賤苦。(부귀다노빈천고) 부귀는 노력이 많이들고, 빈천은 괴로운데
隱居滋味與誰評。은거자미여수평) 숨어사는재미는 누구와 함께 따져볼거나?
* (六) 無題
曾讀前書笑古今。(증독전서소고금) 일찍이 옛 글 읽어 古今 알기를 좋아하고
愧隨流俗共浮沉。(괴수유속공부침) 세속 따라 부침 하는것을 부끄러워 하였네
終期直道扶元氣。(종기직도부원기) 바른 도리로 근본되는 기운을 붙들려 하였지
肯爲虛名役片心。(긍위허명역편심) 어찌 헛된 명예를 위해 마음을 쓰려고 했겠나?
默坐野禽啼晝景。(점좌야금제주경) 묵묵히 앉아 들새가 대낮에 울부짖음을 듣고
閉門官柳長春陰。(폐문관류장춘음) 문을 닫고 큰길에서 봄에 자라는 버들을 보네
人間事了須先退。(인간사료수선퇴) 인간세상의 일 끝나면 반드시 먼져 물러나야지
不待霜毛漸滿簪. (부대상모점만잠) 흰 머리털이 머리꽂이에 가득하기 전에 말일세
* (愧= 부끄러워할괴. 침=沈= 잠길침. 扶= 도울부. 肯= 즐길긍. 役= 부릴역.)
(禽= 날짐승금. 閉= 닫을폐. 漸= 점점점. 簪= 비녀잠. )
* (七) 謝監司南龜庵送酒
五湖仙藥到柴荊。(오호선약도시형) 오호의 신선 먹던술이 가난한 집에 오니
顚倒開緘手自傾。(전도개함수자경) 황급히 받아 편지 읽고 술동이 기울였네
病骨勝酣回壯骨。(병골승감회장골) 병든 몸은 술 힘을 빌려 씩씩한 기운찾고
衰情得醉返風情。(쇠정득취반풍정) 쇠약한 감정은 술에 취하자 호탕하게 됐네
家貧野蔌盛三豆。(가빈야수성삼두) 집이 가난하니 제사상에 야채만 세 그릇이고
市遠村醪奠一甁。(시원촌료전일병) 시장이 멀어 제사에도 막걸리 한병 뿐이었지
欲謝却嫌無謝地。(욕사각염무사지) 사양하려 하나 돌려보낼 지위도 못 되기에
但將蠅手祝遐齡。(단장승수축하령) 다만 작은 손모아 오래 사시기 기원 한다오
* (柴= 섭시. 顚= 이마전. 緘= 봉할함. 감=술즐길감. 수=나물수. 료=막걸리료.)
(奠= 제사지낼전. 甁= 병병. 염= 맑고 고울염. 蠅= 파리승. 遐= 멀하.)
*감상
1. 첫째 문제점 : ‘五湖仙藥到柴荊’의 오호는 중국 호남성 장강을 중심으로 그 주위에 동정호를 비롯하여 큰 호수 다섯을 말하는데 경상감사에게 술을 받고 오호선약이라고 한 것은 오호의 위치가 현재는 중국의 중부이지만 당시로 볼 때는 양자강 남쪽을 전부 남부로 보기 때문에 우리 경상도에 비유하여 쓴 듯하고, 또 한 가지는 춘추전국시대 월나라 모사 범려范蠡가 오나라를 통일한 뒤에 오호에 배를 타고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하므로 귀암선생을 범려에 비유하여 그렇게 했는지 모르겠음. 술을 약에 비유한 일은 흔히 술을 약주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알 만함.
2.둘째 문제점 : 3연聯의 속蔌자는 본문에 소蔬로 되었으나 평측이 안 맞기 때문에 의문을 달아 놓은 자로 여기서는 아주 고쳤음.
3.셋째 문제점 : 당시 경상감사 귀암 남재선생이 술과 함께 다음의 시를 보내었다고 하였으므로 첫연의 바깥 구 ‘顚倒開緘手自傾’에서 개함을 술 동이 뚜껑을 열었다고 해도 좋겠으나 시를 보내었을 때는 편지도 함께 보내었을 것이므로 편지 ‘봉투를 뜯다’로 풀이 했음. 그리고 당시 귀암선생이 보냈다는 시의 원문도 <귀정유고龜亭遺稿>에서 찾아 아래에 올렸음.
* 귀암(龜庵) - 남재(南在)
* 寄冶隱
掛冠有高士。(괘관유고사) 벼슬을 버린 고아한 선비 있으니
避世吉先生。(피세길선생) 현실을 피해 숨은 길재 선생일세
寂寞平時事。(적막평시사) 평상시에 할일이야 알려지지 않겠지만
流傳千古名。(유전천고명) 그이름 천고에 영원히 흘러 내려가리
烏山入簾碧。(오산입렴벽) 금오산은 주렴 안에 들어와 더 푸르고
鳳氷繞階淸。(봉빙요계청) 봉계의 얼음물은 뜰을 돌며 맑아지리
霜露春秋節。(상로충추절) 서릿발 없신여기는 춘추 시대의 절의
悠然不盡情。(유연불진정) 오래오래 끝나지 않는 정으로 남으리.
*괘관(掛冠) : 관직을 버리고 떠나는 것을 이른다. 후한(後漢) 때 봉맹(逢萌)은, 왕망(王莽) 이 자식 죽이는 것을 보고는 삼강(三綱)이 끊어졌다고 말하고, 즉시 동도성문(東都城門)에 관을 벗어 걸어 놓고 떠나버린 데서 온 말이다.
*南在先生 : 남재 [南在), 1351~1419] 본관 의령(宜寧). 자는 경지(敬之). 호는 구정(龜亭, 또는 귀암(龜庵). 초명은 겸(謙). 시호는 충경(忠景). 이색(李穡)의 文人. 이성계를 도와 조선개국에 공을 세운 功臣. 개국공신 1등에 책록되고 의성군에 봉해졌다. 후에 경상도도관찰사, 우의정, 영의정 등을 지냈다.
* (八) 與杏村李嵒
鳥則山飛魚則水。(오칙산비어칙수) 새는 산에서 날고 고기는 물에 살아
各隨其性世間斜。(각수기성세간사) 각각 그 본성으로세상속에 살아가지
如何園裏東風蝶。(여하원이동풍접) 동산 안에 봄 바람타고날라온 나비는
纔向紅花又白花。(재향홍화우백화) 뭣 때문에 붉은 꽃과 흰. 꽃만 찾아갈까?
* (재= 겨우재. 잠깐재.)
*이암李嵒 : 고려 시대의 문신·서화가(1297~1364). 자는 고운(古雲). 호는 행촌(杏村). 찬성사, 좌정승,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을 지냈다. 글씨에 뛰어나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리었으며, 그림으로는 묵죽(墨竹)에 능하였다.
* (九) 次朴貞齋宜中韻
朝別不朝峴。(조별불조현) 아침에 불조현에서 이별했는데
諸君何所之。(재군하소지) 그대들은 지금 어디로 가 있나?
丹忱由耿耿。(단침유경경) 잊지 못하는 순수한 그 마음으로
哀怨結絲絲。(애원결사사) 슬프다 원통함이 실처럼 이였지
夜色歸雲濕。(야색귀운습) 밤의어두움에 돌아가는 구름도 젖고
漏聲旅夢遅。(루성여몽지) 물 시계 소리에 나그네 꿈도 더디네
莫論忠烈士。(막론충렬사) 충렬을 가진 선비를 논평 하지 말라
義出死生期。(의출사생기) 의리는 죽고 사는 일을 초월한다네.
* (峴= 재갈현. 침= 믿을침. 耿= 빛날경. 怨= 원통할원. 漏= 셀 루. 遲= 더딜지.)
*박의중(朴宜中) : 고려 말기의 文臣(?~?). 자는 자허(子虛). 호는 정재(貞齋). 우왕 때에 밀직제학으로 명나라와 교섭을 벌여 철령위를 철폐하였으며, 공양왕 때에 한양 천도를 반대하여 陰陽設의 허황함을 역설하였다. 조선 왕조에 들어와서 《高麗史》를 편찬하였다. 저서에 《貞齋集》(정재집) 이 있다.
*부조현의 고사 : 고려(高麗)가 멸망하고 조선조(朝鮮朝) 태조(太祖)가 개국(1932년 7월)하자 고려의 유신(儒臣) 신규(申珪), 신혼(申琿), 신우(申瑀), 조의선(曺義先), 임선미(林先味), 이경(李瓊), 맹호성(孟好誠), 고천상(高天祥), 서중보(徐中輔), 성사제(成思齊), 박문수(朴文壽), 민안부(閔安富), 김충한(金忠漢), 이의(李倚) 등 72인의 충신들이 개성 동남방의 부조현(不朝峴)에서 조복(朝服)을 벗어 걸어 놓고 헌 갓으로 바꿔 쓰고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위치한 두문동(杜門洞)으로 새 왕조인 조선을 섬기지 않고 들어 갔다.
그 뒤 그들은 다시는 이 세상에 나오지 않고 여생을 보냈는데 후세의 사람들이 그들을 ˝두문동 72현˝이라고 부르며 칭송하고 있다. 야은도 여기에 속한 다.
* (十) 贈洪可臣
人間悲白髮。(인간비백발) 인간 세상에 백발 되는것을 슬퍼하며
閉戶落寒梅。(폐호낙한매) 문을 닫고 있자니 찬 매화가 떨어젔네
京友斷書札。(경우단서찰) 서울 친구와는 편지도 끈어졌지만
山禽猶往來。(산금유왕래) 산새만은 그래도 오고 또 간다네.
* 홍가신(洪可臣) : 조선 선조 때의 문신(1541~1615). 자는 흥도(興道). 호는 만전당(晩全堂). 1589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 후 파직되었다가 1594년 홍주 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여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고 청난공신이 되었다.
* (十一) 感懷
滄海千千頃。(창해천천경) 창해 바다는 수천 이랑으로 넓고
長城萬萬重。(장성만만중) 장성 성담은 수만 겹으로 길다네
信舟來去地。(신주거래지) 배에 몸을 맏기고 오가는 동안에
一夢侍天容。(일몽시천용) 한결같이 꿈속엔 임금을 모셨네.
* (滄= 찰 창. 頃= 잠깐경. 侍= 모실시.)
* (十二) 次圃隱朴松隱畫像韻
鳳目虎眉十尺身。(봉목호비십척신) 봉황새 눈에 범의 눈섭, 열자 되는 키에
淡紅半白兩相眞。(담홍반백양상진) 담홍의 얼굴, 반백 머리는 실제와 같네
畫圖省識先生面。(화원성식선생면) 그림에 알수있는건 선생의 얼굴이지만
不死精神影裏人。(불사정신영리인) 불사의 정신은 그림속에 숨어 있다네.
*박익 (朴翊), [1332~1398] 본관 밀양(密陽). 호 송은(松隱). 공민왕 때 동경판관(東京判官)·예부시랑(禮部侍郎)·중서령(中書令)·세자이사(世子貳師) 벼슬을 지냈다. 고려 말기의 충신. 공양왕 때 상장으로 강회중과 함께 남정북벌에 공이 컸다. 고려 망국 후 은거, 저술에 전념했다. 태조 이성계가 공조판서로 임명했으나 불응, 고려 유신의 도리를 다했다.
* 原韻,- 圃隱
畫出長髥十尺身。(화출장염십척신) 그림으로 그린 긴 수염, 열자나 되는 키는
看來尤得兩容眞。(간래우득양용진) 볼수록 그림속의 얼굴이 실재와 더욱 같네
莫言公道無形跡。(막언공도무형적) 공이 구한 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하지 말게
死後猶存不死人。(사후유전불사인) 공이 죽은 뒤에도 그림과 함께 남아 있을 태니.
* (髥= 구렛나루염. 尤더욱우. 跡= 발자취적.)
*정몽주(鄭夢周) : 고려 말기의 충신·유학자(1337~1392). 초명은 몽란(夢蘭)·몽룡(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오부 학당과 향교를 세워 후진을 가르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았다. 명나라를 배척하고 원나라와 가깝게 지내자는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받들었다. 문집에 《포은집》이 있다.
* 松隱先生- 和韻
看來誰道畫中身。(간래수도화중신) 보고 있자니 누가 그림속의 사람이라 하겠나
影裏難分兩貌眞。(형리난분양모진) 그림과 내 몸 두 얼굴이 분간하기 어려운 것을
氣質蒼蒼流面目。(기질창창류면목) 나의 기질이 얼굴 모습에 뚜렸이 흘러 나오니
能傳後世視今人。능전후세시금인) 뒷 세상에서 오늘의나를 능히 볼수 있겠네.
* (貌= 모양모. 蒼= 푸를창. )
* 卞春亭 季良 次韻
豐厚形容德潤身。(풍후형용덕윤신) 넉넉한 얼굴 모습, 덕을 쌓아 이뤄진 윤기인듯
看看優得出天眞。(간간우득출천진) 보면 볼수록 타고난 천진함이 나타나 있다네
眉長過目髥垂膝。(미장과목염수슬) 눈섭은 눈을 덮고 수염은 무릅까지 내렸으니
兩對難分影外人。(양대난분형외인) 서로 대어 보아도 사람과 그림 분간키 어렵네.
* (潤= 윤택할윤. 髥= 구렛나루염. 膝= 무릅슬. 眉= 눈섭미.)
*변계량(卞季良), [1369~1430] 본관 밀양. 자 거경(巨卿). 호 춘정(春亭). 시호 문숙(文肅).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의 문인.
*작자소개
*길재 [吉再, 1353~1419] 본관 해평(海平). 자는 재보(再父). 호는 야은(冶隱) ·금오산인(金烏山人). 시호는 충절(忠節). 금주지사 (錦州知事). 원진(元璡)의 아들. 구미 출생. 1363년 냉산(冷山) 도리사(桃李寺)에서 처음 글을 배웠으며, 1370년 박분(朴賁)에게 《논어》.《맹자》를 배우면서 성리학을 접하였다. 관료로 있던 아버지를 만나러 개경에 갔다가 이색(李穡) ·정몽주(鄭夢周) ·권근(權近) 등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1374년 생원시(生員試)에, 1383년(우왕 9년) 사마감시(司馬監試)에 합격하고, 그해 중랑장 신면(申勉)의 딸과 결혼하였다.
1386년 진사시에 합격, 청주목(淸州牧) 사록(司錄)에 임명되나 부임하지 않았고, 다음해 성균학정(成均學正)이 되었다가, 1388년에 순유박사(諄諭博士)를 거쳐 성균박사(成均博士)로 승진하였다. 1389년(창왕 1) 문하주서(門下注書)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고려의 쇠망을 짐작하여 늙은 어머니에 대한 봉양을 구실로 사직하였으며, 고향으로 가는 길에 장단에 있던 이색(李穡)을 만나기도 하였다. 1390년 계림부(鷄林府)의 교수가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우왕의 죽음을 듣고 마음으로 3년상을 행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뒤 1400년(정종 2년)에 이방원(李芳遠)이 태상박사(太常博士)에 임명하였으나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뜻을 말하며 거절하였다. 1402년(태종 2)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불교식 장례법을 따르지 않고 성리학적 가례(家禮)를 따랐다. 세종이 즉위한 뒤 길재의 절의를 기리는 뜻에 그 자손을 서용하려 하자, 자신이 고려에 충성한 것처럼 자손들은 조선에 충성해야 할 것이라며 자손들의 관직 진출을 인정해주었다.
어머니에 대한 효도가 지극하며 세상의 영달에 뜻을 두지 않고 성리학을 연구하였기 때문에 그를 본받고 가르침을 얻으려는 학자가 줄을 이었으며, 김숙자(金叔滋)를 비롯하여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정여창(鄭汝昌) ·조광조(趙光祖) 등이 학맥을 이었다. 청풍서원(淸風書院)에 제향되었다. 문집에 《야은집》 《야은속집(冶隱續集)》, 언행록인 《야은언행습유록(冶隱言行拾遺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