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럭비의 용어해설
그라운딩더볼(grounding the ball) ① 손 또는 팔뚝에 갖고 있는 볼을 땅바닥에 내려놓는 것. ② 지상에 있는 볼을 손, 팔뚝, 또는 전반신 중 목에서 허리 사이로써 덮치는 것. 노사이드(no side) 경기 종료를 말함. 녹온(knock on) 볼을 플레이어의 손 또는 팔뚝으로 상대의 데드볼라인 방향으로 추진되어지거나, 손 또는 팔뚝에 부딪쳐서 데드볼라인 방향으로 나가는 것. 낫스트레이트(not straight) 투입 된 볼이 직선이 아닌 반칙을 말한다. 라인아웃드로우인에서는 이 반칙에 대해 상대측은 재투입이거나 터치라인에서 13.5m (15yd)의 지점에서 스크럼을 짜거나 어는 한쪽을 선택할 수 있다. 단 어드밴티지 룰이 적용된다. ②세트 스크럼에의 볼토입에서는 반칙 장소에서 패널티 킥이 주어진다. 커닝볼이라고 속칭될 때도 있다. 낫인(not in) 스크럼에 볼을 투입할 때 정당하게 볼이 들어가지 않고 재투입을 레퍼리에게 명령받는 것. 낫 텐 야드(not 10 yards) 킥오프 때 볼이 9m(10yd) 지점까지 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대는 재차 킥 오프를 시키거나 하프웨이라인의 중앙에서 스크림을 짜거나 어느 한 가지를 택할 수 있다. 단, 상대가 낫 텐 야드의 볼을 플레이하면 게임은 계속된다. 낫 파이브 야드(not 5 yards) 라인아웃일 때 볼이 4.5m(5yd)에 달하지 않는 반칙을 말한다. 어드밴티지 룰이 적용되지 않는 한 상대는 드로우인의 재투입이거나 13.5m(15yd) 지점에서 스크럼를 선택할 수 있다. 다이렉트터치(direct touch) 킥한 볼이 땅바닥에도 플레이어에게도 닿지 않고 직접 터치로 나오는 것을 말함. 이로써 럭비 본래의 오픈플레이를 조장시키고자 하는 룰인데 1969년도부터 국제 룰이 되었다. 다이빙패스(diving pass) 스크럼 하프가 주로 사용하는 패스. 지상의 볼을 집어드는 동시에 몸을 공중으로 내어 던지고 그 기세로 패스하는 기술. 더미(dummy) 패스를 할 태세를 취하고 최후의 순간에 볼을 손에서 놓치지 않고 도로 돌려놓아 상대를 어지럽혀 빼는 동작을 말함. 더블린시스템(dubin system) FW를 7명으로 하고 나머지 1명을 세븐에이트로 해서 박스를 증가하는 방식. 이는 영국의 더블린 대학에서 만들어진데서 그 이름이 연유한다. 데드(dead) 볼이 그 동안 경기밖에 있음을 의미한다. 즉 레퍼리의 호루라기가 경기의 일시 정지를 지시하기 위해서 울렸을 때 또는 트라이 후의 고울 성공의 뒤를 말한다. 드로우포워드(throw foward) 볼을 상대의 테드볼 라인 방향으로 패스하는 것. 토스(toss) 경기 개시 전에 쌍방 주장은 「가위 바위 보」나 동전을 던져 올려 킥오프를 하든가 사이드를 취하든가 결정하는 일. 튀케남(twickenham) 1910년 1월 15일에 개장한 세계 최초의 럭비 전용 그라운드로서 런던에 있다. 러크(ruck) 루스스크럼을 이름. 지상에 볼이 있고 그 둘레에 쌍방 1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몸을 밀착한 상태를 말함. 몰(maul) 쌍방 1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밀집해서 모이고, 볼이 한쪽에만 지배당하는 플레이(패스킥)를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브레이크(break) FW가 스크럼을 푸는 것을 말한다. 블라인드사이드(blind side) 스크럼의 위치에서 보아 터치라인까지의 좁은 쪽 사이드. 블루(blue) 옥스퍼드 대학과 케임브리지 대학의 대항전에 출전한 정선수를 블루라고 부른다. 영국서는「그는 블루다」라고 하면 훌륭한 학생으로서 또 인격 고상한 젠틀맨으로서 매우 존경을 받는다. 세븐시스템(seven system) FW를 7인으로 하는 포메이션. 주로 3-2-2, 2-4가 채택된다. 2-3-2의 포메이션은 현재 규칙상 금지되어 있지만 1905년 뉴질랜드의 올블랙스가 영국 원정을 처음 했을 때 33전 32승 1패의 호성적을 올리는 데 사용된 독창적인 시스템으로서 유명하다. 스윙플레이(swingplay) 「흔들어 놓기 전법」이라고도 한다. FW에게서 힐아웃된 볼을 재빨리 복스로 돌려놓고 태클당하면 FW는 이번에는 러크나 몰을 짜서 반대측 오픈사이드로 패스 공격을 걸어 좌로 우로 패스 공격해서 상대의 방어진을 흐트러뜨리고 트라이하는 전법 스크럼트라이(scrum try) 스크럼 속에 볼을 커트한 채 상대의 인고울로 밀어넣어 그라운딩했을 때의 트라이. 시저스(scissors) 자기 편끼리 서로 반대방향으로 달려나와 크로스할 때 패스를 하는 기술. 그 모양이「가위」를 닮았기에 이 명칭이 있다. 액시덴털오프사이드(accidental off side) 볼을 가진 프레이어가 우연히 자기편 오프사이드의 플레이어에 부딪쳤을 경우. 언윌풀오프사이드(unwillfull off side) 볼을 가지고 전진하는 플레이어가 전방의 자기편에게 무의식적으로 닿았을 경우. 반칙 지점에서 스크럼. 업앤드언더 전법(up and under method) 높은 킥을 수직으로 올려 그 체공 시간을 이용해서 이를 받으려고 하는 상대에게 접근하고 상대가 받아들자마자 맹렬한 태클로 이를 쓰러뜨리고 그리고 쇄도해들어가 볼을 획득해서 공격하는 전법. 뉴질랜드의 올블랙스 팀이 잘 쓰는 전법이다. 워크라이(war cry) 뉴질랜드 팀이 원주민 마오리족의 승리의 춤에서 힌트를 얻은 것을 게임 개시 전 사기를 돋우기 위해서하는 환호성의 춤. 웨지(wedge) 상대의 밀집 속으로 쐐기를 박는 FW 집단의 기술. 올블랙스(all blacks) 뉴질랜드의 대표팀의 명칭. 저어지, 팬츠, 스터킹 등이 모두 흑색이기 때문에 생긴애칭. 오브스트럭션(obstruction) 방해 행위. 차아지(charge) 볼을 갖지 않은 상대를 방해하는 반칙. 캐리백(carry back) 필드오브플레이에서 볼을 자기 편 인고울로 들고 들어와 데드가 되었을 경우를 이름. 커닝볼(cunning ball) 세트스크럼 내에 볼을 투입할 때 자기편에 유리하도록 굽혀서 투입하는 일의 속칭. 정확하게는 낫스트레이트(not straight) 콘버트(convert) 고울인한 볼이 크로스바 위를 완전히 넘어서 들어가는 것. 페널티트라이(penalty try) 방어측의 부정한 플레이 또는 불법적인 방해가 없으면 의심할 여지 없이 트라이가 얻어졌을 것이라고 레퍼리가 인정했을 경우에는 인정 트라이가 고울포스트 바로 밑에 주어진다. 페어캐치(fair catch) 상대의 킥, 드로우포워드, 노크온 등의 볼을 직접 캐치하고 동시에「마크」라고 외쳐 두 발이 지상에 있는 상태일 때 페어캐치가 성립되고 프리킥이 주어진다. 풋업(foot up) 스크럼 속의 볼을 후킹할 때 규정보다 빨리 움직이는 반칙으로 페널티킥이 주어진다. 프로프(prop) FW가 세트스크럼을 짰을 때 프론트로우 양측에 위치하는 플레이어를 이르며 스크럼「지주」라는 뜻. 프리킥(free kick) 페어캐치에 대해 주어지는 킥으로서 그 킥은 플레이스 킥, 드롭킥, 번트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픽업(pick up) 지상의 볼을 집어드는 행위. ①전속력으로 집어드는 기술이 필요. ②스크럼이나 러크 속에 있는 볼 및 태클당한 후 일어서지 않고 집어드는 것은 반칙으로서 페널티 킥이 부과된다. 필드오브플레이(field of play) 경기를 하는 장소를 이름이며 곧 라인과 터치라인에 에워싸인 지역. 단, 고울라인과 터치라인은 포함되지 않는다. 헤드기어(head gear) 머리나 목을 보호하기 위해서 머리에 뒤집어쓰는 것으로 부드러운 가죽이나 나사로 만들어졌다. 헬드(held) 볼을 끌어안는 일. ①태클이나 세이빙 뒤에 언제까지나 볼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반칙에 대해 페널티가 과해진다. ②인고울에서 완전히 상대가 가지고 있는 볼을 끌어안고 트라이하지 못하도록 했을 경우는 고울라인 4.5m(5yd)의 지점에서 스크럼이 되며 공격측의 볼. 휠링(wheeling)볼을 스크럼 속에 넣은 채 스크럼을 회전시키면서 드리블 러시하는 공격법. |
내용출처 : http://movsvr.sportal.or.kr/dictionary/6/50.htm |
첫댓글 생소하고, 복잡하네요..^^'' 감사드려요. 좋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