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모든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전산화된 정보시스템을 일컫는다. 먼저 ERP 시스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ERP 시스템이 발전해온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ERP 시스템은 1970년대의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시스템과 1980년대의 MRP II(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을 모태로 하고 있다.
MRP 시스템은 "자재소요량 계획"이라고 불리우는데, 제품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 즉 구입품, 가공품, 조립품 등을 대상으로 한 자재계획 및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제조정보관리 시스템이다. MRP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 자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품목정보, 제품구성정보(BOM, Bill of Materials), 표준공정도(Routing Sheet) 등의 기준정보와 기준생산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재고 정보 등의 관련정보가 필요하다. MRP 시스템에 필요한 입력자료의 흐름과 결과보고서는 그림 1과 같다. 1970년대의 제조환경은 소품종 대량생산 형태였으나, 1980년대에 이르러 다품종 소량생산의 형태로 전이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제조업체에서는 품질관리를 위하여 공정데이타 수집이 자동화되었고, 고객에 대한 서비스향상을 위하여 수주관리, 판매주문관리 등의 기능이 보다 중요하게 되었고, 재무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변한 제조환경하에서 MRP 시스템은 큰 변화를 맞게 되었다. 기존의 MRP 시스템이 갖고 있는 기능외에 앞서 언급한 자동화된 공정데이타수집, 수주관리, 재무관리, 판매주문관리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제조자원의 활용을 계획하고 관리" 할 수 있는 MRP II 시스템이 탄생하게 되었다.
1990년대는 컴퓨터 및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Network 기술의 발전과 대중화가 실현된 시기로서 기술환경의 급변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급변기 속에서 기업들은 생산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원가 및 품질경쟁력의 재강화, 품질향상, 물류시스템의 체계적 운영 등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합정보시스템 즉 ERP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게 되었다. ERP 시스템은 기존의 MRP, MRP II 시스템의 단점인 비유연성을 최소화하였고, 신기술인 객체지향기술, 분산 데이터처리, 개방형 구조, Light Sizing 등을 받아들여 분산화되고 개방화된 시스템으로 탄생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