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묘기초를 배우시는 학생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전달력이 소극적으로 이뤄질 수 밖에 없는 제한된 공간이지만
나름대로 발악을 했으니......
혹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질문 주시길 바랍니다.휴~~~~~
형태를 잡는 방법 계측법 : 가늠자(계측자-연필 등)를 이용하여 대상의 비례관계를 측정 목측법 : 눈으로 대상의 양(크기)이나 위치 등을 측정(파악) 혼용법 : 계측법과 목측법의 혼용
형태는 입시소묘(시간대 소묘)에서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대상의 특징과 구도, 조형적 구조적인 형태를 파악하고 표현해야 합니다. 4시간 시험을 기준 한다면 30분 정도의 시간내에 형태를 잡아내야만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올바른 습관과 목측법의 훈련이 충분하게 습득 되야 할 것입니다.
빠른 속도를 위해서는 눈으로 빠르게 읽어 나가는 습관이 필요할 것입니다. 형태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겠지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좋겠죠...... 석고의 종류, 위치등에 따라 응용된 형태의 방법이 필요하지만, 이번에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 중의 하나를 소개할까 합니다.
다음의 과정에서 궁금하신 부분들이 있다면, 즉시 질문을 올려주시길 바랍니다.
1.화지를 세로로 2등분, 4등분 혹은 8등분합니다.(4등분이 무난함)
2.
다음은 화지의 가로 2등분 중심점을 표시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석고상의 세로를 잘 측정하지만, 가로의 중심을 파악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것을 자주 접하고 있습니다. 대형석고상의 경우 가로중심점이 불필요 하지만 기본석고나 중형석고의 경우 화면의 구도와 안정된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꼭 화지의 가로 중심점과 석고상의 가로 중심을 파악하길 바랍니다.)
3.
좌우(가로)의 중심점이 어느 정도에 정착하는지를 설명하는 그림입니다. (여기에서는 약간의 요령이 필요한데 A와 B의 길이가 같으므로 그 중심점이 석고상 가로의 중심점이 되는 것입니다. 선이 그어진 곳에서 측정을 하였는데..... 결국은 허공에서 측정하였지만 석고상 좌우측의 가장 정점(둘출부)의 수직 연장선 이므로 석고상의 좌우측 정점끼리의 중심점을 측정 한 것입니다.) (이 자리에서 좌우측의 정점이 양쪽의 어께이므로 그것의 전체길이를 측정하여 세로에 대입하는 방법도 있으나......결국 같은 것이므로 별반 차이는 없습니다.)
4.
석고상 세로를 계측봉을 이용하여 2등분(턱 부위), 4등분(코의 비골부위-위) (가슴의 쇄골 부위-아래)하여 위치를 파악하여 화지에 표현합니다.-계측법사용)
5.
석고상 세로비례를 4등분 후, 좀더 상세한 세부 위치를 파악합니다. (머리카락, 이마, 미간, 코, 인중, 윗입술, 아랫입술, 턱, 목, 가슴 등....목측법사용)
6.
석고상의 세로를 측정하고 표현한 후, 석고상 좌우의 돌출부를 기준으로 머리의 좌우 양을 파악합니다.(좌우 정점-화지에 어깨의 연장선을 수직으로 그은 후..... 사진의 그림과 같이 계측봉을 이용하여 좌우측 정정돌출부에 수직으로 세워서 머리가 시작되는 그 사이 빈 공간의 양을 목측법으로 대충 파악하고 화지에 그 공간의 양을 옮겨 표현합니다.-목측법 사용)
7.
계측법을 이용한 방법이며......석고상 좌우의 가로중심(A=B)이 턱의 중심에서 미간 윗부분까지 길이(C)와 동일하므로 좌우의 폭을 C의 양만큼 표현하면 됩니다.
8.
외곽에서 내부로의 진행-외곽의 세부 위치를 파악합니다. (귀, 어깨, 등 각 정점을 기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계측자를 수직 수평으로 측정하며 위치를 파악합니다.)
9.
내부(중심부-이목구비를 기준)에서 외부로 진행-목측을 이용한 부분들의 양을 측정하여 위치를 표현
10.
위의 사항들을 기준 하여.....형태를 그려 가는 순서입니다. 형태는 가능한 직선들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표현하는 게 바람직하며 부분적인 표현 보다는 전체적인 비례와 양의 파악에 주의하고, 세부적인 작은 면보다는 큼직한 면들의 구조적인 표현, 그리고 명암을 기준 하여 음영 표현에 주력하여 정리시켜 나가면 큰 무리가 없을 것입니다.
수업시간 중에 바쁘게 그린그림이라.....
형태이미지가 약하게 나오고 말았군요.....^___^*
머.....대충 이런 식으로 하면 될듯합니다....
기초반들여......야망을 가집시다...홧팅!!!!!
결국 형태의 단계에서 표현되어야할 사항은 석고상의 전체 형태와 간략한 구조적 정리, 석고상의 이미지, 그리고 빛의 방향과 음영상태입니다. 이것은 그 다음의 순서인 착색과정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글로써 이해를 구한다는 것이 무척 힘들군요......^_____^*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글을 올려주시길 바라며 이만 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