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제목: 육임 설계원리와 해석법]
* 아래의 인터넷 주소에 커서를 놓고서 왼쪽 마우스를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가 새 창으로 뜹니다.
(1)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0738677
(2)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09202511
(3) 예스24: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6991605
(4) 부크크: https://www.bookk.co.kr/book/view/160348
[도서 정보]
이 책은 양력 2019년 12월 7일부터 시작하여 2021년 3월 24일까지 35강으로 진행된 서흠 이승재 선생님의 육임 강의에 기초하여 금역 김진석이 공동으로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는 상수학(象數學)적 원리를 기본부터 세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그리고 현존하는 자연과학 지식의 도움으로 육임의 설계원리를 규명하고 이에 부수하는 해석법을 도출하였다.
이 책이 최종적으로 목표한 바는 전설상으로 구천현녀(九天玄女)님이 황제에게 내려주었다는 육임(六壬)의 정확한 복원이다. 여기에 더하여 역학이 형이상학이 아니라 연역과 귀납의 논리에 따른 관찰, 이론 도출, 실제 사례로 시험 및 평가하며, 재현 가능한 과학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제1부에서는 이 책을 읽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 지식을 설명한다. 공시간좌표계(空時間座標系)와 시공간좌표계(時空間座標系)의 개념, 오행양음(五行陽陰)과 양음오행(陽陰五行)의 개념, 오행생극(五行生剋)과 진생진극(眞生眞剋)의 개념을 설명한다.
제2부에서는 육임 해석법 무작정 따라하기를 통하여 육임의 전체적인 모습을 개관하여 볼 수 있게 하였다.
제3부에서는 23개의 장에 걸쳐서 육임의 설계원리와 해석법을 규명하였다. 대부분의 장에서 독창적으로 원리를 규명하고 증명하면서 논리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이 책에서 참고한 서적으로는 과학역연구소에서 출간한 과학적탐구 시리즈 정도이다.
굳이 제1부와 제2부를 앞에 둔 이유는 대부분의 독자는 사주명리학을 먼저 접하고 공부하였다고 생각하여, 육임과 사주명리학 간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개념을 먼저 설명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현대 수학에서 사용하는 좌표계의 개념과 물리학의 공간운동, 시간운동에 대해서 깊이 설명한 것은 육임이 하나의 학문 분야로 체계화 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인문사회 > 인문 |
저자: 서흠 이승재, 금역 김진석 |
종이책 |
421 Pages |
표지-컬러, 내지-흑백 |
B5 |
부크크 |
9791141010034 |
2023.01.06 |
[목차]
제1부 최소한의 필수 지식
공시간좌표계와 시공간좌표계의 개념
오행양음과 양음오행의 개념
오행생극의 개념과 진생진극의 개념
제2부 육임 해석법 무작정 따라하기
제1장 사과 작성 및 해석 무작정 따라하기
제2장 삼전 작성 및 해석 무작정 따라하기
제3부 상세한 육임의 설계원리와 사용법
제1장 육임의 설계 개념과 구성요소
우주란 무엇인가?
공시간과 시공간의 개념
육임의 설계 개념과 구성요소
제2장 육임과 두병소지 및 28수, 월장과 월장가시의 개념
육임과 두병소지
육임과 28수
자미두수와 육임
공간대칭의 두 좌표계(부찰지리좌표계와 앙관천문좌표계)
월장의 개념과 월건
육임의 천지반도 좌표계와 월장가시의 개념
월장의 심화 탐구
제3장 천지반도 작성과 일간기궁 및 음신
천지반도 작성
둔간의 결정
점학의 두가지 원리
일간기궁
일진식반과 생년간지식반
음신의 이면
왜 사과이고 삼전인가?
제4장 육임의 좌표계, 12천장
육임의 좌표계
육임은 겉은 ‘공시간좌표계’ 속은 ‘시공간좌표계’
육임식반의 기초적인 해석의 예
12천장
시진, 월장, 천장의 관계
제5장 천을귀인, 12천장 및 류신
살성과 길성의 설계
천을귀인의 설계 원리
천을귀인의 정위반
천을귀인의 위치 결정 및 12천장 붙이기
12천장의 류신
12지지의 류신
12천장 류신과 천신류신을 활용한 육임 과반해석의 예
제6장 12천장의 양음오행, 주귀 및 야귀의 개념
12천장 정위반과 양음오행의 대응관계
기존 12천장 체계와의 차이점
주귀와 야귀로 나누는 의미
육임에서 발용의 기본 개념
제7장 육임해석법의 기초 및 예제 해설
육임 해석법의 기초
자미두수 명궁의 물리적 실체
육임 월장가시의 물리적 실체
자미두수 명궁은 지구의 공전과 자전의 각운동량의 합성
월장가시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의한 태양의 상대적 위치
일진으로 월장 단위를 세분화
월장가시는 좌표계
일주로 둔반을 만드는 의미
육임과 기문둔갑의 궁성 비교
제8장 앞장 예제의 상세한 해설 119
상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예제의 출력
힘의 계산 프로토콜 공통 사항
일간기준 제1과와 제2과의 힘의 계산 프로토콜과 상세 해설
일지기준 제3과와 제4과의 힘의 계산 프로토콜과 상세 해설
제9장 힘의 계산과 초전 선택의 원리
일간, 일지와 과상신인 천반성의 힘의 계산
일간과와 일지과의 계산방향을 양일과 음일로 나누어서 따져야 하는 이유
일간과와 일지과의 계산방향을 위한 실전 예제
12천장의 힘의 계산 여부 및 의미
초전에 올릴 과의 선택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
제10장 행년, 12신살 및 수직적오행과 적용 예제
행년을 적용하는 방식
팔괘로 행년을 정하는 방식
육임에서 12지지좌표계로 행년을 정하는 방식
십이신살과 수직적오행
육임에서 사용되는 신살에 대한 통찰
일지신살(4가지): 역마, 도화, 겁살, 파쇄
파쇄의 원리
월지신살(3가지): 천마, 생기, 사기
천마의 생성원리
생기, 사기의 생성원리
년지신살(4가지): 세파, 조객, 상문, 병부
예제 10-01_2012.06.13_10_46_남_음력 본인 휴대폰으로 부고
예제 10-02_2009.07.22_10_12_남_양력, 대형 교통사고
예제 10-03_2006.08.28_22_15_여_양력, 부고
제11장 12신살이 적용된 예제
예제 11-01 교통사고, 행년과전과 신살로 상황이 잘 나타난다
예제 11-02 교통사고, 행년과전과 신살로 상황이 잘 나타난다
제12장 육임의 약점과 발전 방향 및 삼전 10과체 요약
점학의 약점과 년의 간지가 반영된 점학의 모색
육임의 위상과 발전 방향
예제 12-01 권고사직의 예
전통적 삼전 10과체의 기본 개념
예제 12-02 권고사직의 예
삼전 작성을 위한 10과체 설명 요약
삼전 해석을 위한 신살, 12천장 및 류신의 쓰임
제13장 육합오행, 발용 원리, 천반지반월건의 반응 모델, 차객법
육합오행의 개념
육임에서 거울대칭을 통한 좌표계의 변환
육임은 공시간으로 기능하는 12지지를 이용한 술수
육임은 역학원리의 보고
극으로 발용하여 초전으로 올리는 이유
천반, 지반, 월건의 반응 모델
사과 천반성 끼리의 생극에 대한 해석의 문제
육임에서 차객법의 적용
제14장 크기성질의 외부지향적 해석 모델
크기성질의 외향적 해석 모델 개요
오행 생극의 논리
차객법의 실제
예제 14-01 아파트 매매, 차객법
궁성론과 성성론의 문제
크기성질의 외향적 해석 모델
제15장 세기성질의 내부지향적 해석법과 상담 사례 및 상세 해설
예제 15-01 채용에 관한 상담
예제 15-02 본인 부주의로 현금 망실
예제 15-03 음주정사 및 성폭행으로 고소협박 합의금
예제 15-04 아파트 매수
예제 15-05 돈의 융통 여부 문의
예제 15-06 돈의 융통 여부 문의(15-05와 동일인)
예제 15-07 돈의 융통 여부 문의(15-06과 동일인, 차객법)
천신/천장별 사람과 관련된 류신
제16장 복음과 및 자동차 류신(묘)의 상세 해설
주역의 선천팔괘와 후천팔괘에서 도출된 천신류신
일진과전, 본명과전, 생년천간 삼전, 생년지지 삼전, 관련상수 삼전으로 최대한 많은 정보 추출
예제 15-1 교통사고
통기와 통근의 차이점
육임이 잘 맞는 이유
복음과의 특징 및 형과 충을 적용하여 삼전을 뽑는 방식
복음과 삼전의 해석
생년천간 삼전의 예
생년지지 삼전의 예
관련상수 삼전의 예
육임의 난수괘
예제 16-2 남편과 차의 향방은?
예제 16-3 신차를 주문
통기와 통근의 명확한 개념
제17장 삼전의 원리와 해석법 및 과체
육임의 공리
삼전을 위한 과체의 분류 원칙과 개요
삼전을 위한 과체의 분류별 삼전조식법
삼전조식을 위한 주요한 원리들
예제 17-1 단풍나무 조경수 농사가 힘들다
예제 17-2 공부가 잘 안 된다. 재수학원을 옮길지 여부
예제 17-3 묘소 이장 문의
제18장 삼전의 재분류 및 별책과 탐구
삼전조식의 큰 원칙
천반, 지반의 재검토 및 월량시진의 개념
새로운 원칙은 극우선 비차선이다
큰 원칙에 따른 10과체의 재분류
양일의 별책과 삼전조식 연구
음일의 별책과 삼전조식 연구
제19장 별책과와 팔전과 탐구
별책과 무진일(양일)
별책과 신유일(음일)
팔전과 조식 방법
팔전과 경신일(양일)
팔전과 정미일(음일)
복음과의 조식방법
복음과 탐구
제20장 기본으로 회귀-복음과와 반음과 탐구
삼전의 이해를 위해서 육임의 원리로 회귀
좌표계 자체의 거울대칭 변환
좌표계 안에서 성계의 거울대칭 변환
육임은 기본적으로 좌표계와 좌표계의 문제
별책과, 팔전과, 복음과 및 반음과의 핵심
제21장 삼전을 뽑는 방식 탐구: 기존의 오행생극인가, 진생진극인가?
육임 원리의 재검토
삼전은 양음오행의 진생진극으로 뽑을 수도 있다.
일간과와 일지과로 나누는 이유
복음과와 반음과의 비교 탐구
제22장 차객법, 공망 및 복음과의 심화 탐구
차객법의 심화 탐구
월지(월령)와 지지궁이 공간좌표계 일주에 의해 규정
공망과 월지(월령)의 심화 탐구
복음과의 심화 탐구
제23장 7개의 예제를 통한 해석법의 실제
예제 23-01 친구에게서 연락이 뜸하여 화난 상태로 내일 회의에서 파국 발생 여부(팔전과+원수과)
예제 23-02 우물에서 물이 나오지 않는다(복음과)
예제 23-03 여자 아르바이트생 후보 (미채용 권고)
예제 23-04 여자 아르바이트생 후보 (채용 권고)
예제 23-05 여자 아르바이트생 채용여부 문점
예제 23-06 코의 물혹 제거 수술 여부
예제 23-07 환청으로 소아심리학과 상담 중 신병여부 문의
맺음말
[저자]
(1) 금역(金易) 김진석
경남 진주의 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천문학과 학사의 학습과정을 거쳤다.
1983년부터 2021년까지 크게 컴퓨터, 무선데이터통신, 전력관련 시스템 분야에서 엔지니어와 시스템 개발자로서 산업현장에서 일해 왔다. 기업의 기술연구소장직을 끝으로 현재는 은퇴하여 열심히 역학을 연구하고 있다.
2010년에 금역만세력 프로그램 초판을 개발하였고, 2023년 현재 버전 5.2.9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금역만세력을 업그레이드 해오고 있다. 2011년에는 하락리수(河洛理數)를 완역하여 금역만세력 프로그램 내에 하나의 기능으로 포함하였다.
2016년부터 2023년 현재까지 과학역연구소에서 자미두수, 기문둔갑홍국수, 연국기문, 구성기학, 사주명리, 육효, 육임을 공부해오고 있다. 공부를 해 오면서 과학역연구소의 성과를 금역만세력 업그레이드에 적용하고 있다.
(2) 서흠(諝欽) 이승재
충남 보령의 대천고등학교, 고려대 생명과학부 학사, 고려대 생명공학원 생물공학 석사, 대전대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의 학습 과정을 거쳤다. 또한 2007년에 대한민국의 과학역연구소를 설립하였다.
[저서]
『역학 원리를 과학으로 분석한 구성기학』, 동학사, 2011
『구성기학 실전사례』, 동학사, 2012
『하도낙서의 과학적 탐구』, 도서출판 미래터, 2016
『팔괘의 과학적 탐구』, 도서출판 미래터, 2016
『자미두수의 과학적 탐구 - 원리편』, 도서출판 미래터, 2017
『자미두수의 과학적 탐구 - 실전편』, 도서출판 미래터, 2018
『사주명리학의 과학적 탐구』, 도서출판 미래터, 2020
첫댓글 마침내 보게되네요. 서흠님 큰 수고하셨읍니다. 늘늘~건강하세요
제가 연구로 시간을 내기 어려워서 공동저자인 금역 김진석샘께서 전적으로 집필해 주셨습니다. 금역 김진석샘의 노고와 열정에 경의를 표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바로 주문했습니다.
서흠 선생님 노고가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기다렸습니다. 출간을 축하드리며, 주문 완료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