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08 영미시 인터넷 보충학습(제13~15강 포함)
제13강 Pound, "In a Station of Metro" (p.285- )
Stevens, "The Emperor of Ice-Cream" (p.329- )
Williams, "The Red Wheelbarrow" (p.336- )
Langston Hughes, "Harlem" (p.338- )
*제13강(1) Ezra Pound(1885-1972)
--20세기 전반을 the era of Pound라고 부를 정도로 20세기 영미문학에 큰 영향을 끼친 작가로 미국 출신이지만 대부분 유럽에서 활동한 작가- expatriate 작가들의 일원
(expatriate: Hemingway, Fitzgerald, Eliot, Gertrude Stein도 이 그룹에 속함)
: 이 그룹들은 영미시에 유럽의 문화적 전통을 강력히 포용한 인물 - 주로 유럽의 고전 문학들을 영미문학에 많이 끌어들인 작가들,
Pound는 묘하게 정치적 상황에 휘말려서 후일 Mussolini에 봉사하여 2차대전 후 반역죄로 구속되고 석방 후에는 정신병동에 구금되는 과정을 겪음 : 혼돈의 세계에서 ‘이상적 질서’를 구축하려는 시도에서 생긴 오판이라고 해명해 주는 사람들도 있음.
♠ Pound의 문학적 성취와 영향들
1. Yeats, Eliot, Frost, Williams의 시를 수정하여 현대시로 만들어 주고 Joyce 등을 세상에 알린 사람으로 →문단의 대부
2. 다양한 실험성('make it new') 의 정신이 바탕
:동서양의 고전 이용하고 그것을 번안해서 작품에 사용한다는 측면도 생각해 볼 수 있음 (그리스, 로마, 중세 프랑스, 르네상스기 이탈리아, 일본, 중국 고전--공자도 인용)
시의 전개 방식에 기존의 것과는 다른 복합적인 태도를 보여줌-irony(반어적), complex attitude 등을 포함시켜서 전체적으로 톤의 변화(tonal change)를 가져옴.
cf. H.S.M.의 persona 이용→시적 복합성-시인자신이 아닌 특정한 화자를 등장시 킴 persona을 이용하여 시적 복합성을 더 많이 만들어내는 측면이 있다.
3. Imagism(사상주의)운동에 참여하여 현대시 정착에 기여-그 이전의 시들이 길게 늘어놓는 추상적인 설명을 추구를 한 것을 배격하고 아주 명료한 이미지를 강조한 것이 기본적으로 이미지즘의 목표이다. 여기에는 한 세 가지 정도의 강령을 추려볼 수 있다.
*Imagism: 1) 사물을 직접 다룸 2) 불필요한 언어 배제 3) 기계적 운율 배제
--> hard, clear, precise image를 목표로 함.
(Imagists: T.E. Hulme, [Eliot, Pound], F.S. Flint, Richard Aldington
Hilda Doolittle, Amy Lowell, William Carlos Williams) 이런 인물들이 관여함 그러나 이 운동은 image만 남기고 content는 부재하다고 비판하여 Pound 는 여기서 떠남.
:"In a Station of Metro"는 Imagism의 대표적인 한 예가 되는 작품이다.
4. 이후 Vorticism으로 향함(vortex: 소용돌이, 와류)--통합성, dynamic
:음악, 회화, 조각 등 여러 예술 장르의 통합이 시도되고 있고
:이들의 이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역사 속의 올바른 문화를 찾아서
되살리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 자신이 생각하기에 올바른 문화가 있었던 고전 역사들을 여러 군데서 찾아보는데 고대 중국, 18세기의 미국, 르네상스, 고대 그리스 등이 그러한 대상이 되고 있다.
♠ Pound 주요 작품들
1. Hugh Selwyn Mauberley(1920)
: 상업주의적 문화풍토에 대한 강력한 풍자, 당대의 여러 상업적 문화 현상을 나열해서 비판하고 올바른 문학이 나가야 할 바를 나름대로 추구하는 작품으로 1부와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13편, 제2부-5편
2. The Cantos(1925-72) :117편
:동서양의 온갖 문물을 망라(한자까지)한 매우 난해한 시이다. 한자와 다양한 외국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은 Pound의 역사관, 자전적 요소, 문명비판이 어우러진 거대한 서사시
*"In a Station of Metro" 정리
* 이 시는 불과 2행밖에 안 되지만 이시는 이미지즘을 논하면서 빠뜨릴 수 없는 작품이 되었다. 필자가 파리의 지하철 메트로에서 막 내린 후에 떠나가는 차 안에 사람들의 여러 인상들을 포착하기 위해서 쓰여 진 것인데 원래는 30행 길이였는데 최종적으로는 줄여서 2행으로 됐는데 이것은 일본의 단시 하이쿠의 형식을 빌린 것이다.
* 전체적인 내용은 스쳐지나가는 얼굴들에서 현재 도회생활의 비인간성 분주함 이런 것들을 느끼게 하는 것이고 더 큰 차원에서 인간 삶의 순간성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시각적인 면에서 검정색 바탕에 밝은 색이 일부 빛나지만, 전체적으로는 ‘유령’의 세계라는 느낌을 준다. 결국 이 시는 유령처럼 스쳐 사라지는 도시적 삶, 현대인의 삶을 나타내며, 나아가 인간 삶 전체의 순간성을 암시한다.)
Pound , "In a Station of Metro" (p286)
The apparition of these faces in the crowd;
군중 속에 드러나는 이 얼굴들의 출현(군중 속에 섞여있는 유령과 같은 얼굴들, 지하철 속에 사람이 가득한 무리 속에서 특정한 몇몇 사람들을 보는 상황이고 그것이 막 스쳐지나가는 상황으로 대다수의 무리 속에 몇몇 얼굴이 나타났다 사라지고 그것은 마치 유령이 출몰했다 사라지는 것처럼 보임)
Petals on a wet, black bough.
젖은 검은 나뭇가지 위에 꽃잎들 (비를 맞은 나뭇가지위에 빨갛게 노랗게 핀 꽃잎들)
1916
* 굉장히 명료한 이미지를 제시해주고 있으나 전체적인 분위기는 어떤 배경에 깔려있는 무리들의 색깔 그리고 지하의 검은 세계, 이런 것들로 해서 black bough, 검정색 바탕이 전체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굉장히 명료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제시하려는 듯 하지만 실상은 그것이 검정색에 파묻혀버림. 그래서 유령처럼 스쳐지나가는 도시적인 삶의 순간성, 현대인이 그렇고 또 더 나아가서 인간 삶 전체가 이러하다는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제13강(2) Wallace Stevens(1879-1955)
--Wallace Stevens는 바로 뒤에 배울 Williams와 더불어 짝을 지어서 흔히 우리가 많이 다루는데 이 두 사람은 바로 직전에 Eliot, Pound의 전성기 이후에 나타나는 두 명의 유명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반의 중요 시인.
- Stevens 독특한 경력: 법학 공부, 변호사, 이후 보험회사 간부로 일생을 보냄
cf. Williams는 소아과 의사
→ 전문 예술가들과는 달리 사회적인 다른 직업을 가지면서 더불어 문화활동을 한 사람. 그러다보니까 어떤 면에서는 전문예술가들과 달리 세속의 문학의 평판보다는 작품 자체의 예술적 완성에 더욱 주력했다고 좋은 쪽으로 해석되는 측면도 있다.
* Wallace Stevens의 중요 주제
-- idea of order의 추구(질서의 관념)
:20세기 초반, 특히 1차대전 이후 황무지적인 혼돈상태(chaos)에서 order 추구는 지식인들의 관심사였다. 1차대전을 맞이하면서 서구인들은 여태까지 살아왔던 삶의 방식이 다 붕괴되고 모든 문명이 끝난다고 생각했음. 그래서 거기에서 어떻게 하면 새로운 질서를 찾을까 관심을 가졌는데 Wallace Stevens는 관념적인 세계에서 질서를 추구했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시집의 제목에서도 질서의 관념 추구가 잘 드러나고 있다.
eg. Harmonium(발 풍금), Ideas of Order(질서의 관념)
1) 신이 사라진 세계에서 그를 대신하는 것은 詩, 즉, 상상력이다.
:상상력이 가지는 질서부여 능력(ordering power)을 신뢰했다.
:시라는 것은 supreme fiction(최고의 허구)이것 없이는 세상을 생각할 수도 없다 고 말하면서 시, 문학을 굉장히 고양시킴.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어떤 의미를 찾고 이 세계가 혼돈이 아니라, 어떤 질서, 틀을 가졌다고 우리 인간들은 생각해야함. 즉, 가상의 질서, 틀을 생각해야 되는데 이것이 fiction(허구) 필요한데 그중에서 시라는 것이 supreme fiction(최고의 허구)이다.)
2) 기존의 낭만주의자들은 remote world(먼세계), 초월적 세계에서 이러한
질서를 찾았다면, Stevens는 here & now, 즉 지상의 세계에 상상력을 가해서
‘삶에 생기를 준다’(freshening of life) 그것이 시이고 그것이 자신의 목표라고
생각함 : 지상의 재발견이 그의 시의 중요한 주제
3) 그러나 상상력의 변용 작업은 궁극적이지 않고 transitory하다는 사실을 의식하고 있음 →‘상상력 vs. reality’ 간의 끊임없는 갈등이 이 사람의 시에서 계속 됨.
♠ 기법상의 특징
-- symbolist(상징주의) 전통에 따라 언어의 문자적 의미 외에 언어가 지니는 sound, suggestiveness(단어의 암시성)를 중시
: 음악의 변주곡 양식 즐김 -- 하나의 주제를 다양하게 변용
cf. "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
-- 음악 외에도 미술(색채)에 대한 언급이 많음
♠ 주요 작품들
:"Thirteen Ways of Looking at a Blackbird"
:"The Emperor of Ice-Cream"
:"Sunday Morning"
:"Peter Quince at the Clavier"
:"The Idea of Order at Key West"(상상력의 ordering power)
♠ "The Emperor of Ice-Cream" (아이스크림 황제)정리
--8행구 2개 연으로 되어 있다. - 어느 여인(평범하다 못해 추하기까지 한)의 상가(喪家)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손님 대접을 위해서 큰 통에 아이스크림을 만들고 있는 풍경이 두드러진다. 시신(屍身)과 아이스크림의 병치(juxtaposition)는 ‘죽음/영원’ vs. ‘현실/순간’의 대조를 유도한다. 아이스크림은 soft, sweet, cold, momentary의 속성을 지닌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것이 곧 being, reality의 속성이다. 이 시는 Stevens의 ‘here & now의 강조’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Wallace Stevens, "The Emperor of Ice-Cream" (p329)
Call the roller of big cigars,
커다란 시가를 말아서 피우는 사람을 불러라,
The muscular one, and bid him whip
근육질의 사람, 그리고 그에게 이것을 시켜라
In kitchen cups concupiscent curds.
부엌의 통 안에 색정적인 응유를 휘젓도록 시켜라
(concupiscent 호색적인, 색정적인) (curd엉킨우유, 응유) (concupiscent, Ice-Cream, big cigar나 현세적인 욕망을 나타내는 것들)
Let the wenches dawdle in such dress
As they are used to wear, and let the boys
계집들은 그들이 늘 입던 그 옷을 입고 빈둥거리게 내버려 두어라.(보통 상가같으면 검은색 옷을 입어야 하는데 여기서는 평소에 입던 그대로 빈둥거리게 내버려 두어라. 상가라고 해서 장례식이라고 해서 그것을 다르게 고상한 의식으로 바꾸어서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의미)
Bring flowers in last month's newspapers.
꽃집의 배달소년들은 지난달 치 신문에 꽃을 싸서 가져오게 그냥 두라. (무언가 미화하기보다는 일상 그대로 두라. 상가의 애도 분위기나 엄숙한 분위기와는 달리 시가를 피우는 남자더러 아이스크림을 만들게 하고 여자아이들은 빈둥빈둥 드러누워 있게 하고 꽃을 가져오는 데도 화려하지 않은 장식으로 일상의 모습 그대로 진행이 되고 있는데 엄숙한 장례의식이나 죽음 이후의 내세라든지 영원의 관념이라든지 이런 고상한 관념은 버려라.)
Let be be finale of seem.
존재가 가상의 종국이라고 하자 (존재적 현실이 가상세계의 종국이다.)
(be존재, 현실 being, reality)(seem -..처럼 보이는 것 seeming, 가상, 또는 imaginative illusion(상상적 허상). 가상의 세계 속에 우리가 흔히 사는데 사실은 그것이 끝난 자리에 다시 또 현실이 자리를 다시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 be는 Ice-Cream(존재, 현실), seem 은 내세, 미화된 죽음, 그래서 엄숙한 장례나 내세 등의 개념은 집어치우고 현실에 몰두하라)
The only emperor is the emperor of ice-cream.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ice-cream - 현실의 쾌락성과 순간성이 결합된 개념)
Take from the dresser of deal,
전나무 화장대에서 (deal 전나무라는 목재)
Lacking the three glass knobs, that sheet
유리손잡이가 세 개가 빠져 있는(결코 아름다울 것 없는 추한 현실 그대로를 말함) * sheet-수의
On which she embroidered fantails once
한때 그녀가 공작비둘기 자수를 넣은 그 수의를 꺼내라(공작비둘기가 그려진 수의는 죽은 여인이 이전에 가졌던 어떤 내세에 대한 환상일수 있다.)
And spread it so as to cover her face.
그녀의 얼굴을 가릴 수 있도록 그것을 펼쳐라.(그녀가 만든 수의는 전신도 못 가리고 겨우 얼굴만 가릴 정도. 한때 fantails이라는 단어를 통해서 알 수 있는 내세에 대한 환상, 허구 이런 것이 있었지만 결코 이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의미)
If her horny feet protrude, they come
만약 그녀의 거친(못이 생긴)발이 삐져나온다면
To show how cold she is, and dumb.
그것들은 그녀가 얼마나 춥고 얼마나 말문이 막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죽음이라는 것은 아주 냉혹하고 불가피하다는 것을 이렇게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Let the lamp affix its beam.
램프가 그 빛을 더하게끔 해라(등잔불을 더 밝혀라. - 시신 위에 불을 더 밝히는 것, 시신은 illusion 이 아니라 reality, reality 세계를 더 냉정하게 파악을 하라는 의미로 해석해볼 수 있다)
The only emperor is the emperor of ice-cream.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주석- 아이스크림은 여러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soft, sweet, 부드럽고 달콤하지만 또한 cold 차갑고 momentary 순간적이다. 바로 이것이 being, reality의 세계라는 것. 현실세계라는 것이 가진 이런 복잡한 상황을 아이스크림이라는 말로 바꿔놓았다고 할 수 있겠다. Wallace Stevens는 먼 세계에서 이상적인 질서를 찾는 것이 아니라 here & now 를 중시한다는 것을 이 시에서도 확인을 할 수 있었다.
제13강(3) William Carlos Williams(1883-1963)
-- 2차대전 후 미국시인들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한 시인
: 소아과 의사
: 시 이외에 소설, 희곡, 수필 등의 작품 남김
♠ 시적 특징
1. Imagist 로서 측면
: Pound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Williams도 Stevens처럼 poet of idea(관념의 시인)이기는 하나 Stevens가 형이상학적이라면 Williams는 매우 구체적이고 local한 것에 관심을 가짐.
1) direct treatment of things(사물의 직접적인 처리)를 강조
: 추상을 혐오, 'No ideas but in things'(사물 외에는 어떤 생각도 관념도 없 다) 사물의 중요성을 강조.
:사물과의 접촉(contact)--그것에서 나오는 직접성, 완결성을 목표로 함
2) 미국적 소재--locality 강조를 했는데 이런 면에서는 Whitman과 닮았다.
2. 기법상의 특징
1) 이미지 강조--특히 graphic(회화적) 이미지를 강조.
2) 기존의 시 형식 form 무시--서두 대문자로 쓰는 것과 마침표도 없음
: free verse의 완성--Whitman적인 풀어헤친 문장이 아니라
Williams는 보다 압축적이고 긴박한 free verse.
3) 미국적 어휘, 일상어의 tone을 강조
3. 장편시 Paterson 남김
: Paterson--도시, 사람, 시인 모두를 지칭 - 특정한 지역을 무대로 미국 역사의 진행 과정을 그림
*"The Red Wheelbarrow" 정리
-- Williams가 어느 소녀 환자의 집에서 창밖으로 실제로 본 풍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해설도 있다. 비 오는 날 시골 농가에서 본 ‘빨간 수레와 하얀 병아리’의 병치, 이를 지켜보는 우리의 눈(시각), 그리고 여기서 파생되는 ‘봄(seeing)’의 의미, ‘image’의 의미가 이 시의 관건이다. 그리고 depends의 주어는 과연 무엇인가? ‘사물에 대한 시인의 인식력’, 더 간단히는 ‘시인 자신’인가? 아니면 초월계와 대조되는 ‘reality’ 내지는 ‘사물의 의미’인가? 짧지만 많은 것을 함축하고 있는 시이다.
"The Red Wheelbarrow"
so much depends
너무 많이 의존한다.
upon
a red wheel
barrow
빨간 외바퀴 손수레
glazed with rain
water
빗물에 씻겨 윤이 나는
beside the white
chickens.
흰병아리 옆에 있는(red wheelbarrow에 너무 많은 것이 의존하고 있다.)
* 첫 행은 길고 둘째 행은 짧은 것이 외바퀴 손수레의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이런 명료한 이미지 하나만 제시했다. 빨간 손수레와 하얀 병아리가 병치되고 있는 비오는 날의 시골 농가의 풍경인데 이것에 너무 많은 것이 의존하고 있다. 무엇이 의존하느냐? 이것을 쳐다보는 우리의 눈과 우리 눈에 비친 이미지의 중요성, 결국 사물에 대한 시인의 인식력, 사물의 의미, reality의 의미 더 나아가서는 그것을 쳐다보는 시인 자신의 존재감, 이런 것들이 모두 여기에 달려 있다.
* 이 작품도 Pound의 작품처럼 Imagism 시의 하나의 예로서 우리는 살펴보았다.
*제13강(4) Langston Hughes(1902-1967)
*Harlem Renaissance기의 대표적 작가
: 1920년대 뉴욕 할렘 구역에 흑인들이 집중하면서 문학, 예술 발전-
Harlem Renaissance - 1930년대 대공황 시대까지 특히 번성
♠ Hughes 시의 특징
: free verse, jazz rhythm을 추구하고 인종문제를 많이 다룸. archetypal Black의 추 구
♠ "Harlem" 정리
--이 시는 흑인이 처한 상황을, 쭈그러든 건포도, 진물 나는 상처, 썩은 고기, 속은 썩었는데도 껍데기만 당밀이 덮인 사탕(혹은 빵) 등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흑인들은 ‘폭발할’ 것으로 경고하는데, 이는 실제로 1960년대 흑인폭동으로 현실화되었다.
"Harlem"
What happens to a dream deferred?
연기된 꿈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dream deferred 라는 것은 흑인들한테 뭔가 백인들이 해 주겠다 해 주겠다 입으로만 약속해놓고 그 꿈은 계속 미뤄지고 있는 것 그런 상황이 계속 될 때 어떤 것들이 생길 것인가? 즉 흑인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 것인가? 처음에는 비유적으로 여러 가지 표현이 나옴)
Does it dry up
like a raisin in the sun?
그것은 햇볕을 쪼인 건포도처럼 그렇게 메말라 갈 것인가?(건포도의 메마름은 부정적이기는 하지 만 나름대로 달콤함이라도 존재하는 상태이다)
Or fester like a sore―
And then run?
아니면 상처처럼 곪아서 진물이 흐를 것인가?(더 심각한 상처)
Does it stink like rotten meat?
썩은 고기처럼 악취가 날 것인가?
Or crust and sugar over―
like a syrupy sweet?
당밀처럼 딱딱해져 설탕이 덮이는가?
(v . crust-껍데기가 딱딱해지다. sugar -하얗게 설탕이 발려지다.)
(이것은 아까 raisin처럼 달콤함이 연상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껍데기가 딱딱해지고 그 껍질에 설탕이 있는 듯 하지만 속은 안에는 곪아터진 채 껍데기만 감싸진 것이니까 이것은 더 추한 것일 수도 있다.)
Maybe it just sags
like a heavy load.
아니면 무거운 짐처럼 축 쳐질 수도 있다.(완전히 좌절하는 모습)
Or does it explode?
아니면 폭발하는가? (이렇게 꿈들을 억누르다보면 결국 좌절을 겪은 후에 마지막에는 폭발하는가? 백인들에 대한 흑인의 경고라고도 할 수 있다. 1960년대 흑인폭동으로 이런 상황이 실제로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 Langston Hughes의 Harlem을 우리가 다룬 것은 미국 문학에는 주류 백인문학 외에도 이런 흑인문학을 포함한 소수인종들의 문학이 존재한다는 것의 하나의 예로서 소개한 것이다.
제14강 Roethke, "In a Dark Time" (p.367- )
Lowell, "Skunk Hour" (p.371- )
*1950~60년대 미국시의 경향
--Beat poets: Allen Ginsberg(반문화주의, 동양적 영적 합일 추구)
--Confessional poets(고백파) : 개인적 경험의 적나라한 폭로
(질병, 성적 관심, 개인적인 좌절 절망)
:Robert Lowell, John Berryman, Slyvia Plath
Theodore Roethke, W.D. Snodgrass, Anne Sexton
*14강(1) Theodore Roethke(1908-1963)
♠ Roethke생애
:독일계 이민 2세, 영문학 교수로 일생
:조울병(manic depression)에 시달림→ 이런 시인의 약점을 시적 충동으로 승화
♠ Roethke 시적 특성 : confessional poetry의 전조를 보였다.
: 자아(육체)의 솔직한 고백을 예술의 방편으로 삼는 시
: 당시 2차대전이 가져온 절망적 상황에서 삶의 본질을 추구하는 면모
: 자아의 고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보편적 인간상황에 대한 점검으로 이어진다
♠ 작품
:"Open House"--자아의 고통의 폭로를 하는데 이것을 마치 집안을 타인에게 공개 하는 잔치에 비유하는 것이 특징.
:"In a Dark Time"-- 절망적 고통의 시간을 겪고 있음 그 이후에 신과의 일체감 을 획득하게 됨. confessional poetry가 대부분 적나라한 폭로에 그치는데 비하면 이 시는 나름대로의 결론을 획득했다는데 차이가 있다.
♠ "In a Dark Time" 정리
--6행구 4연으로 되어 있으며 abbacc의 각운(때로 불완전 각운)으로 이루어져 있다.
♠ Roethke를 비롯해 Robert Lowell, John Berryman, Slyvia Plath, W.D. Snodgrass 이런 사람들을 고백시인(Confessional poets)으로 부르고 고백시(confessional poetry)로 부르는데 이 중에서도 "In a Dark Time"은 Roethke가 자아의 분열이라는 극도의 절망을 겪으면서 신과 일체가 되는 과정을 고백한 시이다. 시의 제목은 신앙의 달성 직전에 겪는 극단적 절망을 뜻하는 'the dark night of the soul'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Roethke는 설명한다.
'the dark night of the soul'는 영시에서 자주 나오는 개념으로 이미 홉킨스의 말기시를 공부할 때도 이런 표현이 나왔다. 나중에 Lowell의 작품을 이야기 할 때도 이 표현이 나오는데 16세기 카톨릭의 시인이자 신비주의자였던 스페인 사람이 만든 작품 이름이고 거기서 연유한 개념. 신앙의 최종적인 완성 직전에 겪는다는 극도의 고통의 순간을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 이 시는 절망과 암흑을 지나 구원을 얻고 절대자와 영적 일체감을 얻는 것으로 끝난다. 보통의 고백시들이 철저한 고통의 토로로 끝나는데 비해 이 시는 정신적 해결을 담고 있는 점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시의 고통은 신앙의 최종적 달성 직전에 겪는다는 the dark night of the soul로 설명된다.
"In a Dark Time"
In a dark time, the eye begins to see,
캄캄한 밤에 눈이 뜨이기 시작한다.(캄캄한 밤은 물리적인 시간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어두워져서야 보이게 되는 것 이런 것이 바로 역설(paradox)이라고 할 수 있다)
I meet my shadow in the deepening shade;
나는 짙어가는 어둠속에서 그늘 속에서 내 그림자를 만나게 된다(*주석참조-다가오는 죽음의 암시와 함께 점점 깊어가는 절망감을 이렇게 표현했다. 점점 깊어가는 절망 속에서 자신의 어떤 흔적이 보이기 시작함)
I hear my echo in the echoing wood―
나는 메아리치는 숲속에서 내 자신의 메아리를 듣는다.
A lord of nature weeping to a tree.
나무에게 울고 있는 자연의 군주(만물의 군주-인간을 지칭할 때 쓰는 표현)(나무에게 울고 있는-자연의 군주가 하찮은 나무에게 울고 있는-굉장히 모순적인 상황, 첫행과 마찬가지의 역설이나 모순어법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존재 그야말로 어느 한쪽으로 자기 자신을 위치시키지 못하고 갈등하는 방황을 겪는 존재가 바로 자기 자신이고 더 확대하면 인간 전체가 그렇다)
I live between the heron and the wren,
외가리와 굴뚝새 (외가리-혼자사는 새, 굴뚝새-군집하는 새, 즉 개인적인 삶과 사회적인 삶 사이의 갈등)
Beasts of the hill and serpents of the den.
동산위의 야수들과 동굴 속의 뱀들 그 둘 사이에서 나는 살아간다. (야수-독립적인 삶, 뱀-군집하는 삶, 개인적인 삶과 사회적인 삶 사이에서 갈등하는 자아를 이렇게 표현함)
What's madness but nobility of soul
At odds with circumstance? The day's on fire!
환경과 싸우는 영혼의 고귀성이 아니라면 광증이란 무엇이겠는가? 낮이 불타고 있다.(madness는 나쁜 의미는 아닐 것 같고 신앙에 도달하는 하나의 열광상태를 말하는 것일 텐데 그것이 soul이 세상에 대적해서 싸우는 그런자세, 이것을 madness로 설명하고 있다. soul 과 circumstance의 대립은 그 위에서 말한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의 대립에 해당함. 결국 개인적 삶의 고고성 이쪽에 치중을 해야 보다 높은 영혼의 단계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겠는가)(낮이 불타고 있다-madness에 빠져있는 사람의 눈에는 한 낮의 밝은 빛은 불길로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정신적인 개명상태 그리고 종교적인 열광상태를 지칭함)
I know the purity of pure despair,
나는 순수한 절망의 그 순수성을 알고 있다(절망의 한 가운데, 가장 치열한 절망인데 이 단계에 들어가야 그 다음에 여기서 벗어날 방도가 보일 것이다)
My shadow pinned against a sweating wall.
땀 흘리는 벽에 핀으로 꽂힌 내 그림자(벽에 못이 박혀서 고문 받는 모습으로 형상화)
(9행과 10행은 darkness의 상태인데 위에 있는 The day's on fire의 light와 대조되어 있다. 아직은 화자는 빛과 어둠 사이에서 분열이 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된다)
That place among the rocks―is it a cave,
Or winding path? The edge is what I have.
(화자가 고문을 당하고 있는데 그 고문의 장소가 이곳이던가 저곳이던가 자문해보는 형식)
바위틈새의 장소이던가 아니면 동굴이던가 아니면 꼬불꼬불한 길이던가? (아직은 한 가운데로 들어가지 못 하고) 가장자리가 바로 내가 가진 것이다. *주석 368p 12행- 이 말은 순수한 절망의 상황에 근접해 있다는 뜻이다 가장자리를 지나 그 복판에 들어가야 오히려 구원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A steady storm of correspondences!
끊임없이 폭풍우처럼 들이닥치는 영적인 교감(어떤 종교적인 각성상태에 들어가서 끊임없이 신성의 말이 내 속으로 들어오고 있는 상태)
A night flowing with birds, a ragged moon,
새와 누더기 같은 달과 함께 흐르는 밤(비정상적인 시선으로 본 달의 모습이 누더기 같아 보임)
And in broad day the midnight come again!
그리고 환한 대낮에도 한밤이여 다시 오라!(어둠속에서 아직은 굉장히 절망하고 있는 상태 'the dark night of the soul'의 한 표현)
A man goes far to find out what he is―
한 인간이 자기의 존재를 찾기 위해 멀리도 나아간다(화자 자신의 정체성을 탐구하기 위해서 절망과 암흑 속에서 몸부림친다.)
Death of the self in a long, tearless night,
자아의 죽음, 길고 긴 눈물 한 방울 없는 밤(자아-육체적인 부분)(비정한 밤에 일어나는 자아의 죽음)
All natural shapes blazing unnatural light.
모든 자연적인 형상들이 초자연적인 불길을 불 붙인다.(빛을 밝히고 있다)(아직은 어떤 각성의 상태에 최종적인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가 뒤섞여있는 그런 상태)
Dark, dark my light, and darker my desire.
내 빛은 어둡고 어둡다, 그리고 내 욕망 내 바람은 더 어둡다.(아직 달성을 못 했다)
My soul, like some heat-maddened summer fly,
내 영혼은 마치 어떤 열기의 미쳐버린 여름날의 날벌레처럼
Keeps buzzing at the sill. Which I is I ?
문턱에서 윙윙거리고 있다.(문턱이라는 표현은 한가운데로 들어가지 못한 상태. 화자의 영혼은 신앙의 세계에 아직은 들어가지 못하고 경계선에 있는 상태) 어떤 내가 진정한 나인가?(현실세계의 나와 간간히 초월세계를 언뜻언뜻 보고 있는 나, 그 중에 어느 쪽이 진정한 나인가? 둘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는 모습)
A fallen man, I climb out of my fear,
쓰러졌던 인간인 나는 이제 두려움에서 솟아난다.(fellen man- 일시적인 좌절한의 뜻도 있지만 대문자로 Fall 은 인류의 타락을 말하는 것, 타락한 인간, 이런 개념도 있음)
The mind enters itself, and God the mind,
정신이 제자리에 든다, 신이 내 마음속에 들어온다.
And one is One, free in the tearing wind.
한 존재는 하나이다, 눈물 흘리는 바람 속에서 자유롭다.(앞의 one은 화자 자신, 대문자 One은 God를 지칭함. 결국 내 자신과 신이 이제 완전한 일체가 된다, 이렇게 해석함.) (tearing은 - (눈물 흘리는)으로 볼 수 있는데 앞에 나오는 tearless와 대조가 됨. 약간의 동정심이라도 가지고 있는 자연,) (눈물 흘리는 자연이라는 것은 결국 불완전한 세상이기는 하지만 이제는 그 속에서 자유롭다. 그런데 tearing은 동사 tear-찢다로 볼 수도 있다. 잡아 찢는 격렬한 바람 속에서 그렇게 세상은 아직 거칠지만 아직 이내 정신은 자유로운 단계에 들어갔다고 볼 수도 있다.)
* 절망과 암흑을 지나 구원과 영적 일체감을 얻는 그런 단계까지 이 시는 그리고 있다. 보통의 confessional poetry와는 달리 끝부분에 가서는 해방이 되는 면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이 시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1964
*14강(2) Robert Lowell(1917-1977)
♠ Lowell 의 생애
--New England, Boston의 명문가 출신
:Amy Lowell, James Russel Lowell 등의 선대 문인이 있음
-- Lowell은 격렬한 인생을 살았는데 2차대전에 참전 반대운동도 하고 60년대 민권 운동, 베트남 참전 반대운동도 했고 개인적으로 알콜 중독과 조울증으로 고생을 함.
♠ 문학적 이력
--Eliot 이후 세대 중 가장 각광 받은 시인
--처음에는 40년대의 신비평적 분위기에서 출발했다. wit, irony를 구사하고 세련된 시 풍 추구하는 단계에서 50년대 후반 confessionalism 고백주의로 선회하면서 Lowell 의 진가가 나타나기 시작함. Life Studies(1959) 이후 이런 모습을 보임.
→ Lowell은 외견상으로는 신비평적 정교한 구조를 깔고 있지만 내면에서는 Whitman 으로부터 물려받은 전통(i.e. 자아와 세계와의 격렬한 접촉을 강조하는 양 측면이 혼 재하는 시인)
♠ Lowell의 내면의식(주제)
--Puritan 배경으로 성장해서 Catholic으로 개종함 - 도덕성, 죄의식 등에 민감했다.
--이런 의식을 바탕으로 현대의 타락, 혼란을 많이 묘사했는데 사회의 혼란상 뿐 아니라 개인 영혼의 죄악성까지도 매우 격렬히 개진을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confessional poetry의 전형적인 모습이 되겠다.
♠ 주요작
:"Skunk Hour": 스컹크라는 지저분한 동물만이 정신적 절망과 문명의 퇴락 속에서 유 일하게 생명력을 유지하는 존재로 그려짐.
:"For the Union Dead": 미국의 남북전쟁 시대의 진정한 영웅(Shaw 대령)의
기념비가 도시개발로 파괴되는 현재의 모습을 보면서 진정한 가치가 사라지고 현대문명의 병적 징후가 만연하는 세태를 비난.
*"Skunk Hour" 정리
--6행구 8개 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연의 각운은 복잡하다. 그리고 시행의 길이도 매우 다양한데, 전체적으로 colloquial tone(구어체, 일상회화체)을 지닌다.
♠ 이 시는 시인의 여름 별장이 있는 New England 지방 Maine주의 Castine이라는 해안 마을의 퇴락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의 후반부에는 밤중에 쓰레기통을 뒤지는 스컹크만이 이곳의 살아있는 존재로 등장한다. 스컹크는 에너지(생명력)의 상징으로 일단 거론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퇴락한 문명 이후의 기괴한 지배자의 형상(hellish figure)으로 파악된다. 이 시는 도시의 몰락과 함께 시인 개인의 절망을 ‘고백’하고 있으며, 이는 크게는 문명의 몰락상을 암시한다.
(For Elizabeth Bishop-1911-79년까지 살았던 여성시인으로 Elizabeth Bishop이 The Armadillo라는 시를 Lowell에게 헌정을 했는데 여기에 대한 답시로 Lowell은 이 시를 Elizabeth Bishop에게 보냈다. 두 작품은 동물을 소재로 하고 있고 초반부에는 여러 가지 잡다한 묘사로 이루어지지만 끝나는 부분은 하나의 동물로 집중이 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Skunk Hour"
(For Elizabeth Bishop)
Nautilus Island's hermit
앵무조개 섬의 은둔 상속녀는
heiress still lives through winter in her Spartan cottage;
간소한 별장에서 겨울을 잘 버티고 아직 살아있다.
her sheep still graze above the sea.
그녀의 양떼는 바다위의 풀밭에서 아직도 풀을 뜯고 있고
Her son's a bishop. Her farmer
그녀의 아들은 주교이다.
is first selectman in our village;
그녀의 농부는 우리 마을의 제일행정위원이다.(자치위원)
she's in her dotage.
그런데 그녀는 노망이 들어있다.(은둔 상속녀가 은둔해 있다. 격리되어 있고 노망들어 있음. 뉴잉글랜드의 전체적인 퇴락한 분위기를 암시하고 있음)
Thirsting for
the hierarchic privacy
of Queen Victoria's century,
빅토리아 여왕시대의 계급적인 은밀성을 갈구해서
she buys up all
the eyesores facing her shore,
and lets them fall.
그녀는 그녀의 해안에 면한 모든 눈엣가시들을 다 사버리고 그것들을 허물어버린다.
(Queen Victoria, 위에 Spartan 둘 다 귀족적인 문화를 암시하고 있는데 이 여인이 그런 것을 추구하고 있지만 전체적인 그녀의 노망든 상황과 문명의 퇴락상 이런 것들을 견주어 볼 때 이것은 아주 부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되겠다)
The season's ill―
철이 나빴다(불행이 연속해서 불행한 사건이 벌어졌다)
we've lost our summer millionaire,
우리는 우리의 여름 백만장자를 잃어버렸다(이 동네가 별장이 많이 있는 동네니까 여름철이면 이곳을 찾는 어떤 백만장자가 죽었다)
who seemed to leap from an L. L. Bean
그는 L. L. Bean상점의 주소록에서 사라진 듯 그렇게 보인다. (*주석-L. L. Bean상점은 Maine주에 있는 전국적으로 판매를 하는 통신판매상. 지금도 크게 영업을 하고 있는 곳. 스포츠용구와 의류를 취급하는 곳 이런 데서 물건을 많이 사던 여름 백만장자도 죽어버렸고)
catalogue. His nine-knot yawl
그의 9노트짜리 배 (knot배의 속도를 재는 단위)
was auctioned off to lobstermen.
그의 보트가 경매가 되어 버렸다. 가재잡이 어부에게.
A red fox stain covers Blue Hill.
붉은 여우반점이 Blue Hill을 뒤덮는다.(단풍이 내리덮인다는 의미일텐데 Blue를 침범해 오고 있는 붉은 색, 전체적으로는 쇠락의 분위기가 지배를 한다는 쪽으로 해석)
And now our fairy
decorator brightens his shop for fall;
(fairy-요정 같은, 동성연애 하는) 가을을 맞이해서 이제 우리의 요정같은 실내장식가가 그의 가게를 밝게 만든다.
his fishnet's filled with orange cork,
그의 어망은 오렌지색(붉은색) 코르크제품들로 채워져 있다.
orange, his cobbler's bench and awl;
구두수선공의 의자와 송곳도 오렌지색이다.(이것도 이 사람의 가게 안에 있는 장식품. 오렌지가 두 개 나왔는데 이것은 앞 스탠자의 레드와 통하는 색깔이다. 산에서 마을까지 온통 붉은색으로 뒤덮여 있다는 의미. 퇴락과 쇠락의 분위기가 이 작은 해안도시를 지배하고 있다는 의미)
there is no money in his work,
he'd rather marry.
그는 일을 해봤자 돈벌이가 안 된다 장가가 가는 것이 낫겠다.(fairy와 연결을 시킨다면 이 사람은 일반적으로 결혼할 수도 없는 존재이다.)
* 여기까지 초반 4개의 stanza는 마을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묘사 (주석 23-24행을 참고 - 여기까지 초반 4개의 연은 세 명의 인물이 나왔다. 노망한 상속녀, 사라진 부자, 돈벌이를 못 하는 장식업자 세 인물이 나왔는데 이들을 통해서 Lowell의 고향인 어느 해안도시의 퇴락상이 그려지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Lowell 자신의 몰락한 가족사를 나타낸다고 볼 수도 있다. 첫 번째 나오는 노망한 상속녀는 그의 어머니, 사라진 부자는 그의 아버지일 수도 있고 마지막 돈벌이 나오는 장식업자는 그 자신일 수도 있다. 이렇게 그 다음 이런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로 다음 stanza에서부터 시인 자신의 내밀한 상태, 내밀한 고난들을 과감하게 노출을 하고 있는데 역시 이런 앞부분도 자신의 집안에 대한 이야기일수 있지 않겠느냐, 비평가들은 그렇게 추정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 보면 이것은 단지 가족의 문제만이 아니라 인간 전체의 이야기로 확대될 수 있다. fall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시에서는 대문자 Fall을 생각해봐야 한다. 그렇다면 이것은 인류 전체의 타락상 이런 것들에 대한 암시로까지 확대해볼 수도 있지 않겠는가 하는 얘기가 되겠다. 후반부는 자신의 이야기로 바뀐다.
One dark night, (the dark night of the soul을 연상시킴.) *(p372-주석25, 26번 참조)
my Tudor Ford climbed the hill's skull;
어느 어두운 밤 나의 포드사의 튜더 자동차가 산꼭대기로 등산에 올랐다. (skull-종교적인 함의도 생각해볼 수 있다*주석참조) (튜더가-16세기의 영국 왕가, 시대착오적인 낡은 듯한 느낌을 풍김)
I watched for love-cars. Lights turned down,
나는 연애하는 차를 지켜보았다(두 대의 차가 붙어있는 것을 마치 연애하는 듯 보고있음)
they lay together, hull to hull, 해드라이트를 끄고 차체를 맞대고 그들은 함께 누워있다
where the graveyard shelves on the town ....
묘지가 마을 쪽으로 비탈져 내려오는 그곳에서(그쪽에 묘지가 있고 묘지의 분위기가 도시까지 지배를 하고 있는 분위기)
My mind's not right.
내 정신은 올바르지 않다.(올바르지 않은 시선 속에서 차들이 연애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은 이런 효과가 있다. 차들의 연애는 인간들의 격리감, 절망감 이런 것을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다)
A car radio bleats,
그 차에 라디오가 재잘거린다.
"Love, O careless Love ...." I hear
오 경솔한 사랑이여 (p373 주석32번-당시에 유행하던 노래의 한 구절, 이곡은 원래 20세기 초에 나왔는데 그 이후에 수많은 가수들이 다양한 리듬(재즈 블루스)등등으로 불렀다고 한다. 그러니까 이 시를 쓸 당시에도 어떤 가수가 불러서 많이 알려졌을 수도 있다. 가사중-경솔한 사랑으로 자살하고 애인도 죽일 수 있다. 이런 끔직한 가사도 들어있음)
my ill-spirit sob in each blood cell,
나의 병든 영혼이 혈구마다(피톨) 신음하는 소리가 들린다(굉장히 예민한 상태에서 과장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as if my hand were at its throat ....
마치 내 손이 영혼의 목을 조르는 듯이
I myself am hell;
nobody's here―
내 자신이 바로 지옥이다. 이 곳은 아무도 없다.(자아의 절망 상태를 극단적으로 이렇게 표현하고 있는데 35행 주석을 보면 이것은 밀턴의 파라다이스와도 관련이 되는 표현, 자신의 치부를 이렇게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것 이것이 바로 confessional poetry의 전형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only skunks, that search
단지 스컹크만이 이곳에 존재한다.(스컹크-악취를 풍기는 동물이고 어두울때 주로 활동을 하고 무리생활을 하지 못하고 주로 단독생활을 하고 잡식성에 폭식을 하는 성격. 그리고 후각과 청각이 발달하고, 그러니까 결코 긍정적인 의미를 줄 수 없는 존재.)
in the moonlight for a bite to eat.
달빛 속에 한입 먹을거리를 찾아 헤매는 스컹크만이 여기에 있다.
They march on their soles up Main Street:
배로 기어서 메인스트리트 주위로 행진을 해 올라간다.
white stripes, moonstruck eyes' red fire
under the chalk-dry and spar spire
of the Trinitarian Church.
삼위일체파 교회의 하얗게 메마르고 돛대 같은 첨탑아래에 흰줄 무늬에다가 발광한 듯한 눈의 붉은 불꽃(달빛아래 교회의 그림자 아래 스컹크들이 행진하는 모습을 그림 - 기괴한 퇴락상과 교회의 무력함이 함께 겹쳐져 있음)
I stand on top
of our back steps and breathe the rich air―
나는 뒷계단 꼭대기에 서서 짙은 공기를 호흡한다.
a mother skunk with her column of kittens swills the garbage pail.
어미스컹크가 새끼를 줄줄이 이끌고서 음식물 찌꺼기 통을 게걸스럽게 마시고 있다. (column 종대)
She jabs her wedge-head in a cup
of sour cream, drops her ostrich tail,
쐬기 같은 뾰족한 머리를 시어빠진 크림 통 안에 처박고 있다. 그리고 타조 같은 긴 꼬리를 내리고 있다. (ostrich : 현실도피자, 무사안일자의 뜻도 있음)
and will not scare.
그리고 겁도 내지 않는다(화자 자신의 불안감과 공포와는 정 반대의 상황)
* 주석 참조 (스컹크는 생명력, 에너지의 상징이라고 일단은 이야기 되고 있지만 또한 이것은 지옥의 어떤 형상들 생명은 생명인데 이게 진정한 생명이 아니라 타락한 문명 이후에 지배를 할 기괴한 생명체로 등장한 것으로 보면 되겠다.
♠ 시의 전체 구조 - 마을의 쇠락상이 묘사되고 화자 개인의 절망상태가 이야기되고 또 궁극적으로는 문명의 몰락상이 이야기 되고 있다. 이런 것들이 confessional poetry의 한 전형이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