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말과 일제시대에 걸쳐 민족 독립운동에 참여한 기독교인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기독교를 민족운동의 방편으로 삼아 교인이 된 경우다. 한말 기독교 선교가 개시된 이래 외국인 선교사들이 간여하고 있는 교회와 기독교 기관들은 정부가 쉽게 간섭할 수 없는 ‘치외법권적’ 영역으로 인식되었고 한국을 통치하는 일제 당국과 선교사 사이에 정교분리(政敎分離)원칙이 어느 정도 합의되어 통치 당국의 종교 간섭이 배제됨으로 교회는 ‘상대적 자율성’을 누리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말 이후 의병운동과 애국 계몽운동의 한계를 인식한 지식인 계층에서 기독교를 효과 있는 사회 개혁 및 정치운동의 한 방편으로 인식하고 기독교인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에게 종교는 목표라기 보다는 수단이고 민족운동이 궁극적인 목표였기에 기독교의 종교적 체험엔 관심이 없었고 기독교에서 민족운동 역량의 한계가 드러나면 기독교를 포기하고 다른 이념이나 종교로 전향할 수 있었다. 김 구․안창호․주시경․이동휘․여운형 등이 대표적인 경우다. 둘째는 기독교 정신에 충실하는 과정에서 민족운동에 참여하는 경우다. 이들은 기독교적 신앙 체험과 신학적 이념을 바탕으로 민족운동에 참여한다. 이들에겐 기독교 신앙 자체가 궁극적인 목표이고 민족운동은 그 신앙의 구체적 실천이다. 정교분리 원칙에 충실한 보수주의 신앙인과 달리 이들에겐 기독교 신앙과 민족운동이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 연결되며 상보적(相補的)인 요소로 작용한다. 목사와 장로, 집사 등 교회의 직분을 가지고도 아무런 내적 갈등 없이 민족운동에 참여할 수 있다. 엄밀한 의미에서 이들을 ‘기독교 민족운동가’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해석(海石) 손정도(孫貞道) 목사를 대표적인 기독교 민족운동가라 할 수 있다. 그는 목사로서 민족운동에 참여하였고 마지막 순간까지 민족운동 현장에서 목회 생활에 충실하였다. 그에게 목회는 민족운동의 기반이었고 민족운동은 목회의 연장이었다. 그에게서 목회 영역과 민족운동 영역을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손정도 연구와 평가는 독립운동가로서 정치적 행위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손정도 목사에 관한 연구는 활발치 못했다. 그 동안 사학계에서 임시정부 역사와 관련지어 그의 참여 활동을 단편적으로 언급한 적은 있었지만 그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는 본격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99년 5월 30일 정동제일교회에서 ‘제1회 아펜젤러 학술강좌’를 개최하여 이현희 교수의 “손정도 목사와 상해 임시정부”란 논문이 발표되었지만 이 역시 독립운동 중심으로 정리한 것으로 종합적인 연구는 되지 못하였다. 최근(1999년 12월) 손정도 목사의 전기 『해석 손정도의 생애와 사상연구』(김창수․김승일)가 출판되고 이를 계기로 ‘해석 손정도기념 국제학술세미나’(1999.12.15)가 개최되어 본격적인 손정도 연구가 시작되었는데 이 논문도 그 때 발표된 것인데 내용을 일부 보완한 것이다.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 의장을 거쳐 노병회 창설, 의용단 창설, 임시정부 교통국장, 대한적십자회 총재로서 그가 남긴 정치적, 민족운동사적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적 활동을 가능케 하였던 정신적 기반으로서 그의 기독교 신앙과 신학을 규명하는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감리교 목사로서 그의 신앙 및 목회 활동을 규명함과 아울러 이러한 정치, 사회운동에 참여하게 된 신앙적 동기와 사상적 이념을 밝혀 냄으로 그를 보다 심층적으로,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