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5,[65] |
자원(字源) : {會意字} 글자 아래 부분의 '손[又]'과 위 부분의 대나무 가지[十]가 결합된 글자로 손으로 대나무 가지를 떼어낸다는 의미임. 현재 '枝(지:가지)'의 본래 의미 글자로 '가지'나 '지탱하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부수의 활용은 거의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지 않음.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6,[66] |
자원 : {會意字, 形聲字} 글자 아래 부분의 손[又]과 위의 나무가지[卜]가 결합하여 '치거나 때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때는 회의자이고, 윗 부분의 '卜'의 발음이 '복'이 때문에 형성자로도 설명함. 부수의 의미는 '치다', '때리다' 등이나 '억지로하다'는 의미로 활용됨. 부수 명칭 '등글월문'도 '文'과 유사하다는 이유지만, 역시 잘못 사용된 것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9자 |
7) 敎 (교) 가르치다 : 敎師, 敎唆 | |
4-7,[67] |
자원 : {象形字} 초기 글자의 성립은 사람의 가슴 부위에 심장 모양의 무늬를 표시한 것이어서 '무늬', '채색' 등으로 사용되다가 후대에 표시한다는 의미에서 '문자'나 '글'의 의미로 변천됨. 실제 소속 한자는 별로 없음.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8,[68] |
자원 : {象形字} 액체의 용량을 재거나 퍼낼 때 쓰는 도구인 국자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활용은 주로 양을 '재다, '따르다' 등으로 활용되고, 10升(승: 되)에 해당하는 단위로 '斗'가 쓰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자 |
6) 料 (료) 헤아리다,거리 : 料理, 材料 | |
4-9,[69] |
자원 : {象形字} 긴 자루 끝에 도끼날을 단 도끼 모양을 본뜬 글자인데, 혹 현재의 자형(字形)을 두 개의 도끼를 나란하게 포개어 놓은 모습으로도 설명함. 부수의 활용은 '도끼, '자르다', '베다' 등으로 활용됨. 주로 한자의 방{오른쪽}에 사용되기 때문에 명칭도 '날근방'이라 불림.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5자 |
8) 斯 (사) 이 : 斯文亂賊, 斯道 | |
4-10,[70] |
자원 : {象形字} 농기구인 쟁기의 날 부분 모양을 본뜬 글자로, 쟁기를 가지고 농사를 짓는다는 의미에서 '방향', '땅', '곁' 등으로 활용됨. 또는 두 척의 조각배를 나란하게 놓고 이물을 묶어 놓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보아 '나란히 하다'는 의미를 지님.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7자 |
6) 旅 (려) 나그네 : 旅館, 行旅 | |
4-11,[71] |
자원 : {象形字} 사람이 앉아서 뒤를 돌아보면서 입을 벌린 모습을 본뜬 글자로, '배불리 먹고 난 후'를 의미함. 하지만 실제 의미로 활용된 글자는 '旣(기: 이미)'뿐이기에 '이미기방'의 부수 명칭은 다소 부적절함. 대부분 발음부호[音符: 예) 槪(개), 慨(개) 등]로 활용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1자 |
||
4-12,[72] |
자원 : {象形字} 태양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부수의 의미도 '태양', '명암', '시간', '날씨' 등의 의미로 활용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35자 |
6) 時 (시) 때,철 : 時時刻刻, 時局 | |
4-13,[73] |
자원 : {指事字} 입[口] 위에 말이 나오는 의미[ㄴ]를 첨가해 '입으로 말하다'는 의미를 만들어낸 글자임. 하지만 부수의 의미는 크게 작용하지 않고 부수로 한자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日(일)'에 포함시키기 어려운 글자를 '曰(왈)'에 포함시킨 경우가 많음. '가로'라는 훈(訓)은 '가론다'로 '말하다'는 의미의 고어(古語)임.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
6) 書 (서) 글,쓰다 : 身言書判, 書簡 | |
4-14,[74] |
자원 : {象形字} 달의 모양을 본뜬 글자로 항상 차있는 해[日]와 구별해서 차고 기우는 달의 형상에서 이지러지는 달의 모양을 본따서 만듬. 부수의 의미는 '달'이나 '시기', '시간' 등의 의미로 활용되고, '肉(육:고기)'의 변형인 '月'은 '육달월'의 명칭으로 사용하는데, '달월'과 구별해야 함. | |
기초 한자 - 1800자 중 8자 |
7) 望 (망) 바라다,보름 : 希望, 望月 ◈ 신교육용한자에서 제외된 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