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 가능한 이상반응 및 예방법
◦ (국소반응) 접종부위 통증, 부어오름, 발적 등
* 접종부위 통증이 비교적 흔하게 보고(약 80%) 되며, 가만히 있어도 통증이 느껴지거나 일상 활동을 방해할 정도의 통증이 약 6%에서 보고되었으나 대부분 수일 내에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
◦ (전신반응)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두드러기 등
*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포함한 중증 이상반응은 극히 드물게 나타날 수 있으나, 다른 영유아 백신과 비교하여 특별히 빈도가 높지 않음
◦ 접종 후 20∼30분 동안 접종기관에 앉아 있거나 누워있도록 안내하고 피접종자의급성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
◦ 아나필락시스와 같은 중증 알레르기 반응 발생 시 신속 대응, 평소에 대처법 숙지
☞ 예방접종 후 일시적인 실신에 대한 주의 필요
• 청소년에서 예방접종 후 접종시 긴장이나 통증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실신하는 경우가 있으며, 넘어지면서 다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예방 필요
• 실신은 다른 예방접종 후에도 발생 가능하며 주로 청소년 및 젊은 성인에서 단체 예방접종 시 발생
• 의료기관 주의사항
- 접종은 등받이 있는 의자에서 하거나 누워서 하는 것을 권장
- 예방접종 후 20∼30분 동안 접종기관에 앉아있거나 누워있도록 안내 및 관찰
접종 후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 HPV 예방접종 안전성 관련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 예진 시 발생 가능한 이상반응에 대해 보호자와 피접종자에게 충분히 설명하되, 대부분 일시적인 반응으로 지나친 걱정을 하지 않도록 안내
◦ 예방접종 후 일시적 실신이 발생할 수 있으나, 예방접종 후 앉거나 누워서 경과를 관찰하면 충분히 예방 가능하다는 것을 보호자와 피접종자에게 설명
◦ 예방접종으로 자궁경부암이나 자궁경부 전암병변을 예방하는 효과(이득)가 있음을 충분히 설명
※ (국내) 국가예방접종도입이후2022. 1. 31. 기준. 약214만건접종함. 현재이상반응으로신고된176건(0.0082%) 중, 심인성 반응으로 일시적인 실신 및 실신 전 어지러움 등의 증상(68건, 38.6%)이 가장 많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