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동양역학인연합회 원문보기 글쓴이: 고운성
三, 我克者-財星, 처첩,
-일간이 극, 정,편을 구분×, 물질,
처, 첩, 재물, 부친, 백부, 숙부, 고모, 남(처,첩,처가,처남,처제,여자,애인,재물), 여자(시가, 시모, 부친), 관리, 통솔, 극복타개, 정복, 개척, 금전, 재산, 유산, 봉급, 재정, 경제, 사업, 음식, 욕심,
一, 財(정재․편재)의 작용
1, 정재와 편재는 일간이 극하는 五行이다. 財가 약하면 운에서 財가 왕해지기를 기다려야 하고, 財가 왕성하고 신약하면 財를 감당하지 못한다.
2, 정재 : 甲일이 己를 보고 乙이 戊를 보는 것과 같이 일간이 극하되 음양이 다른 것이다. 일간이 극하고 제어하는 것이니 처가 된다. 사람이 처를 얻을 때면 처가 재산을 가지고 시집을 오는데 내가 정신과 육체가 건강해야 처,재의 복을 누릴 수 있고 내가 쇠약하면 재복을 누릴 수 없다. 財가 득시하고 왕해야 좋고 정재와 편재가 혼잡되거나 많으면 나쁘다. 財多身弱하면 운에서 일간을 생조할 때 富를 누린다. 財多身弱하면서 사주에 인성이 없거나, 財衰身强할 때 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이 모두 태과하거나 부족한 것이므로 복이 되지 못한다.
3, 편재 : 甲일이 戊를 보고 乙日이 己를 보는 것과 같이 나의 전유물이 아니고 여러 사람의 재물(衆人의 財)이다. 비겁이 있으면 분탈의 재앙이 있고 사주에 관성이 없으면 재앙이 나타난다. 편재는 천간에 있어도 좋고 지지에 숨어 있어도 좋은데 분탈됨과 공망됨을 꺼린다. 이렇게 되면 벼슬을 하지 못하고 재물이 오래 가지 못한다.
4, 財(정재, 편재)를 보는 법
-득시득세했는지를 먼저 살펴야 한다.
-월지와 기가 통하면 득시한 것이고 월지의 도움이 없지만 무리를 지으면 득세한 것이다. 일간의 강약이 중요한 판단의 근거가 된다. 일간이 강하면 재성을 돕고, 일간이 약하면 일간을 부축해야 한다. 財는 정재와 편재를 막론하고 반드시 일간이 강해야 재를 감당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財가 많아도 복이 되지 못한다. 財旺身弱(富屋貧人)은 주로 은행이나 상점에서 금전의 출납을 맡게 된다. 극도로 신약하면 재물로 인해 재앙이 생긴다. 財가 왕한 사람은 사주에 祿이 있어야 하는데 년지건 월지건 일지건 시지건 간에 건록,임관의 지지가 있어야 한다. 財가 용신이고 지지에 祿이 있으면서 祿이 충을 받지 않으면 필시 부하거나 귀하게 된다. 양인이나 겁재가 있어 신왕한데 財가 있다면 필히 식상이 있어 통관시켜야 한다.
1), 식상의 기운을 설기하고 관살을 생해준다.
-일간이 강하고 식상도 강할 때는 일간의 秀氣가 빠져나간 채로 있으니 물이 고여 있는 듯해서 별로 쓸모가 없다. 이때는 재성이 있어서 식상의 쓸모없는 기운을 흡수해서 재물로 화하게 해야 좋다. 일간이 쇠약한데 식상이 있을 때는 인성으로 식상을 제어하고 일간을 도와야 하는데 이때 재성이 있으면 인성을 파괴하고 관살을 생하여 일간을 극하므로 재앙이 생기게 된다. 일간이 강한데 관살이 약할 때는 재성으로써 관살을 강화시켜야 한다. 일간이 약하고 관살이 왕한데 재성까지 있으면 관살이 더욱 강해져 일간을 극하므로 재앙이 무궁하게 된다.
2), 편인을 극제하고 인수를 극한다.
-일간도 강하고 편인(도식, 효신)도 강할 때, 일간도 강하고 인수도 왕할 때는 재성이 있어 인성을 극해야 한다. 일간이 약하여 편인으로 도와야 할 때는 재성이 편인을 파괴하면 해롭다.
-陽일간의 경우 편재는 인수와 합하여 인수를 파괴하고 陰일간의 경우는 정재가 편인과 합하여 편인을 무력화시킨다.
甲丙庚己
午午午巳
-丙이 午월에 나고 지지에 巳午가 꽉 찼다. 천간에 甲이 丙을 생조하니 불길이 치열하다. 월간의 庚 편재가 午를 깔고 있으니 매우 약하다. 다행이 년간 己가 金을 생하니 火土 상관생재격이 되었다. 초년운 己巳, 戊辰에 식상이 일간의 기운을 뽑아내고 財를 생하니 유산이 풍족하였다. 그러나 丁卯, 丙寅 운이 되자 木火가 왕해지고 土金이 상처를 입으니 두 명의 부인과 네 명의 아들이 죽고 재산이 없어졌다. 乙丑운이 되자 乙庚이 합해 金으로 변하고 巳丑 金局을 이루니 재산을 일으키고 소실과 자식을 얻었다. 甲子, 癸亥 북방 水운에 불을 제압하고 흙이 축축해져 金을 생하니 큰 돈을 벌었다. 이것은 조후의 작용이다.
丁丁癸己
未巳酉未
-丁이 酉月에 나니 실시했다. 그러나 시간에 丁의 비견이 돕고 지지 巳未에 통근했으니 신약하지 않다. 癸는 己의 극을 받아 무력하므로 용신이 되지 못하니 할 수 없이 巳酉 金局을 이룬 것을 용신으로 삼으니 財가 용신이 된다. 그러므로 戊辰운에 상관이 財를 생하여 부귀하였다. 丁卯운이 되고 巳年에 木火가 왕하여 군겁쟁재하고 卯가 용신인 酉를 충하니 卯未 木局이 金局을 파괴하여 죽고 말았다.
-일간이 쇠약하면 財가 관살을 생하는 것을 두려워하니 이때는 인성이 비겁을 생조하여 재성을 극해야 좋고, 관살이 운에서 와서 비겁을 극하면 흉하다. 일간이 강하면 財가 관살을 생조하여 일간을 구속하면 좋으니 비겁이 있으면 財를 파괴하므로 흉하다. 일간이 약하고 식상도 약한데 財가 있을 때는 비겁이 있으면 좋으니 財를 극해주기 때문이다. 일간이 강하고 식상도 왕한데 재가 있으면 재가 왕할수록 좋고 비겁운은 흉하다. 일간이 약하고 재성이 있어 인성을 극할 때는 비겁으로 재를 극해야 하고 식신이 재를 생하면 나쁘다. 일간이 강하면 인성이 필요기 없으니 財가 인성을 극하면 좋고 비겁이 財를 극하면 나쁘다. 일간이 약한데 財가 印을 극하고 있으면 비겁으로 財를 극하고 인성을 구출하면 좋고 식상이 財를 생하면 나쁘다. 일간이 강하고 인성이 있으면서 財가 있으면 식상은 좋고 비겁은 나쁘다.
•, 木극土-土多木折, 火극金-金多火熄, 土극水-水多土流, 金극木-木多金缺, 水극火-火多水蒸,
•, 재성은 인정이 없고 재물을 모으는데 관심이 많다.
•, 수생(受生) : 인성이 생해주는 것 -출생(出生)
양생(養生) : 재성이 생해주는 것 -양육(養育)
생생(生生) : 관성과 식상이 생해주는 것 -창조(創造)
二, 財星이 편중되거나 혼잡한 사주의 특성
*, 財가 너무 지나치면 災와 殺로 변한다. 편법이나 불법을 써서 모은 돈이 빠져나갈 때는 단순한 損財는 물론 반드시 재물로 인한 官災가 생기고 더 나아가서는 건강을 해치거나 심하면 生命마저도 위협한다. 같은 재성이라도 신왕할 경우에는 財生官이 되어 명예나 관직에 도움이 되는데, 신약할 경우에는 財生殺이 되어 나를 해치는 것이다.
*, 먹을 福이 많은 사람'은 재성이 많은 사주이다. 재성은 내가 극하는 성분으로 노력하여 벌어들이는 재물이고 나를 길러주는 음식 등 내가 취하는 물질이다. 재성은 養生이다. 생명에 꼭 필요한 기본적인 공기나 물 등을 인성으로 본다면 밥이나 반찬 등은 재성이다.
*, 生에는 근본적으로 나를 생해준 인성 즉 수생(受生), 나를 길러주는 재성을 양생(養生), 내가 나의 인생을 만들어 나가는 관성과 식상을 생생(生生)이라 한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앞에 말한 이 세 가지의 生 중에서 한 가지라도 빠진다면 이는 완전한 生이 되지 않는 것이다. 인성이 없다는 것은 근본적인 생명의 기틀이 빈약한 것이고, 재성이 없는 것은 스스로 존재하기가 어려워지고, 관성과 식상이 없다면 창조적이고 활동적이지 못한 것이다. 受生보다는 養生이 중요하고, 養生보다는 生生이 중요하다.
*, 사주에 재성이 많은 사람은 사교성이 있어 친구가 많다. 언제나 가벼운 이야기 소재와 화제가 풍부하여 주변 사람들의 귀를 즐겁게 해주며, 다정다감하고 부드러워 남에게 친절을 잘 베푸나 꼼꼼하지 못하고 덜렁거리는 성격이 있다. 정이 많다보니 자기와는 별로 상관없는 일에도 인정에 얽매여서 질질 끌려가는 경우가 많다. 사람 좋다는 소리는 많이 들으나 실속이 없어질 경우가 많으며 쥐뿔도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리는 일이 많고 능력이나 분수에 넘치는 소비나 지출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사주에 재성이 태과한 사람은 항상 재물에 대한 집착이 강해 재물을 모으는 일에만 전념하거나 무리한 재물을 탐해 자꾸 사업을 벌리는 경우가 많은데(편재가 많은 경우 일확천금을 노림) 돈을 벌기는 커녕 빈털터리가 되거나 도리어 禍를 당해 관재가 따르며, 항상 노력은 많이 하나 결실이 없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이 자기의 능력이나 여건을 무시한 채 욕심에 사로잡혀 분수를 모르고 일을 저지르다 보니 잘되기는 커녕 가까운 주위 사람들에게 까지 피해를 주게 되니 친하거나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과 멀어지고, 따돌림의 대상이 되기 쉽다. 그러다 보니 자연적으로 반항심이 생기거나 자포자기적인 생각에 주색에 빠지게 되거나 엉뚱한 사고를 많이 일으킨다. 사주에 재성이 태과하면 계획성과 판단력 그리고 인내심에 해당하는 印星이 파괴되는 탓이다. 재성이 혼잡된 사주에서 년주나 월주에 편재가 있고 시주에 정재가 있으면 처음에 사업을 하다가 망한 뒤에 월급쟁이로 나가는 경우가 많으며, 년월에 정재가 있고 시에 편재가 있으면 앞의 상황과 반대이다.
*, 사주에 재성이 많고 일주가 약한 사주를 財多身弱 사주라 하는데, 한마디로 말해 그림 속의 떡과 같아서 보기에는 좋고 쉽게 먹을 수 있을 것 같으나 매사에 결과는 뻔한 경우이다. 재성이 편중된 사람은 항상 돈이나 여자로 인하여 재앙이 따른다. 매사에 탐욕이 실패의 원인이 된다. 공직,직장생활을 하는 사람은 뇌물이나 여자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 인성은 공부와 학문을 의미하는데, 재성이 편중된 사주는 인성을 극제하므로 학마살(學魔殺)이다. 학업이 부진하게 되고 중간에 전공을 바꾸거나 중퇴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기에 財星運이 오면 이성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거나 멋을 내고 돈 쓰는데 정신이 팔려 하라는 공부는 안하고 용돈이나 유흥비 마련을 위해 가출을 하거나 청소년 범죄의 유혹에 넘어가 관재마저 당할 우려가 많다. 재성이 편중된 사주에 다시 재성운이 오면 그 영향력이 커져 학교 성적의 하락은 물론 중간에 학업을 그만 두거나 범죄를 일으키는 예가 많다.
*, 재성이 과다한 남자의 경우는 활동력이 있고 능력이 있는 처를 만나 처의 내조가 좋으나 성격이 드센 처를 만나거나 악처를 만나 공처가 되기 쉽다. 처가 가권을 쥐고 자기는 백수가 되거나 마누라 비서 노릇을 하는 예가 많다. 처로 인한 집안의 풍파가 많이 일어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일찍 상처를 하거나 가는 곳마다 여자가 따라 첩을 두고 여자에게 의지하여 살아가는 경우가 있다. 財多身弱 사주에서 정재가 왕하면 본처가 첩을 인정 못하거나 처가 억세어 첩을 얻지 못하는 경우이고, 편재가 왕하고 정재가 약할 경우 본처가 첩에게 밀려나 첩이 안방을 차지하거나 첩에 의지하여 사는 경우가 많다.
*, 財多身弱 사주는 비겁운이 오면 발복한다고 씌어 있으나 사회적인 면이나 금전적인 면은 다소 좋아질 수 있으나 가정에는 풍파가 생기거나 깨지기가 쉽다. 왜냐하면 지금까지는 마누라한테 눌려 살다가 이제 자기의 힘이 좀 강해지니 마누라한테 큰소리를 치게되고 그러다 보면 자연적으로 싸움이 되고 이혼이 되는 경우가 생기고 주색잡기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재성이 편중된 남자 사주는 모처간의 불화(姑婦간의 갈등)을 면하기 어려워 중간에서 자기입장이 난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남자의 어머니는 인성이고 처는 재성이므로 재성이 인성을 극하려 하나 어른인 시어머니가 절대로 며느리한테 안 지려고 하기 때문에 사이가 나쁘고, 인성인 어머니는 일주인 자신을 생하므로 자꾸 자기를 부추기거나 닦달하여 재성을 극하게 하니 자기는 중간에 끼어서 이러하지도 저러하지도 못하는 상황이 된다(재성-剋->인성-生->일주-剋->재성).
*, 재성이 편중된 사주는 조실부모하거나 서출인 경우가 많으며, 아버지의 배다른 형제가 많다. 명주가 태어나면서 부터 집안이 기울거나 몰락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주에 재성과 관성 두 가지가 모두 태과할 경우에는 부모와 처자식 그리고 재물 등의 세속 인연이 모두 약하므로 속세를 등지는 僧道의 命이 되는 경우가 많다.
*, 여자의 명에서 재성이 태과하면 남편한테 온갖 정성을 다하여 내조하더라도 결국은 배신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財는 官을 생하기 때문으로 재성이 태과하면 대부분 신약해지기 쉬운데 거기에 관성을 생하면 자기는 더욱 약해지거나 관성으로 하여금 심한 극제를 당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성격이 별나거나 깐깐한 시어머니를 만나 시집살이를 하거나 두 분의 시어머니를 모시는 경우가 있으며, 남편궁도 아름답지 못하여 재가가 아니면 小室의 命이 되는 경우가 있다.
*, 재성이 태과한 사주에서 인성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에는 교육 계통이나 은행 또는 경리 계통이 잘 맞으며, 비겁을 용신으로 쓰면 초가단칸 집에 살면서도 일확천금을 노리는 경향이 있어 항상 뜬구름만 잡는 식으로 사업을 한답시고 쫓아다니기 쉬운데 성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인성이 용신일 때는 재성운이 오면 문서관계나 서류착오로 인하여 쫄딱 망하거나 관재수가 생기고, 비겁이 용신일 때 관운이 오면 무리한 욕심을 내다가 실패하거나 관재가 생긴다. 財가 용신일 때 인성운이 오면 매사에 계획만 세우다가 마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