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남대문시장(서울 南大門市場)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에 있는 상설시장.
▼형성 및 변천
1921년 3월송병준(宋秉畯)에 의하여 조선농업주식회사(朝鮮農業株式會社)가 설립되면서 정식으로 개시(開市)하게 되었으며, 남문(南門) 안장 또는 신창(新倉) 안장이라고도 불렸다. 그러나 이보다 훨씬 이전인 1414년(태종 14) 조정에서 남대문 언저리에 가게를 지어 지정된 상인들에게 빌려주기도 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이후인 1608년(선조 41) 지방에서 올라오는 세공(歲貢)·세곡(稅穀) 등을 보관하고 포(布)·전(錢)의 출납을 맡아보는 선혜청(宣惠廳)이 지금의 남창동 부근에 설치되게 됨에 따라, 남대문 밖 칠패(七牌)에는 자연히 객사와 주막이 생기고 사상도매(私商都賣)의 시장이 형성되게 되었다. 이것이 이곳에 시장이 생기게 된 연유이다. 개시 초기 주로 거래되었던 품목은 미곡·어류·과물·잡화 등이었는데 미곡을 비롯한 곡물류가 가장 많이 거래되었다. 1922년 조선총독부에서 행한 조사에 따르면 남대문시장 거래액 중 농산물이 77%로 가장 많고 수산물이 5%, 기타 17%이다. 1922년 시장경영권이 일본인 회사인 중앙물산주식회사(中央物産株式會社)로 넘어가게 되어 명칭도 중앙물산시장으로 바뀌었지만, 우리 나라 사람들은 계속해서 남대문시장이라고 불렀다. 광복 이후 일본인들이 물러나자 상인들로만 구성된 남대문상인연합회가 구성되어 시장을 관리, 운영하게 되었다. 그러나 곧 6·25전쟁을 맞아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서울이 수복된 뒤 다시 시장이 형성되어 당시 피난민들의 생활터전으로 큰 구실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53년 화재발생으로 시장은 전소되어버렸고, 1954년 상인들에 의하여 서울남대문시장주식회사가 설립되어 재건이 시작되었지만, 재정난으로 얼마 지나지 않아 해산되어버렸다. 1958년 대지 약 1만 2000평, 건평 약 2,000평 규모의 건물이 세워지고 1963년남대문시장주식회사가 다시 발족되었지만, 1968년 또다시 대화재로 시장 중심부가 전소되었으며, 1975년에도 화재가 발생, 시장 일부가 불탔다.
현황
1995년 현재 남대문시장은 대지면적 2만 467㎡, 건물연면적 6만 4613㎡에 종사자수가 9,900명으로 서울 최대의 서민시장이다. 노점상에서부터 현대식 백화점에 이르기까지 고루 갖추고 있으며, 점포수만 5,400개이고 시장노점상 또한 빽빽이 들어서 있다. 업종도 의류·청과·식품·잡화 등 모든 것을 망라하고 있다. 예전에는 주업종이 농산물이었지만, 지금은 의류취급점포가 다수이다. 그 밖에 농수산물과 축산물 등 주로 생식품류 취급상가, 일명 도깨비시장이라고 하는 외래품취급상가·공예품전문상가·악세서리전문상가 등이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 시계회사의 대리점이 모여 있는 세칭 시계골목이 있어 싼 값에 시계를 구입할 수 있고, 1980년에 세워진 숭례문시장에는 592개의 점포에서 주로 수입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남대문시장의 상권은 거의 모든 품목이 전국적인데, 특히 의류의 경우 전국 기성복의 반 정도를 공급하고 있어, 전국 최대의 의류도매상가가 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거래되지 않는 상품이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건축자재와 가구류를 제외한 다종다양한 상품이 팔리고 있어, 전국을 지배하는 우리 나라 최고(最古)·최대의 종합시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시설의 현대화와 더불어 의류 및 잡화, 수입품의 전문 도·소매 시장화를 통해 가능했다. 따라서, 남대문시장은 경기변동에 민감하여 실물경제의 흐름을 대변하는 우리 나라의 얼굴이 되는 시장이며, 서울의 관광명소로 손꼽히고 있다.
참고문헌
『서울육백년사』 2·4(서울특별시, 1978·1981)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서울의 상업공간 변화」(박윤숙 외, 『녹우회보』27, 이화여자대학교, 1985)
『전국 도·소매업체총람』(대한서울상공회의소,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선혜청 창내장. 갓을 쓰고 한복을 입은 상인들이 바닥에 주저앉아 바구니 속 물건을 판매하고 있다.
조선시대 시장 모습. 두루마기를 입은 남성이 물건을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남대문시장 양은그릇 가게. 양은 솥이며 주전자 등이 가게마다 그득히 쌓여 있다.
1940년대 초 남대문시장 일대 항공사진.
1977년 중앙상가 화재. 당시 C동에 입주해 있던 351개 점포가 전소되었으며
공식적 추계 재산피해는 1억 5천여만 원, 상인들 추산으로는 20억 원 정도였다.
1972년 남대문시장 중앙통. 지금과 크게 다를 바 없는 모습이다. 남대문시장 칼국수골목으로
들어서면, 좌우로 칼국수집들이 나란히 ~~~. 우리는 [동네한바퀴 모임]이라 남해식당으로.
시장통의 음식점이니, 우아하고 고상한 분위기는 기대하지 말자. 쪽의자에 나란히 앉으면 情이 철철 넘친다.
'찰' 주문과 동시에 이렇게 좌악 깔린다.
실로 오랜만에 마주하는 고봉밥. 혹시나 배고플라, 인정이 한 가득. 찰밥이라 그런지, 서로 찰떡같이 붙어 흘러 떨어지진 않네.
어릴 때 엄마가 주던 그 음식들이다. 이모가 옆에 앉아 "많이 먹어라" 권하던 바로 그 맛이다.
찰밥에, 칼국수에, 냉면에, 막걸리까지 ~~~. 세 자매님들의 구수한 입담에 맛이 있어 자꾸 먹기는 하는데,
아, 글쎄, 과식은 누가 책임지나. 까짓거, [서울로7017] 걷다 보면 소화되겠지. ㅎ ㅎ ㅎ.
칼국수 담당 맏언니, 손님 오시는 대로 칼국수 미느라 바쁘다. 둘째는 밥 담당, 막내는 냉면 담당,
모두들 각자 임무대로 바쁜데도, 몸 따로 입 따로 ~~~. 정겨운 말쏨씨로 입맛을 돋운다.
맏언니 생활의 달인
가격표. '보'는 7천원, '찰'은 8천원. "맛있게 자~알 먹었습니다. 또 올게요." "찰밥도 고마워요. 잘 먹을게요."
1959년 남대문시장
이곳에서 가까운 남대문시장을 방문하기로 합니다..
미국 이민가기 전에 왔었으니 실로 몇십년만에 찾는 남대문 시장입니다..
시장에 가며는 꼭 볼 수 있는 호떡.. 정말 맛납니다..
원 아동복 상가.. 예전에도 있었던 같이 눈에 익숙합니다..
본격적인 남대문 시장 투어를 시작합니다..
코로나 때문에 시장이 한가해 보입니다..
크리스마스 장식용품 가게를 보니 웬지 기분이 업되네요..
약 1만개의 점포에 하루 30만명의 인파로 북적된다는 사인이 생소해 보일 정도로 시장이 한가했습니다..
빨리 코로나가 지나가고 시장도 활기가 띄기를 바래봅니다..
2022-03-07-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