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한반도 농, 수산물과 식 생활에 애용, 한반도 옷과 신발을 신고, 입어
한반도의 안경알을 쓴다.
이러한 한반도의 남, 녀 모습은 한반도의 역사 속의 우리들이며, 어려움을 이겨내고 이 역사를 다시 새기리...
백두대간을 오르고, 내리고 그대 모습 백발되도 우리 민족 역사 속의 한반도 모습.
그대 얼굴 거울 삼아 한강에 담고, 낙동강과 섬진강에 거울 비쳐서 우리 모습 금강에 갑천으로 흐르리...
언제 그날이 오리
한라산은 내 고향 제주도 여인
물 메고 등에 메고 돌 담 쌓아서
돌하루방 재를 들여 여인네로 살고 지고
집 서방 모심으로 자녀를 낳아
육지 서방 만나도 서글프지 않아
해녀의 수산물은 그리운 어머님
한반도의 거울을 우리의 비쳐
민주거울 내거울 백두 천지에...
두만강을 넘어서 서해를 보고,
내 고향 산천은 갈매기 울 때
벗꽃을 기다림은 우리에 씨앗
민주 씨앗 낳아서 잘 효도하리라
우리 할매 우리 할배 내 고향 산천
보고 파라 우리 엄매 우리의 거울...
민주 한반도 거울 삼아 빛으로 비쳐
그 날이 올때 까지 잊지 않으리...
제주도의 안녕이 색시 마음에 새겨
우리 엄매 잘 지내라 걱정 말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