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조 (時調)
/ 고려시대 시조 / 조선 전기 시조 / 조선 후기 시조 / 연시조 / 사설시조 / 기생들의
시조 /
/고전문학 목록 / main /
시조는 고려 말기에 완성된 정형시로서 민족의 정서를 담고 현재까지 이어온 유일한 민족의 문학이다.
내용은 유교적 충의 사상을 노래한 것과 자연 속에서의 삶을 비롯하여 평민들의 진솔한 삶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
(1) 형식
4음보, 3장 6구 45자 내외, 음수율 3.4조
시조의 자수율 |
장 |
전체 |
제1구 |
제2구 |
제3구 |
제4구 |
초장 |
15자 안팎 |
3(4) |
4 |
3(4) |
4 |
중장 |
15자 안팎 |
3(4) |
4 |
3(4) |
4 |
종장 |
15자 안팎 |
3 |
5 |
4 |
3 |
(2) 명칭
단가(短歌), 시조(時調 - 조선 영조 때 창곡상의 명칭인 시절가조(時節歌調)의 줄인 말
(3) 시조의 종류
평시조 : 전체 (초장 · 중장 · 종장) 45자 안팎의 단형 시조.
엇시조 : 초장 · 중장 가운데 어느 한 장의 자수가 제한 없이 길어지고, 종장에 변화가 없는 중형 시조.
사설 시조 : 초장 · 중장이 제한 없이 길어지고 종장도 웬만큼 길어진 장형 시조.
연시조 : 한 제목 아래 평시조를 여러 수 엮어 나간 시조.
양장 시조 : 초장과 종장만으로 된 변형된 시조.
단장 시조 : 종장만으로 멋을 내려고한 변형 시조.
(4) 시조를 읽는 방법
① 시조의 형태를 알아본다 : 시조는 3장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3장 3줄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6줄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각 장의 구(句)를 2구씩 한 줄로 하여
6줄로 벌여 놓아도 형식은 평시조이다. 또 같은 평시조라도 어느 구가 몇 자씩 더 늘거나 줄 수도 있다. 이런 점을 살펴서 평시조인가, 엇시조인가, 사설 시조인가를 알아보아야 한다.
② 장면과 계절을 알아본다 : 시조 속의 배경이 시골인지 도시인지 살펴보고, 그 정경이 어느 때, 어디서 일어난 장면이며, 계절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본다. 또한 어느 계절의 어느 때(아침, 낮, 밤)인가를 자연의 풍경을 읊은 서경시에서는 잘 파악하여야 시조 속에 담긴 분위기를 뚜렷이 알 수 있다.
③ 주제와 소재를 알아본다 : 지은이가 표현하고자 하는 근본 정신이나 의도가 주제이므로, 이를 알아보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특히 옛 시조는 이별 · 자연 · 도리
· 교훈 등 몇 가지 주제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시조를 읽을 때 어떤 소재로 주제를 어떻게 살렸으며, 주제를 살리기 위해 이용된 글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생각하며
읽는다.
④ 표현상의 특색을 알아본다 : 시조는 한문투, 예스런 말투, 산뜻한 우리 말투로 되어있다. 시조를 읽으며 순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감상하고, 그 말들이 어떤 리듬을
타고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가를 살핌으로써 우리말의 아름다움은 물론 지은이의 개성과 심정을 알 수 있다.
⑤ 시조가 씌어진 시대를 알아본다 : 옛 시조는 자신의 마음을 그래도 표현한 것이다.
그러므로 시조가 씌어진 시대를 알아보면 지은이가 왜 그 시조를 쓰게 되었는지를 알
수 있고, 또 시대적 배경을 알 게 됨으로써 시조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⑥ 리듬을 살펴본다 : 시조의 기본 리듬은 3 · 4조 내지 4 · 4조이다. 그러나 현대 시조는 이 기본 리듬을 무너뜨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밖으로 드러난 외형률(글자
수)보다는 글 속에 흐르는 내재율을 생각하며 읽는다.
조선시대 시조의 특징
① 안빈낙도, 풍류, 충의 증의 사상이 밑바탕이 되었다.
② 귀족계급의 문학에서 차차 평민문학으로 발전하여 국민문학이 되었다.
③ 단형( 평시조) 에서 중형(엇시조)으로 다시 장형(사설시조)으로 발전
④ 우리의 민족 정서에 알맞아 고유의 대표적인 문학장르를 형성하였다.
|
● 고려, 조선 초기의 시조
1) 고려 유신들의 '회고가'(고려를 그리워함), 유교적 충절을 노래한 사육신들의 절의가 등이 많이 지어졌다.
2) 신왕조 건설에 적극 참여한 작가들의 찬양의 노래가 지어졌다
3) 정국이 안정되고 왕조의 기틀이 잡힌 뒤로는 유교사상과 함께 노장(老壯)의 무위자연가(한정가), 은일가도 많이 지어졌다.
4) 주로 평시조가 많이 지어졌다.
● 조선전기의 시조
1)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을 둘러싸고 단종에 대한 절개를 노래한 작품도 나왔다.
2) 사림파의 문학(강호가도) : 16세기에 접어들면서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 즉 당쟁이 치열하게 벌어져, 사대부들이 벼슬길에서 뜻을 이루지 못하면 자연에 은거하여 도리를 찾는 문학을 노래하는 기풍이 나왔다.
강호가도의 길을 연 사람 : 이현보와 송순이며, 이황, 이이, 정철 등이 이를 계승하였다.
3) 기생들이 시조를 짓는 사례도 점차 많아짐 → 사대부들의 전유물이던 시조가 이제는 조금씩 그 담당층이 확산되어 감
4) 평시조로 많은 생각이나 체계적인 사상을 표현하기 힘들게 되자 여러 수를 함께 묶은 연시조가 등장했다
평시조 → 연시조 (최초 -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
● 조선후기의 시조
1) 학자들의 교양물로써 역할을 하면서도 그 작자 계층이 평민, 부녀자 등 거의 모든
계층까지 확대되어 국민문학으로 성장하였다.
2) 사설시조의 등장 : 실학사상과 산문정신의 영향으로 장형시조인 사설시조가 등장하였다.
3) 시조집의 편찬 : 시조 작품이 축적됨에 따라 가객들에 의해 시조집 편찬이 성행하였다.
시 조 집 |
편 자 |
연대 |
작품수 |
내 용 |
청구영언 |
김천택 |
영조(1728) |
998수 |
곡조별 분류, 최고의 시조집 |
해동가요 |
김수장 |
영조(1763) |
883수 |
작가별 분류 |
가곡원류 |
안민영, 박효 관 |
고종(1876) |
800수 |
곡조별 분류, |
해동가요 |
김수장 |
영조(1763) |
883수 |
작가별 분류 |
고금가곡 |
송계연월옹 |
영조(1764) |
302수 |
작품의 주제별 분류 |
병와가곡집 |
이형상 |
정조 |
1109수 |
곡목별 분류 |
근화악부 |
미상 |
정조 |
394수 |
주제별 분류 |
화원악보 |
미상 |
고종 |
650수 |
곡조별 분류 |
동가선 |
미상 |
순조 |
235수 |
작가 및 주제별 분류 |
남훈태평가 |
미상 |
철종 |
224수 |
순 한글로 표기 |
4) 가단의 형성 : 시조를 전문적으로 부르는 가객이 등장하여 가단을 형성함.
명 칭 |
연대 |
구 성 원 |
비 고 |
경정산 가단 |
영조 |
김천택, 김수장 등 |
창법과 작시를 연구 |
승평계 |
고종 |
안민영, 박효관 등 |
가곡원류 편찬 |
● 시조의 흐름
고려말 |
→ |
조선전기 |
→ |
조선후기 |
평시조 형태 완성 |
연시조의 등장 |
사설시조의 등장 |
개인정서, 서정적 |
자연친화, 관념적 |
현실반영, 풍자적 |
음영(吟詠)을 위주로 함 |
창곡(唱曲)을 위주로
함 |
/ 고려시대 시조 / 조선 전기 시조 / 조선 후기 시조 / 연시조 / 사설시조 / 기생들의
시조 /
출처
http://songkw.com.ne.kr/go1/5.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