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용역 과업 최종보고서 | |||||||||||||
과 제 명 |
옻 가공품 활용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관한 기초연구 | ||||||||||||
주관기관 |
(주)네이쳐팜 |
대 표 자 |
이 상 수 | ||||||||||
과제책임자 |
조 홍 진 , 김운용 | ||||||||||||
개발기간 |
2008. 11. 20 ∼ 2009. 2. 28. | ||||||||||||
개발사업비 (천원) |
6,000 | ||||||||||||
개발목표달성도(%) |
10 |
20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
개발완료시기 |
2009년 2월 | ||||||||||||
옥천군지역혁신협의회의 규정에 의하여 최종보고서를 제출합니다.
별첨 1. 최종보고서 1부.
2009년 2월 28일 | |||||||||||||
총괄책임자 : 조 홍 진
연구기관 : (주)네이쳐팜 대 표 자 : 이 상 수
옥천군지역혁신협의회 귀하
|
(인)
(인)
|
목 차
Ⅰ. 옻의 일반적 개요 6
1. 재배환경7
2. 이용방법8
3. 이용사례 9
4. 옻의 효능 11
1)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옻의 효능11
2) 옻을 응용하여 접근한 분야12
3) 응용분야 접근방법 12
4) 이용방법에 따른 세분화 12
5) 충 기피 식물로서의 옻나무 13
Ⅱ. 농업의 역할과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14
1. 농업의 역할 14
1) 식량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생산기지14
2) 타산업의 원료공급과 자재구매력 확보 16
3) 자연환경 및 생태보전의 공익적 기능 16
4) 집단화합과 문화전통계승 17
2.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18
1) 관행농업의 결과 18
2) 친환경농업의 결과19
3) 친환경 농산물의 종류 및 인증현황 19
4) 친환경 농산물의 종류 및 기준 20
5) 친환경 농산물의 시.도별 인증현황 21
6) 친환경 농산물의 년도별 인증현황 22
7) 친환경 농산물의 종류별 인증현황 23
8) 천연물에 있는 대표적 기능성 효능물질24
3. 친환경농업의 증가 추세는 24
Ⅲ. 옻에 함유된 물질 및 친환경농업에 적용가능성 26
1. 옻에 함유된 구성 물질 및 성분조사 26
1) 옻에 함유된 물질의 분포부위 26
2) 옻의 자생지별 주요성분 27
3) 한국, 중국, 일본의 옻나무 구성 27
4) 산지별 생 옻의 성분 구성표 27
2. 최근 연구논문의 자료 분석 28
3. 옻나무의 구성성분이 인간에 미치는 효과와 식물적용 검토 30
1) 천연물에 들어있는 대표적 기능성 효능물질의 비교 30
2) 옻에 들어있는 기능성 물질의 비교 31
3) 제품 형태별 적용가능성 32
4. 친환경농업에 사용가능한 식물추출물의 범위 32
1) 유기농산물 33
2) 무농약 농산물, 무항생제 xc축산물 34
3) 친환경농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농약과 그적용 범위 35
가) 생물농약 35
나) 식물농약 35
다) 광물성자재 37
Ⅳ. 옻 가공품(옻목초, 옻진액)의 친환경가능성
시험연구 및 분석 38
1. 농가별 옻진액 실증시험(엽면시비 적용사례) 39
1) 옻진액을 사용한 농가 실증사례 발표 39
2) 옻진액을 사용한 농가 실증사례 41
2. 균사억제 실험(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45
1)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45
가)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의 날짜별 균사억제 정도 실험분석표45
나) 옻(옻목초)과 향수(옻하합물)의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46
2)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50
가)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의 날짜별 균사억제 정도 실험분석표50
나)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51
3) Magnaporthe grisea (벼도열병)55
가)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Magnaporthe grisea
(벼도열병)균의 날짜별 균사억제 정도 실험분석표56
나)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Magnaporthe grisea
(벼도열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57
3.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방충 가능성 실험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62
1)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62
가) 옻(옻목초)추출액 처리 농도별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의 감소효과에 대한 실험결과62
나) 옻(옻목초)추출액 처리농도별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이동성 조사65
Ⅴ. 결 론 68
Ⅵ. 제안서 70
Ⅶ. 참고문헌 71
옻 가공품 활용
친환경농산물 생산에 관한 기초연구
Ⅰ. 옻의 일반적 개요
우리나라는 부존자원 환경과 최근 수출이 둔화되는 세계 경제 여건에서 교역 국가로써 우리의 생산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취약한 농업의 문호를 열어 놓아야만 하는 자유, 보호무역주의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과 강대국과의 갈등 속에서 더욱 어려운 현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어려운 경제현실은 국내적으로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혁신적인 방안을 요구하게 되었고 마을 단위의 리더들의 많은 활동으로 크게는 군단위로 적게는 마을단위로 지역 간 균형의 편차가 점차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우리 옥천은 옻의 생육에 좋은 지역적 조건을 형성하고 있는 만큼 우리 지역의 문화와 연계, 개발하여 옻 특성화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면 농가는 물론 지역경제발전과 국민건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옻은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이 유용한 식물로 인식하고 보편적인 사용법으로 이용 하고 있다. 그러나 선호는 하지만 옻의 알레르기 부작용 때문에 식품으로 기피하는 사람들에게는 명쾌한 과학적 근거와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우리 옥천의 옻 특구 산업육성을 위해서는 옻나무의 생산과 다양한 옻의 특성과 기능을 살린 가공을 통하여 시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식품으로써 옻을 기피하게 되는 독성제거 및 관련기관의 규제에 대한 대처방안 모색 등 기술적 문제, 마케팅 부분에 있어서도 브랜드육성 등 타 시군과의 경쟁이 예상된다. 그러나 옥천 옻의 우수성이 인정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면 우리나라의 식품, 의약 그리고 친환경적 제품과 농업에서도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약리작용이나 생리활성에 관한보고는 많았으나 옻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는 지금까지 미흡한 상태 이다. 그러므로 이번연구는 그 동안 개인 및 각 기관들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던 친환경농업분야의 연구결과 자료를 수집하고 그에 대한 실험 등으로 확인된 접근방법을 제시함과 아울러 우리옥천군 농업소득원 개발에 활용하여 옻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1. 재배환경
옻나무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이며 과거에 재배하던 것이 번져서 야생화한 것이 있다.
▹학 명 : 옻나무 (Rhus verniciflua)
▹분 류 : 옻나무과 (Anacardiaceae)
▹원산지 : 중국
▹열매: 핵과(核果) 로 편원형이며 연한 노란색이고 털이 없으며 10월에 익는다.
▹잎: 어긋나고 9∼11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의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으나 뒷면에는 많다.
▹꽃 : 단성화로 녹황색이며 5월에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수꽃은 5개씩의 꽃 받침조각 · 꽃잎 및 수술이 있고 암꽃에는 5개의 작은 수술과 1개의 암술 이 있다.
- 작은잎 [leaflet] : 식물의 잎에서 복엽(複葉)을 이루고 있는 하나하나의 잎조각으로 소엽(小葉)이라고도 한다. 초피나무처럼 밑부분에 관절(關節) 등이 있을 때는 뚜렷하지만, 담쟁이덩굴처럼 갈라진 부분이 불완전할 때는 2개의 작은잎을 구별할 수 없다. 양치식물에서는 잎 조각 이라고 한다.
- 단성화 [單性花, unisexual flower] : 동일한 꽃에 암술과 수술 중 한 가지만 존재하는 꽃.
- 원추꽃차례 [panicle] : 무한꽃차례가운데 총상꽃차례로서 원추화서(圓錐花序)라고도 한다. 꽃 이삭의 축이 몇 차례 분지하여 최종의 가지가 총상꽃차례가 되며, 밑 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뿔형이다. 남천 등이 이에 속한다.
- 우루시올 [urushiol] : 페놀유도체의 하나로, 옻의 주성분.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나는 옻에는 함유되어 있으나, 인도차이나와 타이완산의 옻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다. 한국에서 나는 옻은 우루시올 60∼80 %, 수분 10∼30 %, 고무질 7∼8 %로 이루어져 있다. 1894년 G.벨트랑이 옻의 수액(樹液)에서 일종의 페놀을 추출하여 라콜이라 명명하였고, 1906년에는 일본에서 유사한 페놀을 추출하여 우루시올이라 명명하였는데, 이것을 정제하고 구조를 결정하여 4종의 혼합물임이 밝혀진 것은 22년의 일이다. 옻이 피부를 헐게 하는 것은 우루시올의 작용이다.
- 산화효소 [酸化酵素, oxidase] : 산화환원효소 중에서 수소수용체로 산소만을 이용하는 효소이다.
- 알칼리 [alkali] : 보통 수산화물 MOH의 형식을 취하며 산을 중화시키는 화합물로서 물에 녹는 물질.
- 나전 [螺鈿] : 자개를 무늬대로 잘라 목심(木心)이나 칠면(漆面)에 박아 넣거나 붙이는 칠공예 기법.
- 글리세린 [Glycerin] : 방부작용이 있으며, 희박용액의 자극을 완화하며 국소를 연화한다. 또한 관장약, 국소를 포섭보호하고 외부자극을 완화하고 유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목적으로 이용한다.
2. 이용방법
나무껍질에 상처를 냈을 때 나오는 진을 옻이라고 하며 공업용 · 약용으로 사용한다.
옻나무는 정식한 후 4년째부터 10년째까지 수액인 옻을 채취한다. 채취방법에는 옻나무 줄기 외피에 상처를 수평으로 내면 수액이 흘러나오는데 이것을 채취한 것을 생 옻 이라 하며 이것을 건조시켜 굳은 것을 마른 옻 이라고 한다.
옻을 채취하는 데는 상처를 적게 주어 나무가 죽지 않게 매년 조금씩 채취하는 경우와 상처를 많이 내어 최대한으로 옻을 채취하고 나무가 죽으면 베어버리는 방법이 있다. 7~10월에 옻나무에 V자형으로 상처를 내어 이 V자형 상처의 기부에서 아래쪽으로 수액 수취용기에 연결시켜 수액을 받아낸다. 보통 10년생 나무에서 250g 정도의 옻을 채취할 수 있다.
옻의 주성분은 우루시올(urushiol)이며 처음에는 무색투명하나 공기에 접촉하면 산화효소의 작용으로 옻의 색이 검게 변화 되어 간다.
우루시올은 경도(硬度)가 높고 아름다운 광택을 가진다. 채취한 옻은 오래 저장하여도 변하지 않으며 산이나 알칼리 또는 70℃ 이상의 열에 대해서도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다른 색소와 섞어서 여러 가지 기구 및 기계의 도료로 쓰이며 목제품의 접착제로 사용 된다. 특히 나전칠기는 한국 고유의 공예품으로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통경, 구충, 복통, 변비, 진해 등에 사용된다. 또한 종자에는 왁스(wax)가 많이 들어 있어서 이것을 채취하여 목랍(木蠟)을 만들고, 목재는 가볍고 무늬가 고와서 가구재나 부목(浮木)을 만들고 연료로도 쓰인다.
옻을 만질 때는 손과 얼굴에 기름(식물유 또는 광물유)을 바르고 해야 하며 작업이 끝난 다음에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거나 염화철 5g, 글리세린 50mℓ, 물 50mℓ를 섞은 물을 바른다.
옻이 이미 올랐을 때는 따뜻한 비눗물로 씻은 다음 베르츠수(시판약)를 3∼4회 바르면 치료된다. 간이 방법으로는 고운 소금을 물에 축여서 발진부에 바르면 가려움증이 사라지고 치유된다.
옻을 타는 사람은 10명 중 1명 정도이다.
3. 옻 제품의 이용사례
1)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옻닭과 옻오리로 또는 의약품으로 생리통, 구충, 폐결핵, 변비, 어혈 등의 치료제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옻나무 목질부에서 분리된 플라보노이(Flavonoids)는 알레르기작용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항산화 활성이 높아 건강 식음료, 강장, 강정, 암 예방제 등에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2)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한국내쇼날주식회사(대표이사 김형철)는 옻액을 이용하여 세계최초로 완벽한 수준의 유해전자파 차단과 높은 항균능력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우리의 전통 “옻”이 전자파를 잡는다.
- 세계 최초로 완벽한 수준의 전자파 차단 성공“
국내외에 특허 출원 12종을 완료함으로써 세계무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은 옻 공법 기술은 휴대폰, 컴퓨터, 전자제품, 자동차 내장재, 건축 실내인테리어,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부문에 적용할 수 있어 유해전자파의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옻의 주성분인 ‘우루시올’은 전자파 흡수율이 뛰어나 핵 잠수함, 스텔스 전폭기 등 에 사용될 뿐 아니라 항암 효과도 높다는 점이 KIST 생명공학 연구소와 산림청의 실험에서 입증된바 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이용한 옻으로 처리된 제품의 전자파차단 흡수율은 정보통신부에서 정하고 있는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정보 통신부 고시 2001-88호) 1.6w/kg은 물론 현재 국내에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의 전자파차단 흡수0.8~1.2 w/kg보다도 현저하게 낮은 0.0961w/kg으로 나타나 기존 제품보다 전자파차단을 90%정도 낮춘 획기적 기술로 인증 받았다.
미국 볼티모어 연방법원은 “휴대전화가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배출하고 있어 휴대전화 사용 시 암과 같은 질병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노키아, 모토롤라, 에릭슨 등 10여개 업체를 상대로 낸 집단소송을 받아들인바 있어 이러한 기술 개발은 향후 세계시장에서 커다란 반향이 예상된다. 또한 미국 캘리포니아 건강국과 스웨덴 국립연구소도 전자파가 백혈병이나 뇌종양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발표한바 있고 우리정부도 전자파 저감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기술개발이어서 세계로부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옻은 건조 공정 시 빨리 건조되지 않아 칠과 경화를 수차례 반복하게 되어 생산성 저하는 물론 이로 인한 비용 증가, 색상 표현의 제한 등 기술개발 이전에는 대량생산이 불가능하였으나 연구진의 1년 6개월에 걸친 연구와 실험 끝에 대량생산을 위한 공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색상표현 및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특수 코팅방법 개발 등으로 내구성을 가진 환경 친화적 제품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대량생산 하는데도 성공하였다.
김형철 대표이사는 옻의 성분을 이용하면 전자파 차단은 물론 항균효과 제고 등의 기술을 일상생활용품 및 산업제품 등에도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옻 제품의 대중화 실현을 앞당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 전자파의 논란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4. 옻의 효능
1)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옻의 효능
옻은 예로부터 도료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우리생활에 밀접한 식기를 비롯하여 부정을 방지하는 제기에도 사용되어 졌으며, 옻칠이 된 문화유산으로는 다 알고 있는 팔만대장경, 경남 창원 다호리 고분에서 발견된 기원전 1세기경의 그릇과 무기류,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과 왕비의 옻칠이 된 목관과 두침 등 다양한 옻 칠 제품이 있다.
보관성이 떨어진다는 목제가 그것도 땅속에서 천년을 견디어 현세에 나타나는 것은 옻의 탁월한 방부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의하면 옻은 사람의 장에 기생하는 삼시충등 기생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나와 있다.
정제된 옻으로 충남대학교에서 해충에 대한 80% 이상의 기피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다.
최근 아토피의 원인인 집먼지 진드기 등 해충에 의한 발병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08.06.23. MBC 뉴스데스크, 연세의대 이승헌 교수)되었다.
옛 문헌과 최근의 연구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옻을 이용하여 실내에 살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 등 작은 해충들을 퇴치하여 아토피 개선의 가능성을 열었다.
한국내쇼날의 옻칠로 인하여 아토피가 개선되었다는 사실이 TV에서 방영('06.11.22. KBS 환경스폐셜)되었고, 50건 이상의 사례로 확인하였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임상 시험 중이다. 또한, 옻을 적용하면 항균, 원적외선 방사, 탈취, 방부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특히, 한국내쇼날(주)에서 특수 가공하여 개발한 수성 옻을 도장 또는 섬유에 염색을 적용한다면 쉽고 간편하고 다양하게 옻을 접할 수 있으며, 다양한 효능을 만끽할 수 있다.
아토피 치료 효과 |
벽, 바닥, 가구, 섬유 등 새집증후군의 환경호르몬 개선 |
방충 효과 |
집먼지 진드기 등 해충의 서식을 방지 |
항균 효과 |
세균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 |
원적외선 방사 효과 |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로 세포재생 생체 리듬을 활성화 |
방부제. 탈취 효과 |
부패, 악취 발생 억제 |
3) 응용분야 접근방법
구 분 |
재래식 이용방법 |
최근의 연구결과 |
산 업 |
방부제 |
선박도료, 환경개선 |
식 용 |
닭과 오리에 첨가한 보신용 |
기능성 식품 |
약용, 의학 |
민간요법 |
항암, 항산화, 항균활성, 위염 억제효과 |
음 료 |
|
숙취해소용 |
4) 이용방법에 따른 세분화
▪천연도료 :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개발 잠재력 우수
▪식용 : 옻물, 옻순, 옻분말, 옻된장, 옻고추장, 소스, 기름, 음료 등
▪미용 : 화장품, 비누, 샴푸
▪약용 : 항암제, 어혈제, 재생제
▪경관 : 어메니티관광
- 자연생태자원, 경관자연,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
▪기타 : 한지, 장판, 목재, 의류 등의 다양화
▪농업용 : 식물생물농약, 생육증진, 무항생제 사료원료, 밀원
5) 충 기피 식물로서의 옻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면 유백색의 독성을 가진 수액이 배출된다. 이 수액은 곤충이나 동물의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며 상처부위를 아물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칠과 약재로 쓰기 위해 오래 전부터 재배한 (참)옻나무를 비롯해 산에서 흔하게 만나는 개옻나무와 붉나무, 산검양옻나무와 검양옻나무 등이 자생한다.
그중에서 옻나무의 독성이 제일 강하다. 붉나무는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잎에 톱니가 있다. 개옻나무는 작은잎의 개수가 보통 13장 이상으로 옻나무에 비해 많고 어린가지도 좀 더 붉은색을 띤다. 옻나무와 달리 열매에 강한 털이 있다. 재배지가 아닌 보통 야산에서 만나는 것은 대부분 개옻나무라고 보면 된다.
【옻나무 관련 사진】
옻나무
참옻 옻나무 껍질 건칠
개옻나무(좌)와 산검양옻나무(우) 열매
Ⅱ. 농업의 역할과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1. 농업의 역할
농업은 크게 산업·경제적 역할을 비롯하여 환경·생태 보전 역할과 더불어 집단 화합 및 문화전통 계승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국가의 성립은 영토가 기본이 되고 그 땅위에 농업이 이루어져야만 기본적으로 국가 구성원의 생명 유지와 더불어 자립적 주권이 확보될 수 있는 것이다. 농업이외의 산업이 아무리 발전된 문명사회라 할지라도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간식량은 태양·물·공기 등 자연의 힘을 빌려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통하여 생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 공급되고 있는 에너지의 원천인 화석연료도 아주 오래 전에 이루어진 광합성 산물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1) 식량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생산기지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한 이후 생존을 위하여 늘 따라다닌 것이 의식주의 해결문제로 이를 위한 수렵과 채취의 생산 활동 등으로 식량을 구하는 것이 삶 그 자체였으며 자연 재해를 입게 되면 굶주림을 벗어나기 위한 투쟁이나 정복의 역사를 만들기도 하였다.
식량은 주로 자연의 힘을 빌어서 광합성을 통하여 만들어지고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결실을 보기까지는 최소한 3~6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며 그에 맞는 적절한 시기에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자연 재해 등으로 식량 생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부족하게 되면 굶주림으로 생명을 잃게 될 뿐만 아니라 이를 얻기 위한 다툼으로 큰 사회적 혼란과 동요가 일어나게 된다. 이대로 지구상의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일인당 생존 식량 생산 면적은 점차 줄어들게 되면서 21세기 중반에는 아무리 과학이 발달되어 식량을 많이 생산한다 하더라도 특히 개발도상국 들은 큰 식량위기에 봉착하게 되고 향후에는 식량이 무기화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는 현재 사료를 포함한 곡물 자급률이 30% 정도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고 앞으로 2050년까지 조금씩 인구 증가는 계속되며 남북이 경제적 통합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가정 하에서는 7천만 민족의 식량공급 문제를 해결해야 할 큰 과제를 안고 있다.
북미·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국가가 엄청난 돈의 투자와 제도적 뒷받침으로 식량의 자급생산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식량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며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생명을 보존하기 위한 확고한 기반을 다지고자 함인 것이다.
식량문제를 전망할 때 왜 곡물을 주로 다루는가에 대하여 ’지구는 만원’ 이라는 책의 저자인 할 케인은 두 가지 이유를 들고 있는데,
첫째, 곡물은 인간이 섭취하는 식량에너지의 절반 정도를 직접적으로 그리고 육류, 우유 등 축산물을 통해 간접적으로 공급하는 에너지원이기 때문이며,
둘째, 곡물은 과일이나 채소와 달리 저장성이 길어 장거리 수송 교역이 가능하며 고위도 지대에서는 겨울철 동안, 그리고 몬순기후 지대에서는 건기 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점이다. 우리는 식량이 가지고 있는 수요 공급의 비탄력적 속성을 고려하고 농산물 수출국의 여건 변화와 불의의 재해 등에 대비하여 최소한 우리 곡물 자급률을 70%이상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식량 부족시대에 대비한 올바른 자세는 자기 나라가 필요로 하는 식량은 어느 정도 자국 또는 해외개발 농업 등 다른 방법을 통하여서도 다른 나라로부터 공급되는 식량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2) 타산업의 원료 공급과 자재 구매력 확보
농업은 공업· 상업· 서비스업 등 타산업의 원료를 공급해 주는 제 1차 산업의 역할을 하면서 농업 생산을 위한 자재나 농촌 생활을 위한 여러 가지 물자를 구매해 주는 공산품 수요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다.
전 국가 산업의 유기적 관계가 잘 유지되게 되면 그만큼 국내 산업의 기반이 쉽게 흔들리지 않고 지속적인 안정을 유지하게 되며 일정 수준의 자국내 내수기반을 확보해 둔 상태에서 수출이 이루어져야만 대외 의존적 불안정한 경제 체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농업의 기반을 튼튼히 하는 것은 바로 국가 전체 산업의 기초를 확고하게 만드는 것이 되며 국민 경제의 안정을 다지는 일이 되는 것이다. 우리가 지금까지 경험해 온 바로 알 수 있듯이 농사가 흉년이 들면 농산물 가격상승으로 외식산업 등 서비스 산업의 물가를 부추기게 되고 공산품의 내수 구매력이 떨어지면서 기업이 경영의 어려움을 겪게 되며 국민 가계 생활의 부담과 경제적 불안 심리를 조장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비록 우리 농업 생산의 비중이 총 국민생산액의 5.6%에 불과하지만 이것이 미치는 경제적 여파는 그 몇 배가 되는지 모른다.
농산물 가격은 수요에 대해 공급이 5%만 부족하여도 값이 두배로 뛰고 5%가 남아돌면 값이 반으로 떨어지는 비탄력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이다.
3) 자연 환경 및 생태 보전의 공익적 기능
도시·산업화로 경제가 성장하고 물질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농업과 농촌이 만들어 낸 편안한 자연 환경을 자주 접함으로써 올바른 심성 함양과 삶의 질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아지게 된다. 농업은 바로 환경과 조화된 상태로 영위되어야 할 산업이기 때문에 인간이 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위적 조작은 반드시 자연 생태계를 파괴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해져야 한다. 그래서 농업은 식료 생산을 위한 단순한 산업 행위가 아니라 인간과 자연의 조화 속에 건전한 삶의 터전을 유지하도록 더욱 중차대한 기능과 역할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다. 몬순 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벼농사가 농업의 근간이 되어 있다. 따라서 농지의 형태도 논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논이 가지는 국토 보전 및 환경 정화 기능을 통해 우리가 자손 대대로 쾌적한 삶의 공간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논은 6~8월 동안에 연 강우량의 60%이상을 쏟아 붓는 기상 여건에서 큰 비를 듬뿍 받아 일시적으로 물을 가두어 두는 거대한 댐의 역할을 하고 있다. 논은 댐과는 달리 있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치수기능을 하고 있다. 댐은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토사의 유입 퇴적으로 인해 기능이 상실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준설 작업을 하여 저수기능을 회복시켜 주어야 하지만 논은 그럴 필요가 없다.
우리 논이 여름 큰 비에 일시적으로 담아 둘 수 있는 저수 기능량은 약 28억톤이나 되어 춘천댐 저수능력의 18.5배나 된다. 또 여름에 벼가 논에서 관개된 물을 통한 지하수 함양 기능은 약 55억톤이나 되어 전 국민의 연간 사용하는 수도물의 79%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다.
논을 밭의 상태로 두게 된다면 여름에 폭우 등으로 인해 유실되는 토사량이 약 2,688만톤이나 될 것인데 벼 재배를 통해 이를 막아주고 있다. 논의 관개수를 통한 수질 정화 기능은 질소, 인산 등을 흡수하는 정화율로 보아 보통 관개수가 약 32%, 생활 오수 등으로 많이 오염된 관개수는 50%이상이나 된다.
벼가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면서 내뿜는 산소량은 연간 약 880만톤이 되어 우리가 마음껏 숨 쉴 수 있는 맑은 대기로 정화시켜 준다. 또한 더운 여름철에 논물과 벼 식물체로부터 증발되는 증발산량이 약 52억톤이 되면서 잠열을 빼앗아 감으로써 엄청나게 대기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밭에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논에 비해서는 떨어지지만 토양 유실 방지와 더불어 대기 정화기능을 가지고 있다.
농촌 주변의 농용림 및 삼림이 만들어 내는 공익적 기능 또한 마찬가지며 야생 동·식물의 보존 및 보건 휴양기능 등은 돈으로 환산하기가 어렵지만, 이와 같이 농업 및 농촌을 통해서 공급되는 공익적 역할은 농업이 주는 경제적 이익의 3~4배가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4) 집단화합과 문화전통계승
농업사회는 농업의 속성이 가족 경영 체제가 되기 때문에 자연이 대가족 중심체제가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이 가장을 중심으로 서로 화합하고 전통적 예절 관습 및 문화를 계승하는 사회를 만들어 오게 된 것이다.
지금은 도시·산업화가 되면서 농촌의 젊은 세대가 도시로 빠져나가 버림으로써 이러한 농촌사회의 역할이 많이 퇴색되어 버리긴 하였지만 아직도 고향인 농촌을 지키고 있는 부모님들이 계시기 때문에 명절 때만 되면 민족의 대이동이 일어나는 아름다운 전통 계승의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음을 볼 수 있다. 사람이 나이가 들면 다시 고향으로 회귀하려는 속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제는 우리 농촌이 단순한 농업 만으로서의 농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노후에 아늑하고 편안한 삶을 즐기면서 더욱 생산적인 여생을 보낼 수 있는 공간으로 개발하여 이용하는 것도 매우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이와 같이 농업은 단순히 식료나 타 산업의 원료를 생산하는 산업 행위만이 아니라 그것이 가지는 몇 배의 초경제적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우리가 마음껏 마시는 물과 숨 쉬는 공기가 농촌으로부터 공급되고 민족의 화합과 아름다운 문화 전통이 이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깊이 깨달아 우리의 농업을 가꾸고 농촌을 살려가는 노력을 함께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하겠다.
2. 친환경농업의 필요성
친환경농업은 농업생산의 지속성 확보와 안정성을 중시하는 소비 변화 등 여건 변화에 부응하고 FTA, WTO등의 국제 무역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우리 농산물의 경쟁력제고와 농가 소득 안정 및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웰빙 시대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둔다.
1) 관행농업의 결과
농업의 생산성 향상에 비중을 두고 화학농약과 비료의 과다한 양을 지속적으로 사용한 결과
① 농업의 생산적인 측면
토양생태계의 불균형
불용화된 염류집적, 수질오염
지력약화, 식량의 품질저하
병충해의 변이 확산 및 내성 증가 등으로 농가 및 환경에 미치는 영 향의 회복을 요구하고 있다.
② 소비자가 선호하는 농산물의 변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하고 기능성 농산물
친환경인증 및 생산과 유통이력 추적이 가능한 브랜드 농산물
2) 친환경농업의 결과
친환경농업 즉 유기농업은 자연의 천연물질 특히 지역의 천연물 이용과 철학적 개념을 기초에 두고 지구 환경 보존과 청정화를 이루며 자원의 유기적 순환 사이클의 지속성을 추구한다.
① 농업의 생산적인 측면
수확량 증대, 신선도 증가, 토양 개선
도장과 도복을 억제하고 생태계 복원
병. 충해 발생 및 증식억제
정균작용과 건전육묘 육성
물, 토양, 대기 중의 각종 중금속 오염물질 차단
② 소비자 건강 측면
화학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 최소
화석연료의 고갈 지연
생산과정 농민의 건강 유지
안전한 농산물 공급 건강을 증진
3)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및 인증현황
농산물인증제도는 친환경인증농산물, 이력추적농산물, GAP인증농산물, 지리적 표시 농산물로 구분되고 현재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유기, 무농약, 저농약농산물과 축산부분에는 무항생제, 유기축산물 등이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친환경농산물(유기, 무농약, 저농약)중 저농약농산물에 대해 2009년 7월부터 신규 인증을 중단하고, 2011년 6월까지 점진적으로 폐지하여 2011. 7월부터는 무농약, 유기농산물만 인증하는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을 추진 중에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저농약 과수농가의 집단적인 반발로 의견수렴이 받아들여진 결과이며 향후 쟁책 방향은 다시 재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
4) 친환경농산물의 종류 및 기준
친환경농산물 인증 종류(3종류)
-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 축산물도 새로운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인증을 받게 된다 .
- 유기축산물, 무항생제 축산물로 표기 가능
종 류 |
기 준 |
유기농, 축산물 |
ㆍ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 (전환기간 : 다년생 작물은 3년, 그 외 작물은 2년) ㆍ 유기축산물은 유기농산물 인증기준에 맞게 재배, 생산된「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
무농약농산물
무항생제축산물 |
ㆍ유기합성농약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ㆍ무항생제 축산물은 항생. 항균제 등이 첨가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
저농약농산물 |
ㆍ화학비료는 권장시비량의 1/2 이내 사용하고 ㆍ농약 살포횟수는 "농약안전사용기준"의 1/2 이하 * 사용 시기는 안전사용기준 시기의 2배수 적용 - 제초제는 사용하지 않아야 함 - 잔류농약 :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한 "농산물의 농약잔류 허용기준"의 1/2 이하 |
시도 |
계 |
유기농산물 |
전환기 | |||||||||
건수 (건) |
농가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건수 (건) |
농가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건수 (건) |
농가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
계 |
16,187 |
131,460 |
122,882 |
1,785,874 |
1,778 |
7,507 |
9,729 |
107,179 |
|
|
|
|
서울 |
20 |
74 |
16 |
894 |
2 |
56 |
2 |
35 |
|
|
|
|
부산 |
49 |
497 |
396 |
4,828 |
2 |
2 |
2 |
145 |
|
|
|
|
대구 |
60 |
254 |
191 |
5,226 |
10 |
16 |
19 |
524 |
|
|
|
|
인천 |
23 |
1,077 |
1,067 |
9,616 |
14 |
76 |
103 |
585 |
|
|
|
|
광주 |
82 |
353 |
253 |
4,008 |
5 |
5 |
7 |
77 |
|
|
|
|
대전 |
59 |
127 |
68 |
2,253 |
3 |
3 |
3 |
170 |
|
|
|
|
울산 |
64 |
613 |
465 |
7,738 |
|
|
|
|
|
|
|
|
경기 |
1,687 |
5,528 |
6,117 |
101,949 |
254 |
894 |
1,251 |
12,098 |
|
|
|
|
강원 |
1,166 |
4,724 |
5,487 |
79,468 |
265 |
823 |
1,215 |
15,711 |
|
|
|
|
충북 |
849 |
4,740 |
4,012 |
108,565 |
140 |
614 |
595 |
18,767 |
|
|
|
|
충남 |
1,173 |
6,099 |
5,987 |
120,442 |
143 |
1,831 |
1,750 |
14,727 |
|
|
|
|
전북 |
1,502 |
7,579 |
7,974 |
123,355 |
217 |
655 |
897 |
10,856 |
|
|
|
|
전남 |
5,009 |
70,929 |
65,619 |
691,020 |
215 |
712 |
1,476 |
9,407 |
|
|
|
|
경북 |
1,902 |
18,601 |
15,682 |
371,954 |
227 |
924 |
715 |
11,373 |
|
|
|
|
경남 |
1,705 |
9,179 |
7,323 |
126,661 |
183 |
713 |
526 |
6,548 |
|
|
|
|
제주 |
737 |
1,086 |
2,225 |
27,897 |
98 |
183 |
1,168 |
6,156 |
|
|
|
|
* 국내 생산자 인증 현황으로, 최소 단위(ha,톤) 이하는 통계 처리된자 료임
* 전환기유기는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에 따라 '07.3.29.부터 유기로 통합
(자료출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6) 친환경농산물 년도별 인증 현황
년 도 별 |
인증구분 |
계 |
유 기 |
전 환 기 | |||||||||
건수 (건) |
농가수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건수 (건) |
농가수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건수 (건) |
농가수 (호) |
면적 (ha) |
인증량 (톤) | ||
2007 |
생산 자 |
16,187 |
131,460 |
122,882 |
1,785,874 |
1,778 |
7,507 |
9,729 |
107,179 |
|
|
|
|
2006 |
“ |
11,481 |
79,635 |
74,995 |
1,128,093 |
749 |
3,235 |
4,374 |
55,974 |
827 |
3,932 |
4,185 |
39,431 |
2005 |
“ |
8,717 |
53,478 |
49,807 |
797,747 |
540 |
2,039 |
2,743 |
38,058 |
626 |
3,364 |
3,352 |
30,033 |
2004 |
“ |
5,820 |
28,951 |
28,216 |
460,735 |
389 |
1,458 |
2,516 |
23,446 |
392 |
1,825 |
2,106 |
13,300 |
2003 |
“ |
4,892 |
23,301 |
22,238 |
365,203 |
364 |
1,451 |
1,894 |
24,438 |
349 |
1,297 |
1,433 |
8,849 |
2002 |
“ |
2,919 |
11,892 |
11,239 |
200,374 |
286 |
877 |
1,062 |
16,249 |
151 |
628 |
539 |
4,865 |
2001 |
“ |
1,128 |
4,678 |
4,554 |
87,279 |
180 |
439 |
448 |
10,625 |
3 |
3 |
2 |
45 |
2000 |
“ |
704 |
2,448 |
2,039 |
35,406 |
194 |
353 |
296 |
6,538 |
- |
- |
- |
- |
1999 |
“ |
598 |
1,306 |
875 |
26,643 |
246 |
355 |
230 |
6,996 |
- |
-
|
- |
- |
* 국내 생산자 인증 현황으로, 최소 단위(ha,톤) 이하는 통계 처리된자 료임
* 전환기유기는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에 따라 '07.3.29.부터 유기로 통합
(자료출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년도별 |
종류별 |
계 |
유기 |
전환기 |
무농약 |
저농약 |
|
곡류 |
327,892 |
26,245 |
|
78,506 |
223,141 |
|
과실류 |
521,561 |
6,196 |
|
22,530 |
492,835 |
|
채소류 |
729,405 |
66,577 |
|
185,780 |
477,048 |
2007 |
서류 |
51,557 |
4,733 |
|
10,700 |
36,124 |
|
특작류 |
154,707 |
3,152 |
|
146,060 |
5,495 |
|
기타 |
752 |
276 |
|
413 |
63 |
|
계 |
1,785,874 |
107,179 |
|
443,989 |
1,234,706 |
|
곡류 |
172,079.3 |
10,935.9 |
11,801.0 |
53,391.5 |
95,950.9 |
|
과실류 |
390,293.4 |
2,817.8 |
2,511.9 |
13,712.9 |
371,250.8 |
|
채소류 |
423,567.1 |
37,969.5 |
21,243.0 |
135,938.5 |
228,416.1 |
2006 |
서류 |
25,220.6 |
2,584.2 |
3,001.7 |
5,855.7 |
13,779.0 |
|
특작류 |
116,428.5 |
1,481.7 |
770.3 |
111,193.3 |
2,983.2 |
|
기타 |
504.3 |
184.6 |
102.9 |
216.8 |
- |
|
계 |
1,128,093.2 |
55,973.7 |
39,430.8 |
320,308.7 |
712,380.0 |
|
곡류 |
93,654 |
8,022 |
8,783 |
34,050 |
42,799 |
|
과실류 |
288,518 |
1,480 |
2,575 |
12,417 |
272,046 |
|
채소류 |
326,020 |
26,634 |
16,268 |
115,876 |
167,242 |
2005 |
서류 |
15,651 |
1,479 |
1,847 |
7,226 |
5,099 |
|
특작류 |
73,562 |
387 |
519 |
72,254 |
402 |
|
기타 |
342 |
56 |
41 |
245 |
0 |
|
계 |
797,747 |
38,058 |
30,033 |
242,068 |
487,588 |
* 국내 생산자 인증 현황으로, 최소 단위(ha, 톤) 이하는 통계 처리된 자료임
* 전환기유기는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에 따라 '07.3.29.부터 유기로 통합
(자료출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종 류 |
부 위 |
식물에서의 주 기능 |
인간에서의 대표적 효능 |
엽 록 소 |
잎 |
광합성, 에너지생성 |
항암, 세포재생 |
플라보노이드 |
잎 |
항산화 |
항산화, 소염, 진통 등 |
폴 리 페 놀 |
잎, 뿌리 |
항산화 |
항산화, 혈류개선 등 |
향 |
잎, 뿌리 |
항균, 동물유인 |
항균, 진정, 흥분 |
색 소 |
잎, 꽃 |
항산화, 동물유인 |
항산화, 항암, 혈류개선 |
알카로이드 |
표피 |
자기방어 |
신경마비 또는 흥분 |
사 포 닌 |
뿌리, 잎 |
항진균 |
항암 등 다양한 약리 |
베타글루칸 |
세포 |
세포벽구성 |
면역증강 등 |
3. 친환경농업의 증가 추세는
농업이 가지고 있는 홍수조절. 토양보존 등 공익적 기능을 최대한 살리고 화학비료와 농약사용을 최소화 하여 농산물을 생산하고 환경을 보존하면서 소비자에게는 건전한 식품을 공급하고 생산자인 농업인에게는 소득을 보장해 주는 방법으로 농업인과 소비자 즉 국민 모두에게 이익이 되게 하려는 농업과 소득향상에 의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늘어나며 기상변화와 인간과 동물 모두 희귀한 질병이 새로이 증가하고 는 추세는 친환경 먹거리에 관심을 돌려놓고 있다. 또한 기상이변과 생태계교란은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자성과 함께 친환경농업의 필요성이 더욱 증가되고 있으며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동안 숨가쁘게 달려온 결과로 다시 느린 삶을 동경하는 기성세대의 요망이기도 한 것이다.
1.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강폭을 넓게 해서 홍수량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거나 홍수량을 조절하여 강폭이 감당할 수 있을 만큼의 유량(流量)을 흘려보내도록 한다. 이중 후자를 토목에서는 홍수조절이라 한다.방법은 ① 상류나 중류에 댐을 만들어 물을 저장하고, ② 중류나 하류의 적당한 곳에 유수지(遊水池)를 만들어 여기에 홍수의 첨두유량(尖頭流量)을 일시적으로 수용하며, ③ 방수로(放水路)를 설치하여 물의 흐름을 두 갈래로 가르는 것 등이다.
그러나 강수량의 정확한 양적 예보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
2. 토양의 보전은 빗물 또는 바람에 의한 토양의 침식과 유실을 막는 일로 이는 농업생산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그러나, 토양침식은 인간이 농경을 시작하면서부터 계속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그 방지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토양보전에 관한 지식과 기술 개발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토양과 물의 유실을 방지하고 보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림 ·식수 ·사방 ·개간 등 사업들이 실시되는데 조림식수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지고 있다.
3. 화학비료는 인조비료라고도 하는데 천연 유기질 비료와 구별할 때의 명칭이다. 종래 화학비료는 석회질소와 요소를 제외하면 무기염이 많았으므로, 무기질비료 또는 광물질 비료 라고도 불렀다. 그러나 근년에는 유기질인 화학비료도 발달하였으므로 무기질. 광물질 비료라는 명칭은 적당한 것이 아니다.
화학비료의 시초는 1841년에 독일의 리비히가 골분에 황산을 작용시켜 수용성인산을 만들어냄으로써 이것이 비료로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준 때 이다. 그때까지는 지급 비료만이 사용되었다. 1900년대가 되어 암모니아 합성, 석회질소의 발견 등에 의하여 화학비료 공업이 일어나, 그 후 화학비료의 수급은 세계적으로 해마다 증가하여 현재에는 화학비료가 아닌 비료의 사용은 아주 적어졌다.
최근 친환경농업도 급속히 인증면적이 증가하고 있으며 웰빙바람과 함께 소비자들은 안전한 먹거리를 찾고 있으며 경제의 한파속에서도 지구촌은 에너지문제에서 이제는 식량문제로 들끓고 있다.
이러한 위험 징후들을 로이터통신은 세계2위의 쌀 수출국인 베트남 정부가 쌀 사재기 금지령을 발표하였고 유엔식량계획은(WFP)은 캄보디아 빈곤 학생들이 아침급식을 중단했고 중국베트남들은 쌀 수출 제한에 들어갔고 필리핀도 쌀 사재기를 하면 엄한 처벌에 처한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우리의 선택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 농지를 안정적으로 계속확보내지는 유지해야 한다. 그런데 왜 친환경 농업을 주장하고 있는가 이것은 친환경농업만이 화학농약과 화학비료의 사용을 감축하고 또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서 지속가능한 농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06년도 기준 식량자급률이 27% 쌀을 제외하면 5%수준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0개국 중 26위 수준이다. 그러기에 미래를 대비 하기위해 생태계를 복원하고 최근 국민건강보험은 알레르기 환자가 5년새에 30%나 급증했다는 신문보도도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환경이 오염이 기인함은 물론이고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농.축산물 및 어업산물도 각종농약 항생제, 화학비료로 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제는 각종 내성 증가로 더욱 많이 투입되는 실정이다.
멜라민 공포 및 화학농약의 함량초과 등은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옥천의 옻가공 산업은 인간과 동, 식물의 친환경적 생활과 생육증진과 생물농약으로의 개발 방향과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과 연구에 박차를 가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Ⅲ. 옻에 함유된 물질 및 친환경농업에 적용 가능성
1. 옻에 함유된 구성 물질 및 성분 조사
1) 옻에 함유된 물질의 분포부위
물질명 |
껍질 |
나무(목질부) |
기 능 |
우루시올 |
0 |
|
옻의 주성분, 독성, 항암효과 |
폴리페놀화합물 |
0 |
|
항산화물질 |
케르세틴 |
0 |
|
노화방지 |
플라보노이드 |
0 |
|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 |
피세틴 |
|
0 |
암세포확산증식억제 |
푸스틴 |
|
0 |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
설푸레틴 |
0 |
0 |
숙취해소 |
부테인 |
0 |
|
유방암증식억제 |
타닌 |
|
0 |
위를 보호 |
2) 옻의 자생지별 주요성분
자 생 지 |
성분명 |
특 성 |
한국,중국,일본
|
우루시올
|
옻의 주성분으로 옻을 오르게하고
유효성을 가짐 |
타이완과
베트남
|
라콜
| |
태국과
미얀마
|
팃시올
|
3) 한국, 중국, 일본 옻나무의 구성
성 분 명
|
구 성 비(%) | |
수액 또는 생칠
|
정 재 칠 | |
우루시올 고무질 질소를 함유한 화합물 물 |
59.5 7.1 2.6 30.8 |
84.4 8.9 3.5 3.2 |
주) 정제칠 : 수분을 적당히 재거한 칠
4) 산지별 생옻의 성분 구성표(%)
구 분 |
우루시올 |
함질소물 |
고무질 |
수분 |
한국산(원주) |
72.83 |
2.14
|
5.01
|
20.02
|
일본산 |
66.20 |
5.00 |
5.30 |
23.50 |
중국산 |
56.84 |
1.70 |
6.72 |
34.74 |
베트남산 |
52.5(락콜) |
2.0 |
13.0 |
32.5 |
미얀마산 |
51.07(치치올) |
2.34 |
0.94 |
26.8 |
2. 최근 연구논문의 자료 분석
최근 연구논문의 발표 내용을 요약하면 농업 쪽에는 국한 되어 있고 산업용과 식용 그리고 약용, 의료용으로 연구하여 발표되고 있는데 이번에 옥천에서 농업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연구에 대한 변화를 주고 있다. 자연농업과 관련되어 많은 선도농가들이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들을 참고로 농업에 활용될 생물농약도 도전해 봄도 가능 하다.
1) 약용식물인 Coptis chinensis Franch(황련 : 중국. 일본. 인도. 네팔. 한국 등지에서 자생 또는 재배되는 다년생 초본)의 추출물로부터 포자발아 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과 그 효과 실험 연구결과 생리활성물질의 포자발아 억제 상승효과 확인
2)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이용한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에 관한 연구에서 항균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폴리우레탄 제조시 첨가하여 항균 기능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였다. 이 항균 첨가물이 MDI와 화학 반응하여 폴리우레탄 합성에 참여한다는 것을 FT-IR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첨가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 변화는 없었으며 우루시올과 카다놀로 각각 공중합된 폴리우레탄 폼의 열적 안정성이 항균물질 미처리된 폼 보다 향상된 것을 TGA를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대장균을 균주로 이용하여 항균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균 감소율이 99%까지 나타났으며 이러한 항균성이 지속적임을 확인함.
3) 산림청 임목육종 연구소 (나천수 박사팀)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의 나천수박사팀이 옻수액의 우루시올을 분석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MU2성분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다.
옻나무를 열처리해 얻은 화칠에서 추출한 MU2는 항암효과가 탁월할 뿐 아니라 옻의 알레르기 현상과는 무관한 안전한 복합물질로 기존의 항암제인 테트라플라틴 보다 동물의 혈액암세포, 인체 폐암세포와 위암세포의 생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훨씬 우수하다고 발표함. MU2는 항산화기능과 숙취해소 기능, 각종세균과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을 죽이며 벌레를 막아준다는 것은 잘 알려진 효능이다.
이 효능은 인체에서 기생충을 죽이고 각종 세균을 막아 염증을 없애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4) 상지대 산림과학과 송병민 교수팀
옻나무는 일반적으로 군집재배보다는 휴경지, 밭두둑 같은 휴반이나 하천제방 또는 산록부위에 잘 자라는 식물로 다른 작물에 비하여 노동력이 크게 소요되지 않아 농가의 부업적 경영에 알맞은 작목이라 할 수 있다. 옻나무는 식재 후 7~9년 정도면 옻을 채취할 수 있으며 그 후부터는 맹아갱신방법으로 7~8년을 주기로 계속 4~5회 정도 생산할 수 있다.
1990년대의 우리나라 옻 생산량은 연평균 2,000kg정도인데 이 중 원주지역에서 생산되는 옻이 1,000kg을 상회하여 원주가 우리나라의 옻 생산에는 절대적인 위치를 점유하고 있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원주지역의 옻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되었다.
옻 채취 작업은 보통 6월에서 10월까지 이루어지고 있는데 십여년 전까지만 해도 20~30명에 이르던 옻 채취자들이 점점 감소하여 최근에는 4~5명 정도 에 불과한 실정이다. 물론 옻 채취자가 급격하게 감소한 이유는 옻의 수요 감소와 일본으로의 수출중단에 따른 판로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원주지역의 옻 생산량 실태 】
연 도 |
1994 |
1995 |
1998 |
2000 |
2002 |
2004 |
생산량(kg) |
1,125 |
242 |
919 |
383 |
168 |
164 |
원주산 옻은 1993년까지 전체생산량의 70%이상이 일본으로 수출되어 왔으나 중국산 옻이 대량으로 일본으로 수출됨에 따라 가격경쟁력에 있어서 열세인 한국산 옻의 수출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일반적으로 국내산 옻은 정제되지 않은 생칠(生漆)로 판매되는데 옻의 생산비용이 높아지면서 가격이 비싸 옻칠공예가나 국내가구업자들은 주로 일본산 정제칠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원주산 옻의 품질은 우수한 것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현재의 일본은 품질은 열등하지만 가격이 싼 중국산 옻을 구입하여 정제 가공하여 판매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3. 옻나무의 구성 성분이 인간에 미치는 효과 와 식물적용검토
1) 천연물에 들어있는 대표적 기능성 효능 물질의 비교
종 류 |
물질채취 부위 |
인간에서의 기능 |
식물에서의 기능 |
옻에 들어 있는 성분 |
엽록소 |
잎 |
항암, 세포재생 |
광합성,에너지 생성 |
0 |
플라보노이드 |
잎 |
항산화, 소염, 진통 등 |
항산화 |
0 |
폴리페놀 |
잎, 뿌리 |
항산화, 혈류개선 등 |
항산화 |
0 |
향 |
잎, 뿌리 |
항균, 진정, 흥분 |
항균, 동물유인 |
|
색소 |
잎, 꽃 |
항산화, 항암, 혈류개선 |
항산화, 동물유인 |
|
알카로이드 |
표피 |
신경마비 또는 흥분 |
자기방어 |
|
사포닌 |
뿌리, 잎 |
항암 등 다양한 약리 |
항진균 |
|
베타글루칸 |
세포 |
면역증강 등 |
세포벽 구성 |
|
2) 옻에 들어있는 기능성 물질의 비교
성분명 |
구성물질 과 작용 |
인간에서의 주 기능 |
식물적용 검 토 |
우루시올 (urushiol) |
페놀유도체의 하나로, 옻의 주성분, 옻이 피부 를 헐게 하는 것은 우루 시올의 작용이다. |
암세포 증식억제
|
살균 살충 |
플라보노이드 (flavonoid)
|
식품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
기관분화 유도작용 항산화, 소염, 진통 혈관형성 억제작용, 숙취해소, 간 보호 작용
|
살균, 생육증진 |
타닌 (tannin) |
식품에 널리 분포하는 황색 계통의 색소로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이 있고,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 |
항산화, 항암, 항균
살균, 살충
|
살균 |
아세트산 (acetic acid) |
살균능력이 있어 대장균이 나 포도상구균 과 같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을 죽임으로써 음식의 부패가 진행되는 것을 막아준다. |
살균, 살충 |
3) 제품 형태별 적용가능성
구 분 |
인간에 적용되는 약용
|
농산물(축산물포함) 적용 |
분말(건칠)
|
혈액촉진, 위산과다, 생리통
어혈제거, 편도선염, 구충제
|
살균, 살충 및 방충 |
진액 |
소화촉진, 어혈과 냉증 풀어줌
피를 맑게 균 억제
|
살균, 항균, 방충, 기피제 |
근육과 골격의 재생력 증강
|
생육증진 |
4. 친환경농업에 사용가능한 식물추출물의 범위
친환경농업에 사용이 가능한 기준은 친환경농업육성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우리 옥천의 옻을 정제 또는 가공한 제품으로 친환경 농자재의 사용은 저농약농산물 ․ 무농약농산물 ․ 유기농산물 및 무항생제축산물 ․ 유기축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정해진 법의 테두리 안에서 가공이 가능하고 효과를 입증하여 친환경농자재로 공급이 가능하도록 개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 제시하는 사용기준은 아래의 내용과 같다.
(친환경농업육성법 시행규칙 제7조관련 친환경농자재의 사용기준)
1) 유기농산물
가. 농림산물
(1) 토양개량과 작물생육을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
- 목초액 :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의 법률에 따라 고시된 규격 및 품질 등에 적합조건
- 그 밖의 자재 : 식물에 영양을 공급하거나 토양의 성질에 변화를 주기 위해 공급하는 물질에 한하며 천연물질 또는 천연물질에서 유래하고, 화학적 공정을 거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물질이 첨가되지 아니할 것.
(2)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
가. 식물과 동물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제제 ․ 천연약초, 한약제 및 목초액 : 목초액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의 법률에 따라 고시된 규격 및 품질 등에 적합조건
나. 축산물
(1)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중 단미사료
- 섬유질류로서 목초․ 산야초․ 나뭇잎․ 곡류정선부산물․ 임산가공부산물․ 볏짚․ 보리짚․ 그밖의 농산물고간류․ 풋베기사료작물․ 옥수수대 ․ 사탕수수박․ 사탕무우박․ 감귤박 및 발효사료 : 유기농산물 인증기준에 맞게 생산된 것. 다만, 야생의 것은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아니할 것
- 기타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유기축산물 생산용 사료로 사용이 허용된 물질이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하는 물질.
(2) 유기배합사료 제조용 자재중 보조사료
- 천연항산화제 : 천연의 것 및 천연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다른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아니한 것. 다만, 배합사료에 1%미만 사용되고 화학물질의 함유량이 보조사료 내 10%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가능
- 항곰팡이제 : 천연의 것 및 천연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다른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아니한 것. 다만, 배합사료에 1%미만 사용되고 화학물질의 함유량이 보조사료 내 10%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가능
- 추출제(유카추출물 ․ 타우마린 ․ 목초추출물 ․ 해초추출물 및 고실추출물) : 천연의 것 및 천연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다른 화학물질이 첨가되지 아니한 것. 다만, 배합사료에 1%미만 사용되고 화학물질의 함유량이 보조사료 내 10% 이내인 경우에는 사용가능
- 기타 : 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유기축산물 생산용 사료로 사용이 허용된 물질이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장이 정하는 물질
2) 무농약농산물 ․ 무항생제축산물
가. 무농약농산물의 병해충 관리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한 자재는 -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제제 ․ 천연약초, 한약제 및 목초액 : 목초액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의 법률에 따라 고시된 규격 및 품질 등에 적합조건
나. 무항생제축산물에 일반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항생제 및 별표 3 제5호 마목(3)의 물질은 제외한다.
-합성항균제,성장촉진제 및 호르몬제등의 동물의약품과 반추가축에게 포유동물에서 유래된 사료(우유 및 유제품은 제외)는 어떠한 경우에도 첨가해서는 아니된다.3) 친환경농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식물농약과 그 적용범위
가) 생물농약 [生物農藥, biotic pesticide]
(가) 개념
천적곤충·천적미생물·길항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농약과 같은 형태로 살포 또는 방사(放射)하여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는 약제로 생물을 소재로 한 농약으로서 화학농약에 대응하는 농약이다.
(나)생물농약의 종류
가. 천적곤충제 : 곤충·어류 등 소동물을 이용하여 충과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
나. 천적미생물제 : 세균제제(細菌製劑)· 사상균제제(絲狀菌製劑)· 바이러스제제가 있다. 또 담배의 흰비단병균과 길항적으로 작용하고, 조건에 따라서 균핵(菌核)을 살멸하는 작용을 하는 것도 있으므로 병해방제제로서도 이용
다. 세균제제 [細菌製劑, bacterial pesticide] : 세균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생물농약.
Bacillus thuringiensis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BT제라고도 하여 한국에서도 흰불나방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는데 최근 화학농약의 독성 및 잔류성으로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안정성농약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화학농약과의 혼용이 가능하고 혼용에 따라 효력이 증가되는 것이 인정되고 있다.
나) 식물농약
(가) 개념
화학농약을 사용한 것처럼 병해충을 100% 퇴치하려는 게 목적이 아니라 자연과 환경을 함께 공생하며 경제허용기준에 맞추어 방제가 가능하며 효과를 발휘하려면 적절한 환경과 조건이 어느 정도 맞아야하고 방제효과 지속일수가 7~14일 정도 밖에는 안 되는 약점에 비해 비료가 되는 유리한 점도 있다는 것이다.
(나) 식물성자재
현재 식물성자재로는 외국에서 수입하여 그대로 판매 또는 재포장을 통한 2차 가공판매의 형식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의 야생초 및 농산물들은 대부분 경험에 의한 것과 예로 전해 내려오는 것들을 자연농법에 관심이 있는 자연농법주의자들이 선도하여 급속히 확산되는 추세에 있고 우리 옻도 요즈음 식용과 약용, 치료용, 친환경 도료 등으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친환경농업용으로 개발이 된다면 다음에 조사된 식물들과 경쟁시 수입대체 효과와 우리옥천 특구의 질 좋은 옻은 지역의 가치향상과 소득증대에 기대가 크다.
(다) 식물성 자재의 종류와 적용
가. 제충국(Pyrethrum) : 살충제
- 국화과의 일종으로 피레스린으로 해충의 신경전달 저해작용에 의한 진딧물,응애, 총채벌레, 나방류 유충을 방제
나. 로테논(Rotenone) : 살충제
- 콩과 식물인 데리스의 덩이줄기와 뿌리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세포호흡저해 작용 응애, 나비목유충 방제
다. 구아시아(Quassia) : 살충제
- 소태나무과 식물의 추출액
라. 라이아니아(Ryania) : 살충제
- 열대성 관목
마. 사바딜라(Sabadilla) : 살충제
- 백합과 식물종자 추출
바. 님(Azadirachtin) : 살충제
- 동아시아 님나무에서 추출 주요해충의 생장억제와
섭식저해
사. 담배 : 살충제
- 진딧물방제 살충비누와 혼용하여 사용
아. 기타 뱀밥풀, 쇠뜨기, 매리골드, 참쑥, 인진쑥, 어성초, 울금, 오동나무, 허브류 와 농산물 및 식품으로 고추, 마늘, 양파, 부추, 커피, 소테, 밀감껍질, 파
다) 광물성 자재
(가) 개념
광물성자재는 돌과 그 속에 함유된 성분으로 주로 균사억제 및 세균을 억제하는 자재로 개발이 되어 있다. 이러한 광물성 자재를 옻과 접목을 한다면 상당한 상승효과를 발휘하리라는 확신을 이번 기초자료 수집과정에서 인지하게 된 만큼 지금의 조사과정을 종합하여 좋은 결과를 도출하기위한 기초연구가 되리라 기대한다.
(나) 광물성 자재의 종류와 적용
가. 무기물 : 황산구리, 산화칼슘, 수산화칼슘
- 살균제로이용하며 포도주요병해, 복숭아새균성구멍병
나. 구리염 : 세균제
- 균호흡저제, 탈수소저해
다. 황(유황) : 살균제
- 병원균의 호흡억제작용으로 흰가루병 방제
라. 규산염(규산나트륨,규산칼륨) : 균억제 작용
- 흰가루, 도열, 덩굴쪼김, 피시움(Pythium)뿌리썩음 억제에 사용
마. 중탄산나트륨(탄산수소나트륨,탄산수소칼륨) : 포자발아 억제
- 흰가루, 잿빛곰팡이에 사용
바. 규조토 : 규조류의 퇴적물로 해충 방제용으로 사용
사. 오일(기계유 등) : 유화제와 함께 작은 곤충의 방제에 쓰이고 미소해충(응애, 진딧물, 총채벌레 등)에 살충력이 있음
(다) 살충 ․ 기피식물의 분류
- 이러한 식물은 일반적 상식으로 알고 있는 것도 있고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것들도 있다.
가. 기피(중간독)식물
- 은행나무, 자귀나무, 무화과나무, 오동나무, 단풍나무, 코스모스, 쇠뜨기, 고사리, 먹구슬나무, 소태나무, 어성초, 담배, 고삼, 여귀, 감자, 미치과이풀, 애기똥풀, 창포, 복수초, 주목, 연영초, 수선화, 굴거리나무, 포인세티아, 소철, 석류, 만병초, 쐐기풀, 도라지, 분꽃, 시크라멘, 나팔꽃, 꽈리, 살구, 매실, 제충국, 박하, 쇠비름, 아주까리, 은방울 꽃
나. 맹독식물
- 자리공, 때죽나무, 협죽도, 석산(꽃무릇), 할미꽃, 다기탈리스, 투구꽃(초오), 콜히쿰
다. 항균식물
- 매운 고추, 마늘, 양파, 녹차, 쑥, 소리쟁이
Ⅳ. 옻 가공품(옻목초, 옻진액)의 친환경가능성 시험연구 및 분석
친환경농업을 활용하는 자재들은 생물농약, 식물농약, 식물성자재, 광물성 자재 등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농가동향은 일부 자연농업을 실시하는 선도농가들은 우리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식물, 광물을 이용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친환경농업을 선도하여 나가고 있다.
우리 옥천의 옻 특구에서 생산되는 참옻의 살균 및 살충의 효과는 구전을 통하여 예전부터 균을 억제하여 방부처리로 장시간 보관하며 화칠을 활용하여 소동물의 침입을 저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켰던 사례들은 옻 가공품을 통한 친환경 농업의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으며 최근의 인체에 있어서 항암효과에 대한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어느 한 전등회사에서 방충실험을 하였고 산림청등 각종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하여 당사는 농가의 실증시험을 토대로 하여 과학적 접근을 통한 실험을 실시하여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하였다.
1. 농가별 옻진액 실증시험 (엽면시비 적용사례)
1) 옻진액을 사용한 농가 실증사례 발표
(2008년 12월 15일 옥천관성회관 문화교실)
가. 재배작물 : 포도
- 장소 : 경기 안성 서운면 소재 농장
- 농장명 : 참포도농원 대표 백이남
- 적용병해충 : 깍지벌레, 매미충
- 사용방법 :
가) 옻진액 1ℓ를 500ml (25말)에 희석하여 엽면살포 : 예방효과
나) 싹이트기전 3ℓ를 500ml(25말)에 천연비누와 은행식초를 희석 하여 바닥과 엽면에 10일 간격으로 흠뻑살포. 매미충방제, 주홍날 개매미충, 깍지벌레 : 방제가 70~80%
다) 효과 : 방충효과 및 갈색반점낙엽병 억제
라) 평가 : 완벽하지는 않지만 효과를 보고 있다.
마) 기타사항 : 고추에 사용한 결과 벌레고민이 없어짐
살충목적으로 사용시는 3가지이상 혼용해야 효과를 볼 수 있음.
위의 사진은 방문일 현재 수확이 거의 마무리 후 촬영 했는데 잎이 아주 상태가 좋아 우리지역 포도의 갈반병에 의한 피해 잎과는 사뭇 되조 되는 상황임.
나. 재배작물 : 배
- 장소 : 전남 나주 왕곡면 소재 농장
- 농장명 : 선명농장 대표 박노진
- 적용병해충 : 진딧물, 응애
- 사용방법 : 물 1000리터 용량에 옻물 1.5리터 2병을 넣고 확산제100ml 2병 그리고 황토유황합제 4리터, 은행수액 2리터, 어성초*배식초우린액2리터, 골분액비2리터, 배열매수액2리터, 토정250ml 1병. ss분무기로 아주 꼼꼼 하게 살포
- 효과 가) 충이 더 이상 잎을 가해하지는 않음.
나) 재생에는 효과가 없슴.
다) 추황은 가을까지 잎 상태양호, 과실 좋음
남평에서 한라봉을 재배하는 친구 김병진씨가 옻물 2병을 주길래 30일(2008.06.30)날 살포를 했는데 고질적인 진딧물이 말끔히 떨어져서 지금(2008.7.5)까지 진딧물은 아예 생기질 않군요.
무농약 황금배 신초에 진딧물이 극성인데 신기하게도 전멸을 해버렸답니다.30일날 살포를 하고 5일날 와 봤는데 다른 해충도 별로 눈에 띄지 않고
포장 전체가 조용합니다.
2) 옻진액을 사용한 농가 실증사례
(2008년 11월 ~ 12월 실험 : (주) 네이쳐 팜)
가. 재배작물 : 들깻잎
- 장소 : 충북 옥천 군서면 소재 농장
- 재배농가 : 군서깻잎 친환경작목반 최현석
- 적용병해충 : 충억제
- 사용방법 : 물 20ℓ( 1말)에 옻진액 75ml + 그린졸 + 응삼이 = 혼용 엽면살포
- 효과 : 진딧물, 응애 효과좋음 잎이 많이 두터워 지고 잎 뒷면의 색 이 선명해짐
군서 최현석농가
왼쪽 무처리 깻잎, 오른쪽 옻진액혼합살표 사진
나. 재배작물 : 들깻잎
- 장소 : 충북 옥천 군서면 소재 농장
- 재배농가 : 군서깻잎 작목반 이수우
- 적용병해충 : 진딧물억제
- 사용방법 : 옻진액 20ℓ(1말) 10ml 정도(생수병1뚜껑) 희석하여 2회 살포
- 효과 : 진딧물 효과는 별로 모르겠고 수확 중에 깻잎이 두꺼워짐을 느낌.
군서 이수우농가
왼쪽 무처리 깻잎, 오른쪽 옻진액혼합살표 사진
다. 재배작물 : 토마토
- 장소 : 전남 장성 황룡면 소재 농장
- 재배농가 : 박 동 섭
- 적용병해충 : 온실가루이 방제
- 사용방법 : 물 20ℓ( 1말)에 옻진액 80ml 로 희석하여 엽면살포
- 효과 : 방충효과 있음 (하우스 입구 또는 가상주위 비닐에 온실가루이 가 붙어 있음
라. 재배작물 : 감자
- 장소 : 전남 장성 황룡면 소재 농장
- 재배농가 : 박 동 섭
- 적용병해충 : 온실가루이 방제
- 사용방법 : 물 20ℓ( 1말)에 옻진액 100ml 로 희석하여 엽면살포
- 효과 : 기피효과 있음(하우스 입구 또는 가상주위 비닐에 온실가루이가
붙어 있음)
마. 재배작물 : 배추와 채소
- 장소 : 충북 옥천 동이면 소재 채소 밭
- 재배농가 : 정 귀 영
- 적용병해충 : 진딧물, 나방 방제
- 사용방법 : 물 20ℓ( 1말)에 옻진액 50ml 로 희석하여 엽면살포
- 효과 : 7일 정도 기피효과 있음.
농도가 너무 진하게 살포하여 농도장해를 잎은 사진
2. 균사 억제 실험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은 바람에 의해서 전염되며 누수가 많은 해가림에서 발생이 심하고 병든 조직에서 균사로 월동하여 이듬해 전염원이 된다. 기온이 상승하며 강우로 잎이 젖어 있는 시간이 길어지는 6월이후에 점무늬병균인 Altermaria panax에 의하여 잎과 열매에 발병된다.
시험방법은 배지에 균 접종 후 옻 추출물을 각 실험배수별로 처리하여 기간경과에 따른 균억제 정도 측정
Alternaria panax | ||||||||||
옻 |
3d |
4d |
5d |
6d |
7d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CD (cm) | |
10배 |
1.75 |
50.59 |
2.18 |
49.55 |
2.73 |
45.61 |
3.13 |
44.04 |
3.65 |
42.73 |
50배 |
2.93 |
3.95 |
3.50 |
9.91 |
4.03 |
13.90 |
4.50 |
14.89 |
5.10 |
16.36 |
100배 |
2.82 |
8.30 |
3.48 |
10.51 |
4.35 |
6.10 |
4.85 |
7.45 |
5.52 |
8.73 |
200배 |
2.13 |
35.57 |
2.67 |
34.83 |
3.35 |
30.49 |
3.88 |
28.09 |
4.73 |
23.09 |
향수 |
3d |
4d |
5d |
6d |
7d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CD (cm) | |
10배 |
1.07 |
77.47 |
1.32 |
75.38 |
1.73 |
70.00 |
2.22 |
63.48 |
2.83 |
57.64 |
50배 |
2.87 |
6.32 |
3.97 |
(4.20) |
4.97 |
(9.02) |
5.80 |
(12.77) |
6.85 |
(15.45) |
100배 |
2.73 |
11.86 |
3.72 |
3.30 |
5.00 |
(9.76) |
5.72 |
(11.06) |
6.83 |
(15.09) |
C K |
3.03 |
|
3.83 |
|
4.60 |
|
5.20 |
|
6.00 |
|
* CD : Colony diameter (지름의 길이)
* I R : Inhibitory rate (억제 비율)
* CK : (무처리,대조구)
- 옻을 실험한 결과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 향수를 실험한 결과 옻의 실험결과와 비슷하게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균사억제 정도효과는 옻보다 향수가 큰 것으로 분석됨.
나) 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처리후 7일 경과한 사진촬영)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옻을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옻을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옻을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옻을 2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향수를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향수를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에
향수를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Altermaria panax (인삼점무늬병)균 CK
2)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은 일명 엽소병이라고 하며 묘포~본포에서 발생하는데 잎, 줄기, 열매 등 지상부에 피해가 크지만 뿌리에 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병원균은 식물체 표피조직에 분생자층을 만들고 밤소이 모양의 흑갈색 강모를 형성하는데, 병을 일으키는 분생포자는 점액물질에 쌓여 있으므로 공기전염은 되지 않고 주로 빗물과 미세곤충에 의해서 전염된다.
시험방법은 배지에 균 접종 후 옻 추출물을 각 실험배수별로 처리하여 기간경과에 따른 균억제 정도 측정
가)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의 날자별 균사억제 정도 실험분석표
Colletotrichum panacicola | ||||||||||
옻 |
3d |
4d |
5d |
6d |
7d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CD (cm) | |
10배 |
1.57 |
50.23 |
2.00 |
50.00 |
2.60 |
47.76 |
3.08 |
45.45 |
3.67 |
45.63 |
50배 |
2.38 |
12.56 |
3.03 |
15.67 |
3.95 |
14.18 |
4.55 |
14.38 |
5.52 |
13.89 |
100배 |
2.53 |
5.58 |
3.27 |
7.67 |
4.25 |
6.72 |
4.90 |
6.98 |
5.98 |
6.00 |
200배 |
2.45 |
9.30 |
3.18 |
10.67 |
4.07 |
11.19 |
4.63 |
12.68 |
5.57 |
13.04 |
향수 |
3d |
4d |
5d |
6d |
7d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IR (%) |
CD (cm) |
CD (cm) | |
10배 |
0.50 |
100.0 |
0.50 |
100.0 |
0.73 |
94.28 |
0.85 |
92.60 |
1.10 |
89.71 |
50배 |
2.48 |
7.91 |
3.18 |
10.67 |
4.08 |
10.95 |
4.72 |
10.78 |
5.57 |
13.04 |
100배 |
2.50 |
6.98 |
3.18 |
10.67 |
3.97 |
13.68 |
4.55 |
14.38 |
5.38 |
16.30 |
200배 |
2.62 |
1.40 |
3.25 |
8.33 |
4.05 |
11.69 |
4.70 |
11.21 |
5.48 |
14.58 |
CK |
2.65 |
|
3.50 |
|
4.52 |
|
5.23 |
|
6.33 |
|
* CD : Colony diameter (지름의 길이)
* I R : Inhibitory rate (억제 비율)
* CK : (무처리,대조구)
- 옻을 실험한 결과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 향수를 실험한 결과 옻의 실험결과와 비슷하게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고 균사억제 정도효과는 옻보다 향수가 큰 것으로 분석됨.
나)옻(옻목초)과 향수(옻화합물)의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처리후 7일 경과한 사진촬영)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옻을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옻을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옻을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옻을 2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향수를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향수를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에
향수를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Colletotrichum panacicola (인삼탄저병)균 CK
3)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
-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은 종자나 이병 잔재물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며 제2차 전염은 병반상에 형성된 분생포자가 바람에 날려 공기 전염 한다.
생육기에 비가 자주오고 여름철 온도가 낮은 해, 특히 냉해가 오면 심하게 발생하며 벼 수량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삭 도열병은 출수기 전후 비가 자주오고 음습한 날씨가 지속되면 대발생하여 피해가 커진다. 질소질 비료를 많이 주면 발생이 심해진다.
- 시험방법은 배지에 균 접종 후 옻 추출물을 각 실험배수별로 처리하여 기간경과에 따른 균억제 정도 측정
가) 옻(옻목초) 과 향수(옻화합물)의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의 날자별 균사억제 정도 실험분석표
Magnaporthe grisea | ||||||||
옻 |
3d |
4d |
5d |
6d | ||||
CD(cm) |
IR(%) |
CD(cm) |
IR(%) |
CD(cm) |
IR(%) |
CD(cm) |
IR(%) | |
10배 |
0.50 |
100.00 |
0.50 |
100.00 |
0.50 |
100.00 |
0.50 |
100.00 |
50배 |
1.73 |
19.61 |
2.68 |
8.40 |
3.33 |
5.03 |
4.40 |
(0.78) |
100배 |
1.82 |
13.73 |
2.68 |
8.40 |
3.32 |
5.37 |
4.25 |
3.10 |
200배 |
1.90 |
8.50 |
2.77 |
4.62 |
3.37 |
3.69 |
4.27 |
2.58 |
향수 |
3d |
4d |
5d |
6d | ||||
CD(cm) |
IR(%) |
CD(cm) |
IR(%) |
CD(cm) |
IR(%) |
CD(cm) |
IR(%) | |
10배 |
0.50 |
100.00 |
0.50 |
100.00 |
0.63 |
95.64 |
0.90 |
89.66 |
50배 |
1.65 |
24.84 |
2.30 |
24.37 |
2.77 |
23.83 |
3.58 |
20.41 |
100배 |
1.90 |
8.50 |
2.62 |
10.92 |
3.20 |
9.40 |
4.00 |
9.56 |
200배 |
1.98 |
3.27 |
2.67 |
8.82 |
3.30 |
6.04 |
4.10 |
6.98 |
CK |
2.03 |
|
2.88 |
|
3.48 |
|
4.37 |
|
* CD : Colony diameter (지름의 길이)
* I R : Inhibitory rate (억제 비율)
* CK : (무처리,대조구)
- 옻을 실험한 결과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 향수를 실험한 결과 옻의 실험결과와 비슷하게 배수에 따라 균사 억제 정도의 차가 많이 있지만 고농도의 배수실험에서 억제 효과가 크며 기간의 경과함에 따라 옻이 장기간 균사를 억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균사억제 정도 효과는 향수보다 옻이 큰 것으로 분석됨.
나) 옻(옻목초) 과 향수(옻화합물)의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의 균사억제 정도 실험사진 (처리후 6일 경과한 사진촬영)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옻을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옻을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옻을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옻을 2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향수를 1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향수를 5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향수를 1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에
향수를 200배액으로 처리한 배지
Magnaporthe grisea (벼 도열병)균 CK
3.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방충 가능성 실험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온실가루이의 이동성 검사를 실시하고자 제시된 시료로 아래 사진의 온실에서 2008년 12월 중순부터 ~ 2009년 1월 초까지 실시했다.
【옻 추출액처리 토마토온실】
1)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는 매미목 가루이과로 미국의 남서부가 원산지로 알려진 외래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수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1983년 이후 발생지역이 급속히 확산되어 현재는 전국적으로 시설재배작물의 주요 해충중 하나이며 특히 시설재배로 토마토에서 매우 중요한 해충이다. 약충과 성충이 모두 진딧물과 같이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는데 주로 잎의 뒷면을 가해한다. 본 해충에 의한 직접인 피해는 잎과 새순의 생장이 저해 되거나 변색, 위축되고 심하면 낙엽, 고사를 일으킨다. 또한 간접적인 피해로서 배설물인 감로에 의해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광합성을 저해하며 열매의 상품성을 떨어뜨리고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가)옻(옻목초)추출액 처리농도별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감소효과에 대한 실험결과
- 온실가루이는 무처리구에서는 조사일 현재
표1 옻 추출액 처리농도별 온실가루이 감소 효과
희석배수 |
온실가루이 감소율(%) |
1000배 |
30.0 |
500배 |
32.3 |
250배 |
27.3 |
50배 |
38.7 |
10배 |
54.5* |
무처리 |
-62.5 |
*약해발생
표2 처리별 온실가루이 감소율 도표
그림3. 처리농도별 온실가루이 사진
나) 옻(옻목초)추출액 처리농도별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
이동성조사
|
befor |
A-1d* |
A-2d |
A-3d |
A-4d |
옆줄(좌) |
22.0 |
19.0 |
33.0 |
23.0 |
20.0 |
정량1 |
22.0 |
15.0 |
15.0 |
30.0 |
26.0 |
옆줄(우) |
34.0 |
40.0 |
37.0 |
26.0 |
28.0 |
*옻 추출액 처리 경과 일
표4 처리 기간별 온실가루이 이동성 도표
표 5 옻 추출액 처리구 간의 온실가루이 이동성 조사
[단위 : 개체수(마리)]
처리구 |
befor |
A-1d* |
A-2d |
A-3d |
A-4d |
A-5d |
정량 A(500배) |
31 |
19 |
15 |
33 |
18 |
30.5 |
정량 B(500배) |
30 |
15 |
15 |
30 |
26 |
12.6 |
*옻 추출액 처리 경과 일
표6 옻 추출액 처리구 간의 온실가루이 이동성 도표
표 7. 옻 추출액 처리후 온실가루이에 대한 효과 지속기간
[단위 : 개체수(마리)]
|
A-1d |
A-2d |
A-3d |
A-4d |
A-5d |
배량(500배) |
54.5 |
27.3 |
-27.3 |
-18.2 |
20.0 |
정량(1000배) |
38.7 |
51.6 |
-6.5 |
-2.2 |
1.6 |
무처리 |
9.1 |
-36.4 |
-18.2 |
0.0 |
-62.5 |
정량 지속처리 |
50.0 |
50.0 |
0.0 |
13.3 |
58.0 |
표 8. 옻 추출액 처리후 온실가루이 대한 방충효과 확인
- 온실가루이 피해를 입은 토마토 시설하우스에 옻 추출물을 처리농도별로 살포한 결과는 저농도 처리구에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고농도처리가 효과가 컸지만 약해가 발생 되었다.
그러나 무처리구에 비해 1,000배액처리구에서 30%, 500배액처리구에서 32.3%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 옻 추출액 처리 후 온실가루이에 대한 이동성과 효과 지속기간 처리 결과표에 의하면 짧은 기간 동안 약 2~3일간은 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장기간에 기피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더 많은 시험과 연구가 필요로 할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 론
용역기간 동안 옻과 관련된 각종 자료와 정보를 기초하여 농가 실증사례 연구와 전문연구기관에 살균효과와 방충효과 확인을 위해 진행 하였다. 그러나 이것을 실제로 식물에 적용시 여러 가지 보완책을 강구해야 하는데 장기간의 시간과 노력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균과 관련된 억제효과는 농가 실증사례에서 배지에서 효과가 있었던 만큼 실제로 작물에 적용시험을 거쳐 효과와 안정성 그리고 경제성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살충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시설하우스 재배시 주요해충인 온실가루이는 방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친환경재배에 사용이 가능할 수 있고 식물의 기피제로 사용한다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며 전제 조건으로 기피효과는 짧은기간에 효과가 있는 만큼 지속적인 방제가 필요 하겠다.
미흡한 점으로는 세균(벼 흰잎마름병)의 효과는 세균의 증식기간, 여건 등 여러 가지 제약이 있어 억제효과를 확인 하지 못한 것, 그리고 옻 추출물 급여시 축산에 미치는 항균, 도체등급, 육질의 특성과 무항생사료 첨가 보조사료의 가능성 등 축산에 분야에 접근하지 못한 것은 아쉽지만 이것도 추후 실험 및 연구과정을 거쳐 제품화에 성공 가능성이 높다 하겠다. 이상으로 가공된 옻 추출물을 실험에 적용한 결과 친환경농업에 적용할 가능성을 판단 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옻과 관련한 제품을 일반농산물, 친환경농산물에 적용시 화학농약의 사용이 감소, 생육증진효과, 옻의 특성을 살린 생산품의 기능성화로 고품질의 브랜드를 출범하여 웰빙의 건강 먹거리로서
- 옻 재배 농가에게는 대량의 소비처를 발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으로 소득향상에 기여할 것이며
-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친환경농업의 실현과 기능성 출현으로 생산성효과를 이루게 되고 부가가치가 향상되며 생산자 자신들의 건강도 지킬 수 있다.
- 소비자들은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을 먹거리를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됨으로 소비가 증가 된다.
옻 재배농가, 친환경농산물 생산농가, 최종소비자는 물론 생태계와 자연환경에 많은 유익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초연구결과를 요약하면】
- 시험연구 결과 항균성과 충 기피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지속 가능한 농업 즉 생태계의 다양성과 천적을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병, 충관리 자재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있음.
- 살균, 살충과 관련되어서는 추가적인 연구필요.
- 친환경농업에 적용은 가능 하지만 경제성 검토가 필요함.
Ⅵ. 제안서
옥천의 옻 산업특구로서 지역의 고용을 창출하고 옻 특화 지역으로서 이미지를 제고하며 브랜드를 육성하기위한 육성전략으로 다음의 사항을 제안 합니다.
“옻과 관련된 제품의 브랜드화사업 육성전략”
1. 시험연구 결과에 의하여 영농시작 전에 신속한 제품개발 보급
2. 균과 충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친환경적으로 마케팅을 전개하여 자연과 공존하는 환경 친화적 농업관련자재제품으로 육성
3. 옻 농산물, 축산물을 생산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브랜드화 하여 2차 가공산업 육성
4. 지역 친환경자재 지원사업에 적극참여 및 행정기관의 협조 유도
5. 화장품, 비누, 샴푸, 치약과 음식을 연계하여 장기체류 치료 및 체험형 복합관광 상품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먹으며 효과를 확인시킴 으로서 다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사업 다각화
6. 농업생산물의 성분을 분석하여 기능성 건강한 먹거리로 브랜드를 만들어 마케팅을 전개하여 소비를 촉진하여 농가 소득향상에 기여
7. 옻 추출물 급여시 축산에 미치는 항균, 도체등급, 육질의 특성과 무항생사료 첨가 보조사료의 가능성 등 축산에 분야에 접근 축산에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경축순환농법 도입
8. 생산 및 가공, 판매를 위한 컨설팅 등을 제안
Ⅶ. 참고문헌
1. 신현길. 최원희. 지승택. 최경숙. 김종배 : 황련(Coptis chinensis Franch)의 추출물로부터 포자발아 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과 그 효과 ,한국축산식품학회지 제 14권 제 1호(1994)
2. 김상범, 강성구, 조일성 : 우루시올과 카다놀을 이용한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의 합성에 관한 연구, 엘라스토머, 43권, 2호,
시작 쪽수 124p, 전체쪽수 9p 2008.01
3. 친환경농업육성법 제 7조 : 친환경농자재의 사용기준
4. 친환경농업육성법에의한 친환경유기자재 : 충북농산물품질관리원 발간등록번호 11-1541204-000002-01
5. 김광은 편저 : 친환경농업의 길잡이 상.하, 강릉문화사
6. 이태근 ․ 주영직 엮음 : 병충해방제의 실제와 현장농민 실천사례
7. 홍영남 ․ 권덕기 ․ 박연일 ․ 이혜연 ․ 전성수 ․ 조형택 ․ 진창덕 : 식물생리학, 월드 사이언스
8. 조영상 : 자연을 닮은 사람들 천연농약 연구노트, 살충 ․ 기피식물의 분류
9. 한국인삼공사 한국인삼연초연구원 : 인삼병해충 원색도감, 병(Diseases)
10. 농업과학기술원 : 식량작물 병해충 잡초 진단과 방제, 벼의 주요병해
11. 서장원 ․ 한국농업정보연구원 : 토마토재배도감, 토마토 해충
12. 강석모 : 흑돼지의 발육과 육질 특성에 미치는 한방 옻 추출물 급여 효과 2006.2
첫댓글 많은 정보 유용히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