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도 제 4 회 해기사시험 |
직종 : 4급항해사 |
과목 [ 항해 ]
1. |
다음 중 지구의 위치에서 지구자기의 수평분력만 존재하는 곳은?
가. 지리상의 N극 나. 지자기 N극 사. 지자기 S극 아. 자기적도 |
2. |
자기 컴퍼스의 수정에 있어서 수정용 자석으로 수정할 수 있는 자차계수는?
가. 자차계수 B 및 C 나. 자차계수 A 사. 자차계수 D 아. 자차계수 E |
3. |
다음 자동조타 사용법 중에서 맞지 않는 것은? 가. 대각도 변침시 자동조타상태에서 변침한다. 나. 해상상황, 조타상태에 따라 조정기를 조정하여 최적의 조타가 되도록 한다. 사. 수동조타로 예정 침로로 조타하고 타가 중앙에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자동조타로 한다. 아. 자동조타장치가 정확히 침로를 유지하고 있는가를 자주 확인한다. |
4. |
국제해상부표식의 특수표지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가. 등색은 황색이다. 나. 표지 위치는 항로의 중앙이다. 사. 두표를 붙일 경우 X형 한 개를 부착한다. 아. 표지의 색상은 황색이다. |
5. |
육상 또는 일정한 지점에서 레이더파가 계속 발사되어 선박의 레이더 화면에 한 줄의 방위선으로 나타나는 항로표지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무선표지국 나. 측거국 사. Ramark 아. Racon |
6. |
진동하는 다이아프램 (Diaphragm)에 의하여 소리를 내는 음향표지는?
가. WHISTLE 나. SIREN 사. HORN 아. BELL |
7. |
점장도의 특징을 나타낸 것 중에서 잘못된 것은?
가. 항정선이 직선으로 나타난다. 나. 항정선과 자오선의 교각은 침로각이 된다. 사. 저위도와 고위도에서의 면적의 비교가 곤란하다. 아. 고위도에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 |
8. |
해도상에 표시된 저질 "G"의 뜻은?
가. 모래 나. 점토 사. 자갈 아. 바위 |
9. |
부표의 위치 변경을 알려주는 것은 다음 어느 것인가?
가. 수로지 나. 조석표 사. 등대표 아. 항행통보 |
10. |
가. 수심이 확실한 침선 나. 항해에 위험한 침선 사. 항해에 위험한 간출암 아. 항해에 위험한 노출암 |
11. |
어느 지역의 조석이나 조류의 특징을 무엇이라고 하나?
가. 조고 나. 조신 사. 조령 아. 조승 |
12. |
조석표의 개정수를 써서 구한 임의 항만의 조시는 몇 시간(분) 이내로 일치하는가?
가. 20분 나. 30분 사. 1시간 아. 2시간 |
13. |
격시관측 위치를 구하는 방법으로서, 제1선수각이 45˚, 제2선수각이 90˚인 것은?
가. 4점 방위법 나. 정횡 거리법 사. 선수 각법 아. 항주 거리법 |
14. |
선박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닌 것은?
가. 추측위치 나. 추정위치 사. 실측위치 아. 실제위치 |
15. |
교차방위법을 실시하였을 때 오차 삼각형은 다음 원인에서 발생한다. 관계가 가장 먼 것은?
가. 물표의 위치가 유동적일 경우 나. 동시관측을 한 경우 사. 방위의 관측이 불량한 경우 아. 위치선의 기입 방법이 불량한 경우 |
16. |
제한시계 항해중 주의사항이다. 틀린 것은?
가. 레이더로 탐지 가능한 한 전속운항 나. 무중신호의 개시 사. 기관을 준비하고 안전한 속력으로 항해 아. 엄중한 경계 이행 |
17. |
어느 두 지점의 점장위도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동서거 나. 점장변위 사. 변위 아. 변경 |
18. |
LHA 200°를 자오선각(t)으로 고치면?
가. 20°E 나. 20°W 사. 160°E 아. 160°W |
19. |
다음 중 천측력에 기재되어 있지 않는 것은?
가. 천체의 GHA 나. 천체의 적위(Dec) 사. 천체의 박명시 아. 계산고도와 방위 |
20. |
충돌 방지를 위한 적절한 레이더 사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Radar에 의한 견시 나. Radar의 적당한 조정 사. Radar에 대한 확고한 신뢰감 아. Radar의 영상 플로팅 |
21. |
레이더 화면 전체의 밝기를 조절하는 조정기는?
가. Tune 나. Gain 사. Brilliance 아. Range |
22. |
다음 중 레이더의 FTC를 조정하는 경우는?
가. 비나 눈에 의한 반사파가 있을 때 나. 파도에 의한 해면 반사파가 있을 때 사. 측엽(Side lobe)에 의한 반사파가 있을 때 아. 타선 레이더에 의한 간섭이 있을 때 |
23. |
레이더의 도파관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가. 펄스 전파를 만들어 내는 곳이다. 나. 송수신기와 스캐너 사이의 전송선로로서 전파를 전달하는 곳이다. 사. 전파를 발사하는 곳이다. 아. 고전압을 송수신기로 보내는 곳이다. |
24. |
자동레이더플로팅장치(ARPA)에서 여러가지 정보를 항해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는?
가. 충돌위험의 판단 나. 목표물의 인지 사. 목표물의 추적 아. 표시 |
25. |
입항을 위한 항해계획 수립시 해도에 표시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가. 타기 시험 및 수동조타로 변경할 위치 나. 기관 후진 시험을 위한 위치 사. 변속 위치 아. 선창 빌지를 확인하는 위치 |
2008년도 제 4 회 해기사시험 |
직종 : 4급항해사 |
과목 [ 운용 ]
1. |
선저와 선측을 연결하는 만곡부를 무엇이라 하는가?
가. 용골 나. 현호 사. 캠버 아. 빌지 |
2. |
양묘기(windlass)의 일반적인 구조와 관계 없는 것은?
가. 캡스턴 나. 체인 드럼 사. 클러치 아. 워핑 드럼 |
3. |
제2호 선저도료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가. 해조류 등의 부착 방지 나. 선체 강판의 부식 방지 사. 선저부 손상 방지 아. 수중 마찰의 감소 |
4. |
선저도료(Bottom Paint)로서 "1호 선저도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가. A/F 나. B/T 사. W/P 아. A/C |
5. |
선회권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가. 타면적비가 작은 선박보다 타면적비가 큰 선박의 선회경이 작다. 나. 공선항해시는 일반적으로 선회경이 커진다. 사. 타각은 선회권의 크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아. 흘수에 비해 충분한 수심이 없으면 선회권이 작아진다. |
6. |
저속선의 선체가 받는 저항 중 가장 큰 것은?
가. 마찰저항 나. 조파저항 사. 조와저항 아. 공기저항 |
7. |
다음 중 선박조종성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가. 선회성능 시험 나. 지그재그조타 시험 사. 정지거리 시험 아. 선체저항 시험 |
8. |
예인삭을 연결하기 위하여 예인선이 피예선에 접근할 때의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가. 풍상측 선미쪽으로부터 접근한다. 나. 풍조에 관계 없이 선미측으로부터 접근한다. 사. 풍상측 선수쪽으로부터 접근한다. 아. 풍하측 선미쪽으로부터 접근한다. |
9. |
다음 중 선박의 복원력과 관계있는 용어는?
가. KICK 나. TRIM 사. GM 아. T.P.I |
10. |
선박의 안정성을 판별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가. 중심(G) 나. 부심(B) 사. 매 센티미터 배수톤(TPC) 아. 메타 센터(M) |
11. |
GM을 구하는 공식은?
가. KB + BM = KG 나. KM + KG = GM 사. KM - KG = GM 아. KG + KM = GB |
12. |
항해일지 기재에 관한 사항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가. 기사는 가능한 한 약자를 많이 사용하여 기재한다. 나. 정정할 때는 가는 선을 긋고 정정한 후 서명한다. 사. 기사 정정시 표시가 나지 않도록 깨끗이 지운다. 아. 한번 기재한 기사는 정정하지 않는다. |
13. |
항해 당직 중 일반적인 주의사항이다. 옳지 않는 것은?
가. 유효한 경계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비상시 기관사용이 필요하면 즉시 기관장에게 알리고 사용한다. 사. 직무상 필요시는 단시간 해도실에 들어갈 수 있다. 아. 당직항해사는 필요하다면 자신의 판단에 따라 기관을 사용할 수 있다. |
14. |
묘박 당직 중의 선위측정방법으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가. 주변 부표들에 대한 자이로 컴퍼스의 교차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나. 주변 등대, 등화들에 대한 자이로 컴퍼스의 교차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사. 거리가 먼 산봉우리들에 대한 자이로 컴퍼스의 교차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아. 측심을 하는 방법 |
15. |
고기압역 내에서 일반적으로 날씨가 좋은 이유는?
가. 바람이 약하고 기온이 낮기 때문이다. 나. 기온이 낮기 때문이다. 사. 공기가 하강하기 때문이다. 아. 바람이 강하기 때문이다. |
16. |
다음 중 저기압의 이동에 관해 잘못 설명한 것은?
가. 기압의 하강이 가장 많은 곳으로 진행한다. 나. 전선대를 따라서 이동 사. 상층기류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이 있다. 아. 등압선이 타원형일 때는 단축의 방향으로 진행 |
17. |
지상기상도상에 기입되지 아니하는 요소는?
가. 하늘 상태 나. 상대습도 사. 시정 아. 기압변화 경향 |
18. |
디젤기관에서 과급기를 설치하는 주된 이유는?
가. 흡기를 좋게 하기 위하여 나. 실린더 내의 평균 유효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 배기를 좋게 하기 위하여 아. 불량 연료를 여과하기 위하여 |
19. |
냉동장치 각 구성요소의 작동순서가 바르게 된 것은?
가. 압축기→팽창 밸브→응축기→증발기 나. 압축기→응축기→팽창 밸브→증발기 사. 응축기→팽창 밸브→압축기→증발기 아. 응축기→압축기→팽창 밸브→증발기 |
20. |
선박을 임의 좌주시킬 때 적절한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임의 좌주를 한 직후 탱크나 선창을 비운다. 나. 투묘 후 해안과 직각이 되도록 한다. 사.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만조시를 택한다. 아. 탱크나 선창에 물을 채운다. |
21. |
선체포기 및 퇴선에 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가. 단음 7회에 이어 장음 1회의 퇴선신호를 울린다. 나. 복장은 되도록 간편하게 입는다. 사. 구명동의를 착용한다. 아. 지참물을 가지고 비상 배치 부서에 집합한다. |
22. |
의료부문의 통신문에 사용되는 3자 신호의 서두는 무엇으로 시작되는가?
가. "A" 나. "B" 사. "X" 아. "M" |
23. |
다음 중 쇼크 환자의 응급처치법이 아닌 것은?
가. 적당한 진정제를 주어 진정시켜 주는 것이다. 나. 적당한 음료수를 적절히 주는 것이다. 사. 적절한 체위를 취해 주는 것이다. 아. 적당한 보온을 해 주는 것이다. |
24. |
실종 선박의 수색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자료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가. 실종 선박의 선주와 호출부호 나. 선박의 종류와 적재 화물량 사. 선장과 선원의 명단 아. 목적항과 도착 예정시각 |
25. |
조난통보를 수신한 구조선이 조난선에 대하여 최소한 제공하여야 할 정보로서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구조선의 선명, 종류 및 위치 나. 구조선의 속력 및 현장 도착 예정시간(ETA) 사. 구조선의 목적항 아. 조난선박의 진방위 |
2008년도 제 4 회 해기사시험 |
직종 : 4급항해사 |
과목 [ 법규 ]
1. |
다음 중 개항질서법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가. 선박의 소속을 명확히 하여 해상 질서유지 나. 항계안에서 교통의 안전과 질서유지 사. 직원의 자격을 정하여 원활한 선박 운항 아. 선박의 감항성과 안전성을 유지 |
2. |
다음 중 선원법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는 사항은?
가. 선장의 직무 및 권한 나. 선내질서의 유지 사. 해기사의 자격 아. 재해보상 |
3. |
선원법상 선원의 근로조건이 아닌 것은?
가. 휴일 나. 선박직원의 자격 사. 선원의 정원 아. 유급휴가 |
4. |
선박안전법상 여객선에 대한 정의로서 옳은 것은?
가. 5인 이상의 여객을 태울 수 있는 선박 나. 10인 이상의 여객을 태울 수 있는 선박 사. 13인 이상의 여객을 태울 수 있는 선박 아. 여객을 태울 수 있는 공간을 갖춘 선박 |
5. |
선박안전법상 여객에 해당하는 자는?
가. 세관공무원 나. 선박관리인 사. 여객선내 매점의 종업원 아. 2세의 어린이 |
6. |
해양안전심판원에서 최종적으로 내리는 판결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견책 나. 결정 사. 의결 아. 재결 |
7. |
다음 중 해양환경관리법이 적용되지 않는 것은?
가. 영해 밖에서 대한민국선박이 행한 해양오염 나. 영해에서 외국선박이 행한 해양오염 사. 방사성 물질에 의한 해양오염 아. 영해에서 해양시설 등으로부터의 해양오염 |
8. |
다음 중 선박내에 저장하였다가 수용시설 등에 배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가. 슬러지 나. 선저폐수 사. 유성 혼합물 아. 클린 밸러스트 |
9. |
해상교통안전법에서 위험화물운반선에 해당되지 않는 선박은?
가. 화약류를 적재한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 나. 인화성 고압가스를 적재한 총톤수 1000톤 이상의 선박 사. 인화성 액체를 적재한 총톤수 1000톤 이상의 선박 아. 원유를 양화하고서 탱크 내에 폭발의 위험이 없는 선박 |
10. |
항로지정방식이 적용되는 인천항 출입항로에서의 항법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잘못된 것은?
가. 입항하고자 할 때에는 동수도 항로로 항행하여야 한다. 나. 출항하고자 할 때에는 서수도 항로로 항행하여야 한다. 사. 길이 30미터 미만의 선박은 동수도 및 서수도 항로의 바깥해역을 이용하여 출항하거나 입항할 수 있다. 아. 범선은 동수도 및 서수도 항로의 바깥해역을 이용하여 입항하거나 출항할 수 없다. |
11. |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에서 "시계가 제한된 수역"이란 무슨 조건에 의한 것인가?
가. 선박의 성능조건 나. 해상 및 기상요소의 조건 사. 해상의 교통조건 아. 항로의 지리적 조건 |
12. |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상 항행중으로 볼 수 없는 선박은?
가. 닻이 해저에 놓여 있는 상태에서 닻을 올리고 있는 선박 나. 트롤어망을 끌면서 정지 상태에 있는 선박 사. 선박조종의 수단으로써 닻을 끌면서 선회중인 선박 아. 기관 고장으로 표류중인 선박 |
13. |
선박은 항해할 때는 언제나 ( )을 유지하여 항행하여야 한다. ( ) 안에 적합한 것은?
가. 경제 속력 나. 최대 속력 사. 경계 속력 아. 안전 속력 |
14. |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상 좁은 수로 또는 항로에서 수로의 안쪽만을 안전하게 항행할 수 있는 선박의 통항을 방해하여서는 아니되는 선박의 길이는?
가. 20미터 이상 나. 20미터 미만 사. 50미터 이상 아. 50미터 미만 |
15. |
통항분리방식에서 선박은 가능한 한 통항로를 횡단하는 것을 피하여야 하지만 부득이 횡단할 경우에 횡단방법 중 가장 타당한 것은?
가. 소각도 횡단 나. 소각도로 연속 변침하며 횡단 사. 선수방향이 교통의 일반적인 흐름 방향에 직각에 가깝게 횡단 아. 조류를 고려하여 최단거리로 횡단 |
16. |
횡단상태에서 피항선의 설명으로서 맞는 것은?
가. 다른 선박을 자선의 좌현측에 두고 있는 선박이다. 나. 다른 선박의 우현등을 보면서 접근하는 선박이다. 사. 다른 선박의 선미등을 보면서 접근하는 선박이다. 아. 다른 선박의 좌현등을 보면서 접근하는 선박이다. |
17. |
피항선이 조기에 항법에 따른 적절한 동작을 취하지 아니하면 유지선은 ( )을 취할 수 있다. ( )속에 가장 적합한 것은?
가. 자선만의 동작으로 충돌회피동작 나. 피항선과 협력하여 피항동작 사. 피항선과 상의하여 피항동작 아. 피항선의 동작을 보아가면서 피항동작 |
18. |
'섬광등'이라 함은 ( )도에 걸치는 수평의 호를 비추는 등화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매분 ( )회 이상의 섬광을 발하는 등화를 말한다. ( )속에 적합한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가. 360, 100 나. 180, 120 사. 360, 120 아. 180, 100 |
19. |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상 마스트는 몇 도에 이르는 수평의 호를 비추는가?
가. 112.5도 나. 135도 사. 225도 아. 255도 |
20. |
트롤 이외의 어로에 종사하는 선박의 어구가 선박으로부터 수평으로 ( )미터 이상 뻗어있을 때에는 그 어구 방향으로 전주를 비추는 ( )를 표시한다. ( )속에 적합한 것은?
가. 100, 백색등 1개 나. 100, 홍색등 1개 사. 150, 백색등 1개 아. 150, 홍색등 1개 |
21. |
다음 중 해상교통안전법상 조종제한선에 해당하지 않는 선박은?
가. 준설, 측량 또는 수중작업선 나. 해저 파이프라인의 부설, 보수 작업선 사. 기뢰제거 작업선 아. 양묘기가 고장난 선박 |
22. |
얹혀 있는 선박의 등화 또는 형상물에서 볼 수 없는 것은?
가. 정박등 나. 홍색 전주등 2개 사. 구형 형상물 3개 아. 녹색 전주등 2개 |
23. |
기적 및 호종에 부가하여 호종과 혼동되지 아니하는 음조와 소리를 가진 징을 비치해야 할 선박은?
가. 길이 150미터 이상 나. 길이 100미터 이상 사. 길이 50미터 이상 아. 길이 20미터 이상 |
24. |
국제해상충돌방지규칙에서 좁은 수로의 굴곡부를 항행중인 선박은 ( A )신호로서 ( B )를 울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신호는 ( C )이다. 괄호에 순서대로 알맞은 말은?
가. A : 경고, B : 단음 2회, C : 강제신호 나. A : 임의, B : 단음 1회, C : 임의신호 사. A : 경고, B : 장음 1회, C : 강제신호 아. A : 임의, B : 장음 2회, C : 임의신호 |
25. |
선박 조종신호에 관한 다음의 연결 중 틀린 것은?
가. 섬광 1회 -우현으로 변침중 나. 섬광 2회 -좌현으로 변침중 사. 섬광 3회 -기관 후진중 아. 섬광 4회 -기관을 정지할 때 |
2008년도 제 4 회 해기사시험 |
직종 : 4급항해사 |
과목 [ 영어 ]
1. |
표준해사통신용어를 사용하여 통화할 때 "How do you read me?"라는 통신문에 대한 답으로 다음 중 부적절한 것은? 가. I read you 3. 나. I read you excellent. 사. I read you with signal strength 4. 아. I do not read you. |
2. |
다음 조건에서 Freeboard 는 얼마인가? Depth of ship : 6 meters, Draft : 4 meters
가. 2 meters 나. 3 meters 사. 4 meters 아. 6 meters |
3. |
표준해사통신용어의 용어 정의에서 다음 문장의 ( ) 안에 적당한 말은? "SAR means ( ) and rescue." 가. Sound 나. Signal 사. Ship 아. Search |
4. |
다음의 ( ) 속에 들어갈 알맞은 통신문 표지어 (Message marker)는? ( )! What is your maximum draft? 가. Information 나. Request 사. Question 아. Intention |
5. |
Vessel idle at anchor awaiting port officials. 에서 밑줄 친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가. traffic officer 나. quarantine officer 사. immigration officer 아. customs officer |
6. |
다음 문장은 조타수가 태만할 염려가 있을 때 항해사가 조타수에게 하는 질문이다. 뜻을 바르게 우리말로 옮긴 것은? "What is your heading?" 가. 당신은 어디에 있는가? 나. 선수방위는 몇 도인가? 사. 흘수는 얼마인가? 아. 당신의 선박내 직책은 무엇인가? |
7. |
다음 말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The bearing to the vessel in 250 degrees is constant." 가. 250도 방위각에 있는 선박은 우리 쪽으로 오고 있다. 나. 방위각 250도에 있는 선박의 방위각이 변하지 않고 있다. 사. 그 선박의 방위각은 250도이다. 아. 그 선박은 250도 방향으로 가고 있다. |
8. |
표준해사통신용어를 사용할 때 "기관 사용이 선교 조작으로 되어 있습니까?" 의 영문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가. Is the engine control on bridge? 나. Is the engine on bridge control? 사. Is the engine bridge control? 아. Is the engine from bridge control? |
9. |
Full ahead means ( ) revolutions for ahead propulsion.에서 ( )안에 적당한 단어는?
가. most 나. maximum 사. minimum 아. average |
10. |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시오. Pilot : "I ( ) the pilot card." (나는 파일럿 카드를 요청합니다.) 가. require 나. read 사. give 아. have |
11. |
( )안에 적합한 말을 고르시오. "All working parts are ( )." (모든 작동부분 이상이 없음.) 가. moving 나. free 사. rigging 아. stopped |
12. |
밑줄 친 부분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Several barrels are deformed and leaking." 가. 형식이 맞지 않다. 나. 규격이 부적합하다. 사. 모양이 변형되었다. 아. 부서졌다. |
13. |
( ) 안에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Pump ( ) ballast tank number 4 and report." (4번 밸러스트 탱크에서 밸러스트를 배출하고 보고하라.) 가. from 나. out 사. with 아. over |
14. |
( ) 안에 적합한 동사는? "( ) the scuppers and report." (갑판 배수구를 막고 보고하라.) 가. Stop 나. Put 사. Plug 아. Make |
15. |
( ) 안에 적합한 말을 고르시오. "( ) first aid to injured persons." (부상자들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라.) 가. Call 나. Attach 사. Put 아. Provide |
16. |
"Approaching K strait. S.B.E. Master conning vessel." 에서 밑줄 친 부분의 뜻은?
가. 선장을 호출함. 나. 선장이 지휘함. 사. 선장 식사중임. 아. 선장 하선했음. |
17. |
"뒤로 5미터 이동하시오." 를 영어로 옮기면?
가. Move ahead 5 meters. 나. Move hard a port 5 meters. 사. Move afterward 5 meters. 아. Move up 5 meters. |
18. |
"Changed to automatic steering at 1200 hours." 에서 밑줄 친 부분의 뜻은?
가. 수동 조타 나. 자동 조타 사. 레버 조타 아. 반자동 조타 |
19. |
밑줄 친 부분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Use absorbents for the spillage." 가. 석회수 나. 침전물 사. 화학물질 아. 흡수제 |
20. |
다음 ( ) 안에 들어갈 적당한 것을 고르시오. "Give ( ) to load by 1400 UTC." (세계시 1400까지 적하의 준비완료통지를 하시오.) 가. cargo list 나. stowage plan 사. stability calculation 아. notice of readiness |
21. |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적당한 동사를 고르시오. "( ) ventilation ducts into the bag cargo." (부대화물 사이에 통풍관을 놓으시오.) 가. Close 나. Stow 사. Check 아. Open |
22. |
다음 중 화물의 포장 단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가. Carton 나. Box 사. Bag 아. Sling |
23. |
다음 영문으로 미루어 귀선이 취해야 할 조치로서 맞는 것을 고르시오. "You are obstructing other traffic in the fairway."
가. 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나. 현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 사. 현 상태에서 투묘해야 한다. 아. 현 상태에서 도선사를 요청해야 한다. |
24. |
"통과하는 모든 선박과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라."에 해당하는 다음 영문 중 ( )에 알맞은 것은? " ( ) well clear of all passing vessels."
가. Give 나. Call 사. Let 아. Keep |
25. |
"귀선의 레이더에 맹목구간이 있습니까?" 의 의미에 맞도록 다음 영문의 ( ) 안에 적합한 것을 고르시오. "Does your radar have any ( ) sector?"
가. range 나. dark 사. blind 아. broad |
2008년도 제 4 회 해기사시험 |
직종 : 4급항해사 |
과목 [ 상선전문 ]
1. |
하역시에 화물을 싸매거나 묶어서 카고 훅에 달아매는 용구는 무엇인가?
가. 카고 슬링 나. 카고 데릭크 사. 카고 폴 아. 카고 기어 |
2. |
화물의 손상에 관해 선주가 면책되기 위한 서류로 관계가 먼 것은?
가. Sea Protest 나. Stowage Survey Report 사. Mate's Receipt 아. Clean B/L |
3. |
다음 운송화물 중 냉장화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곡물 나. 어류 사. 야채 아. 과일 |
4. |
다음의 항목은 서로 관련된 것을 짝지어 놓은 것이다. 맞지 않는 것은?
가. 평균흘수 - 선수미의 흘수가 같은 경우 나. 선미트림 - 선미 흘수가 큰 경우 사. 선수미 등흘수 - 선수미의 흘수가 같은 경우 아. 선수트림 - 선수 흘수가 큰 경우 |
5. |
적하중량톤수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가. 하기 만재배수량 + 순적하 중량톤수 나. 하기 만재흘수선에 상당한 배수량 - 순적하중량톤수 사. 하기 만재흘수선에 상당한 배수량 + 경하배수량 아. 하기 만재흘수선에 상당한 배수량 - 경하배수량 |
6. |
Mcm(MTC)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가. 트림 1cm를 생기게 하는 화물의 이동 모멘트이다. 나. 1톤의 모멘트를 생기게 하는 화물량이다. 사. 배수량 등곡선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아. Deadweight Scale에서 구할 수 있다. |
7. |
표준 해수에 떠있는 길이 200m, 폭 10m인 상자형 선박의 Tcm(매cm 배수톤수) 는?
가. 1.025톤 나. 10.25톤 사. 20.5톤 아. 30.5톤 |
8. |
선수흘수 5.00m, 선미흘수 6.00m 인 선박에서 100톤의 화물을 30m 후방으로 이동시 선수 흘수는? (단, F(부면심)는 선체 중앙에 있고 Mcm는 100t-m이다.)
가. 4.70m 나. 4.85m 사. 5.15m 아. 5.30m |
9. |
화물의 이동에 따른 흘수변화의 계산에서 쓰이지 않는 항목은?
가. 선박의 길이 나. 매 cm 트림모멘트 사. 부면심의 위치 아. 매 cm 배수톤수 |
10. |
Hog/Sag 배수량 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선체의 Bending에 대한 수정이다. 나. Trim에도 관련이 된다. 사. Sagging일때 양(+)의 값이 된다. 아. 대형선일수록 수정값이 커진다. |
11. |
흘수 감정에서 선수미 흘수의 수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선수미 형상이 경사됨으로 인해 발생된다. 나. 트림의 크기와는 관계가 없다. 사. 선수트림의 경우 수정 후 선수 흘수가 증가한다. 아. 선미트림의 경우 수정 후 선미 흘수가 증가한다. |
12. |
선박의 적화계획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선박의 감항성을 확보해야 한다. 나. 최대 화물량을 적재한다. 사. 무거운 화물은 한 선창에 적재한다. 아. 화물사고를 방지한다. |
13. |
화물의 혼적시 적당하지 않는 것은?
가. 조악화물과 정량화물을 같은 화물창에 싣는다. 나. 포장 취약화물을 다른 화물의 아래에 싣지 않는다. 사. 냄새나는 화물과 식료품을 같은 선창에 싣지 않는다. 아. 액체화물을 다른 화물의 위에 싣지 않는다. |
14. |
펌프 케이싱 내부에 화물유를 가득 채우는 것을 프라이밍 (Priming)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하는 이유는?
가. 임펠라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 펌프의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 스트리핑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 탱크를 만재하기 위하여 |
15. |
선박회사가 양화 후 화물의 부족을 발견하였을 때 조사를 의뢰하는 서류는?
가. Boat note 나. Tally sheet 사. Tracer 아. Survey report |
16. |
다음 중 선박의 국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는 법은?
가. 선박안전법 나. 선박법 사. 상법 아. 국적법 |
17. |
한국 선박의 특권이 아닌 것은?
가. 국기 게양권 나. 불개항장에의 기항권 사. 연안 무역권 아. 등기와 등록의 면제권 |
18. |
다음에서 선박의 등록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가. 최대 탑재 인원 나. 선박 번호 사. 선명 아. 호출 부호 |
19. |
선박의 등기 및 등록을 하는 항과 관계 깊은 것은?
가. 개항 나. 지정항 사. 선적항 아. 입출항 항 |
20. |
임시항행허가증으로 항행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시운전을 하고자 할 때 나. 총톤수 측정을 하고자 할 때 사. 국내항만을 항행하고자 할 때 아. 태풍 등으로 계류지 등을 이동하고자 할 때 |
21. |
해양항만관청에 등록했을 때 교부하는 증서는?
가. 선박국적증서 나. 가선박국적증서 사. 선적증서 아. 선박검사증서 |
22. |
선장이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경우 정박중에 항해당직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당직을 담당하는 항해사가 취할 조치가 아닌 것은?
가. 실행 가능한 한 자주 선위를 결정하여 적절한 해도상에 기입하는 것 나. 적절한 경계가 유지되게 하는 것 사. 선내순시가 정기적으로 실행되게 하는 것 아. 닻이 끌리는 경우 일등항해사에게 보고하고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는 것 |
23. |
STCW 협약에 의하여 각 주관청은 선박에 승무하는 선원의 임명에 대하여 누구에게 책임을 지게 해야 하는가?
가. 기국 나. 선급 사. 선박회사 아. 선장 |
24. |
화물선의 무선설비 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가. 화물선 안전무선증서는 매년 차일 전후 6개월 이내의 정기검사를 받는다. 나. 정기검사는 화물선 안전무선증서에 배서할 의무가 있다. 사.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주관청이 정한 간격의 정기검사를 받는다. 아. 구명설비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하여 선박이 취항되기 전 최초검사를 받는다. |
25. |
화물선 안전설비증서의 유효기간은?
가. 1년 나. 2년 사. 3년 아. 5년 |
항해
번호 | 정답가(안) | 번호 | 정답가(안) |
1 번 | 아 | 14 번 | 아 |
2 번 | 가 | 15 번 | 나 |
3 번 | 가 | 16 번 | 가 |
4 번 | 나 | 17 번 | 나 |
5 번 | 사 | 18 번 | 사 |
6 번 | 사 | 19 번 | 아 |
7 번 | 아 | 20 번 | 사 |
8 번 | 사 | 21 번 | 사 |
9 번 | 아 | 22 번 | 가 |
10 번 | 가 | 23 번 | 나 |
11 번 | 나 | 24 번 | 아 |
12 번 | 사 | 25 번 | 아 |
13 번 | 가 |
운용
번호 | 정답가(안) | 번호 | 정답가(안) |
1 번 | 아 | 14 번 | 나 |
2 번 | 가 | 15 번 | 사 |
3 번 | 가 | 16 번 | 아 |
4 번 | 아 | 17 번 | 나 |
5 번 | 가 | 18 번 | 나 |
6 번 | 가 | 19 번 | 나 |
7 번 | 아 | 20 번 | 가 |
8 번 | 아 | 21 번 | 나 |
9 번 | 사 | 22 번 | 아 |
10 번 | 사 | 23 번 | 가 |
11 번 | 사 | 24 번 | 아 |
12 번 | 나 | 25 번 | 사 |
13 번 | 나 |
법규
번호 | 정답가(안) | 번호 | 정답가(안) |
1 번 | 아 | 14 번 | 나 |
2 번 | 가 | 15 번 | 사 |
3 번 | 가 | 16 번 | 아 |
4 번 | 아 | 17 번 | 나 |
5 번 | 가 | 18 번 | 나 |
6 번 | 가 | 19 번 | 나 |
7 번 | 아 | 20 번 | 가 |
8 번 | 아 | 21 번 | 나 |
9 번 | 사 | 22 번 | 아 |
10 번 | 사 | 23 번 | 가 |
11 번 | 사 | 24 번 | 아 |
12 번 | 나 | 25 번 | 사 |
13 번 | 나 |
영어
번호 | 정답가(안) | 번호 | 정답가(안) |
1 번 | 아 | 14 번 | 사 |
2 번 | 가 | 15 번 | 아 |
3 번 | 아 | 16 번 | 나 |
4 번 | 사 | 17 번 | 사 |
5 번 | 가 | 18 번 | 나 |
6 번 | 나 | 19 번 | 아 |
7 번 | 나 | 20 번 | 아 |
8 번 | 나 | 21 번 | 나 |
9 번 | 나 | 22 번 | 아 |
10 번 | 가 | 23 번 | 나 |
11 번 | 나 | 24 번 | 아 |
12 번 | 사 | 25 번 | 사 |
13 번 | 나 |
상선전문
번호 | 정답가(안) | 번호 | 정답가(안) |
1 번 | 가 | 14 번 | 가 |
2 번 | 아 | 15 번 | 사 |
3 번 | 가 | 16 번 | 나 |
4 번 | 가 | 17 번 | 아 |
5 번 | 아 | 18 번 | 가 |
6 번 | 나 | 19 번 | 사 |
7 번 | 사 | 20 번 | 사 |
8 번 | 나 | 21 번 | 가 |
9 번 | 아 | 22 번 | 아 |
10 번 | 나 | 23 번 | 사 |
11 번 | 나 | 24 번 | 가 |
12 번 | 사 | 25 번 | 아 |
13 번 | 가 |
|
첫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