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troduction to Pedorthics (신발교정학소개)
Introduction
The outside of the shoe can be modifi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rocker soles, stabilizers, extended steel shanks, solid ankle cushion heels, wedges, and customized uppers.
소개
신발의 바깥쪽은 둥근바닥창(rocker soles), 안정성창(stabilizers), 연장스틸생크(extended still shank), 딱딱한 발목 쿠션 힐(solid ankle cushion heels), 쐐기(wedges), 맞춤조절갑피(customized uppers)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수정되어질 수 있다.
Rocker sole
The rocker sole is one of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shoe modifications. As its name suggests, the basic function of a rocker sole is to rock the foot from heel- strike to toe-off without bending the shoe.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a rocker sole are to (1) restore motion in the foot and/or ankle related to pain, deformity, or stiffness, resulting in an overall improvement in gait, and (2) relieve pressure on some area of the plantar surface.
Midstance and apex (Fig. B-1) are terms relevant to rocker soles. The midstance is the portion of the rocker sol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during standing. The apex, or high point, of the rocker sole is located ath the distal end of the midstance.
둥근바닥창(Rocker sole)
둥근바닥창은 가장 흔히 처방되어지는 신발 변형의 한 형태이다. 그 이름이 나타내는것처럼 둥근바닥창의 기본기능은 발뒤꿈치 닿기부터 발가락 떨어지기까지 신발을 구부러뜨리지 않고 발을 구르게 하는 것이다. 둥근바닥창의 생체역학적 효과는 첫째 통증, 변형 또는 경직과 관련된 발과 발목에서의 동작을 회복 시켜주는 것과 둘째 발바닥의 어떤곳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주는 것이다.
미드스탠스, 아펙스는 둥근바닥창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미드스탠스는 서있는 동안 둥근바닥창이 바닥면과 닿는 부분을 말한다, 둥근바닥창의 아펙스 또는 하이포인트는 미드스탠스의 먼쪽의 끝(앞쪽)을 말한다. 둥근바닥창의 모양 형태는 요구되는 창의 효과와 환자의 발질환에 따라 결정된다. 둥근바닥창은 일반적으로 각 환자에 대하여 맞춤형으로 만들어진다.
Mild rocker sole.
Mild rocker sole.
가장 널리 쓰이고 기본적인 Mild rocker sole은 발 뒤꿈치와 발가락 양쪽에 기울어짐이 그리 크지 않은 완만한 각을 지니고 있다. 이런 형태는 중족골지역의 압력을 줄여줄 수 있고 또 발로 미는 힘을 늘여주거나 걸을 때 쓰이는 에너지를 줄여줌으로써 걸음걸이를 보조해준다. 운동화에서 주로 이런 형태를 볼수 있는데 위험성이 없는 발에 쓰기에 알맞다.
Heel-to-toe rocker sole.
This type of rocker sole is shaped with a more severe angle at both the heel and toe. It is intended to aid propulsion at toe-off, decrease heel-strike forces on the calcaneus, and decrease the need for ankle motion. The heel-to-toe rocker sole may be indicated for patients with a fixed claw toe, rigid hammer toe, midfoot amputation, or calcaneal ulcers.
Heel-to-toe rocker sole.
이 형태는 뒷꿈치와 발가락 양쪽의 기울어짐이 좀 더 많게 되어 있다. 이것은 발가락이 땅에서 멀어질 때 미는 힘을 도와주고 발 뒤꿈치 닿기에서는 종골(발뒤꿈치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며 발목 동작의 필요성을 줄여주도록 고안되어진 것이다.
Toe-only rocker sole.
The toe-only rocker sole has a rocker angle only at the toe, with the midstance extending to the back end of the sole. This rocker sole increases weight bearing proximal to the metatarsal heads, provides a stable midstance, and reduces the need for toe dorsiflexion on toe-off. Indications for the toe-only rocker sole include hallux rigidus ; callus or ulcer on the distal portion of a claw, hammer, or mallet toe; and metatarsal ulcers.
Toe-only rocker sole.
이 형태는 오직 발가락쪽에서만 둥근창의 형태를 띄며 미드스텐스 부분이 발뒤쪽 끝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창은 중족골두 근처에서 눌리는 힘이 늘어나게 되지만 미드스탠스 부분이 늘어나면서 안정성을 더 주게되고 발가락 떨어지기에서 중족지절관절이 배측굴곡(위쪽으로 꺽이는)되는 필요성을 줄여준다. 이 창의 적용질환은 엄지발가락 강직, 갈퀴, 해머, 망치 발가락 끝의 굳은살, 궤양, 중족골궤양 등이다.
Severe-angle rocker sole.
This rocker sole also has a rocker angle only at the toe but at a much more severe angle than that found on the toe-only rocker sole. The severs rocker angle at the toe eliminates the weight-bearing forces anterior to the metatarsal heads. This rocker sole is indicated for extreme relief of ulcerated metatarsal heads.
Severe-angle rocker sole.
이 창은 발가락쪽에만 둥근형태를 띄지만 Toe-only rocker sole에서 보다는 좀 더 많은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 더 많은 기울기를 가진 이 창은 앞쪽 발가락부분인 중족골두에 가해지는 눌림을 없애준다. 따라서 이 창은 궤양이 생긴 중족골두부분의 눌림을 극심하게 완화시켜준다.
Negative-heel rocker sole.
Shaped with a rocker angle at the toe and a negative heel, this rocker sole positions the heel lower than or even with the ball of the foot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The negative-heel rocker sole can accommodate a foot that is fixed in dorsiflexion and shift forefoot pressure to the hindfoot and midfoot. Indications for negative-heel rocker sole include an ankle fixed in dorsiflexoin, prominent metatarsal heads with extreme ulcers or callusing, and distal toe ulcers.
Because forefoot pressure is relieved by the negative heel, the depth or height of the sole itself can be minimized to increase overall stability of the shoe. The negative-heel rocker sole is indicated for patients who feel unstable with the normal height of a rocker sole. This rocker is used with caution, however, because the patient's inability to attain the necessary ankle dorsiflexion cause discomfort and may increase pressure on the problem area.
Negative-heel rocker sole.
발가락쪽에서 둥근각도나 발뒤꿈치가 움푹들어가 기울어진 것은 비슷하나 이 창은 서 있을 때 발뒤꿈치가 발 볼과 같은 높이이거나 더 낮은 위치에 있게 하였다. 이 창은 발이 배측굴곡(위쪽으로 굽어짐) 되어있는 발을 수용할 수 있게 하고 발볼의 앞쪽에 쏠린 힘을 뒤쪽이나 가운데로 옮겨질 수 있게 한다. 적응증은 배측굴곡된 발, 중족골두가 매우 돌출되어 있고 퀘양 또는 굳은살이 동발되어 있는 발, 그리고 발가락 끝에 퀘양이 있는 발 등이다.
이 창으로 발 앞쪽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창 자체의 깊이나 높이는 신발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줄어 들 수 있다. 또 평균 높이의 둥근바닥창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분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창은 조심스럽게 쓰여져야 하는데 필요한 배측굴곡을 할 수 없음이 불편하게 할 수 있고 문제 있는 곳에 눌림을 더하게 할 수 있다.
Double rocker sole.
The double rocker is a mild rocker sole with a section of the sole removed in the midfoot area. It appears to be two rocker soles, one at the hindfoot and one at the forefoot, and provides two areas of midstance. Since its thinnest area is at the midfoot, the double rocker sole is used to relieve a specific midfoot problem area, such as a midfoot prominence associated with a rocker-bottom foot or a Charcot foot deformity.
The physician must clearly specify the desired effect or purpose of the rocker sole, and the pedorthist must determine which type of rocker sole will best achieve that purpose. By taking measurements, obtaining floor-reaction imprints, and providing follow-up care, the pedorthist can ensure that rocker sole is performing properly. A poorly or improperly designed rocker sole can worsen the problem it was supposed to help correct.
Double rocker sole.
이 창은 가운데가 제거 되어진 부분을 갖고 있는 완만한 창의 형태로 2개의 둥근창이 발 앞쪽과 뒤쪽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2곳에서 미드스텐스를 제공한다. 가운데가 얇아진 것 때문에 이 창은 발가운데 특정 부분에 문제가 있을 때 사용되어 지는데 발 가운데가 튀어나온 찰콧풋(Charcot foot) 변형이나 둥근 발바닥의 경우가 그것이다.
임상의는 둥근창의 목적과 요구되는 효과를 명백하게 특정화해야되고 신발전문가들도 어떤 형태의 둥근창이 목적한바를 얻기에 가장 알맞은가를 반드시 결정해야한다. 측정한것들과 발본을 뜨는 것 그리고 사용자를 꾸준히 관찰하고 보살핌으로 둥근바닥창이 알맞게 사용되어지고 있는지를 확실하게 해야한다. 알맞지 않고 잘못 쓰여진 둥근바닥창은 문제를 더욱 나쁘게 할 수 있다.
|
첫댓글 족부의학에 나오는 내용인데 작년부터 올리려다가 컴에 약해서..^^ foottimes라는 인솔회사에 마침 제가 올리려는 자료가 있길래 올릴려고 보니깐.. 복사도 안되고 어떻게 하는지 몰라서 그냥 프린트하고 그걸 다시 워드쳐서 그림, 사진으로 만들어서 이렇게 올리네요. 좀 늦은감은 있지만 기능성신발에 대한 이해력에 도움이 될까 싶어 이렇게 올립니다. 이렇게 해도 불법이려나..^^
참 이걸 잘 보시면 기능성신발 뿐만이 아니라 일반 스포츠신발들도 이런 이론에서 출발했다는걸 알 수 있을거에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언제 만들어진 자료인지 참 궁금하네요... 한국에서는 국민신발(?)이 되어버린 둥근밑창이 교정학'으로 보면..허 참...
둥근신발은 교정용으로 써야만 한다고 생각힙니다 그것을 오래착용하면 발목과 관절의 퇴화를 가져온답니다^^
좋은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