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격 있는 이름의 조건
1. 이름을 지을 때, 사주에 부족한 기운과 넘치는 기운을 분석하여 음양의 균형을 맞추고, 발음오행, 자원오행, 수리격, 수리삼원오행, 음양조화 등을 잘 고려하여 적용해야 한다. 이러한 중요 기준사항들은 건물을 지을 때, 설계도에 의한 지반공사, 골격공사 등에 해당한다. 또한, 발음오행과 자원오행에서 글짜를 정할 때에는, 용신(用神)과 희신(喜神) 글짜를 사용해야 한다. 사주에서 약하거나 없는 오행은 그 것을 보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그 오행이 기신(忌神)이나 구신(仇神)에 해당하면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주와 부합된 조화로운 이름은, 수 없이 불려질 때 생기는 파동적 영동력으로, 그 사람에게 에너지을 더해 주는 수호신과 같다.
2. 작명상 고려해야할 사항 건물의 가치를 높이고 거주자들의 편리를 제공해 주는 인테리어 공사에도 정성을 다 하여야 하는 것 처럼, 중요 기준사항들 못지 않게, 다음 사항들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1) 어감이 이상하여 놀림이 되는 이름은 피한다.
작명시에 고려하는 모든 것들이 완벽하게 된 이름일지라도 발음상에 느낌이 나쁘면 좋은 이름이라 할 수가 없다.
특히 신생아 이름을 지을 때는 반드시 친구들과의 사이에서 놀림감이 안 되는지를 검토 해야 한다. 놀림자가 되거나 나쁘게 연상되는 이름은 학창시절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에서 까지 좋지 않은 영향력을 줄 수 있다. 한자의 뜻은 좋으나 천한 느낌이나 놀림감이 되는 이름들의 예를 골라 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고(高) 생(生) 문(文) : 고생만 하는 인생으로 놀림감이 된다. 주(周) 전(前) 자(子) : 주전자의 놀림감이 된다. 양(梁) 재(在) 기(基) : 양은그릇 양재기 별명이 된다. 김(金) 창(昌) 女(녀) : 매춘여자를 연상 시킨다. 고(高) 장(長) 식(植) : 고장나는 느낌을 준다. 김(金) 치(治) 국(國) : 거창한 뜻이 되지만 별명이 된다. 임(林) 신(信) 중(中) : 별명으로 불린다. 변(卞) 태(泰) 성(聖) : 변태적인 인간으로 보인다. 오(吳) 개(介) 월(月) : 별명이 된다.
2) 첫째·둘째 자녀에게 구분하여 한자를 사용한다.
아기가 맏이라면 어른 장(長), 먼저 선(先), 클 태(太), 동녘 동(東)등을 쓸 수가 있지만 이런 글자를 차남에게 쓰면 어울리지 않게 된다. 한자의 뜻이 아무리 좋아도 첫째 자녀와 둘째 자녀에 따라서 가려서 한자를 써야 된다는 이론이 된다. 만약에 동생이 큰 대(大)를 사용하게 되면 그 의미는 좋을지는 몰라도 동생이 첫째를 앞질러서 첫째가 상대적으로 뒤쳐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자녀의 이름을 지을 때는 자녀간의 서열에 따른 적합한 한자를 써야 된다.
▪ 첫째 자녀에 적합한 한자 으뜸 원(元), 높을 고(高), 먼저 선(先), 클 태(太), 동녘 동(東), 한 일(一 壹), 어른 장(長), 비로소 시(始), 맏 맹(孟), 맏 백(伯), 갑옷 갑(甲), 아들 자(子), 하늘 천(天), 어질 인(仁), 효도 효(孝)......
▪ 둘째 자녀와 그 이하 자녀에 적합한 한자 작을 소(小), 적을 소(少), 아우 제(弟), 바꿀 역(易), 아래 하(下), 뒤 후(後), 가운데 중(中), 막내 계(季), 버금 중(仲), 버금 차(次), 두 재(再), 아재비 숙(叔).....
3) 동자이음어(同字異音語)는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하나의 한자에 두 가지 발음이 되는 것을 말하는데, 발음상에 혼돈을 주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그러나 꼭 써야 할 경우에는 불편하더라도 쓸 수 밖에 없다.
[인명용 한자 중 동자이음어]
更 다시 갱/고칠경 易 바꿀 역/이 力 힘 력/역 梁 들보 량/양 僚 동관 료/요 旅 나그네 려/여 樂 즐길 락/좋아할 요 律 법 률/율 聯 이을 련/연 金 성 김/쇠 금 慮 생각 려/여 琉 유리 류/유 諒 믿을 량/양 蓮 연밥 련/연 莉 말리 꽃 리/이 呂 성 려/여 倫 차례 륜/윤 兩 두 량/양 禮 예도 례/예 什 열사람 십/집 柰 능금나무 내/나 侖 둥글 륜/윤 鍊 불릴 련/연 倆 재주 량/양 曆 책력 력/역 留 머무를 류/유 凉 서늘할 량/양 憐 불쌍히 여길 련/연 率 거느릴 솔/장수 수 麗 고울 려/여 類 같을 류/유 度 법 도/헤아릴 탁 戀 사모할 련/연 俚 속될 리/이 車 수레 거/차 劉 성 류/유 歷 지날 력/역 糧 양식 량/양 隣 이웃 린/인 了 마칠 료/요 良 어질 량/양 漣 연할 련/연 綸 벼리 륜/윤 鍊 단련할 련/연 龍 용 룡/용 奈 어찌 내/나 流 흐를 류/유 栗 밤 률/율 亮 밝을 량/양 裏 속 리/이 勵 힘쓸 려/여 量 헤아릴 량/양 侶 짝 려/여 例 견줄 례/예 紐 끈 뉴/유 料 헤아릴 료/요 輪 바퀴 륜/윤 樑 들보 량/양 崙 산이름 륜/윤 怜 영리할 령/영
4) “한자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는 설”은 근거가 없다.
한자(漢字)의 한 글자가 하나의 의미로 통합이 되어야 좋은데, 한자가 쪼개지고 나누어지면, 운도 분리되어 약해진다는 설이 있는데, 필자의 생각으로는 근거 없는 논리라고 단정한다.
[분리된 이름] ▪ 병(竝) 立 立 - 전(詮) 言 全 - 림(林) 木 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