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어 휘 |
문 법 |
논 리 |
독 해 |
합 계 | |
08년 |
문항(개) |
5 |
4 |
16 |
15 |
40 |
비 율 |
12% |
10% |
40% |
38% |
100% |
<총 평>
2008년 문제는 다문항화, 장문화한 논리영역이 특징이다.
논리 16문항 중 6문항이 독해지문과 같은 장문으로 출제되어 실제 독해영역의 비율은
50% 이상으로 타 대학과 비슷하다. 독해 영역에서도 2문항이 실제 Logic Question이어서
독해에서의 논리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한 시험이었다.
영역별로 보면 적은 문항수의 어휘와 낮은 난이도의 문법 영역에 반해 논리 영역은 40%의 비중을 차지하여 독해 시간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하였으며 독해영역은 각 지문 당 2문항 이하 문제가 출제되어 속독을 요했다는 점 등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는 고려대학교 시험과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2. 영역별 분석
1) 어휘영역
구 분 |
어 휘 |
숙 어 | ||
어원별 어휘 |
전문 어휘 |
실용 어휘 |
관용 숙어 | |
문항(개) |
0 |
0 |
4 |
1 |
어 휘 |
- |
- |
anarchic propound legerdemain insouciant |
throws in its lot with |
어휘 문제가 5문항으로 매우 적은 수 출제되었으나 대부분의 어휘가 GRE수준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지나치게 높은 난이도와 적은 문항수로 변별력은 높지 않지만 편입영어학습의 방향은 궁극적으로
학교별 출제경향에 맞추어진 전략적인 학습이므로 높은 난이도의 어휘 역시 평소에 공부해두
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고난도 어휘의 경우 대부분의 단어가 추상적 의미를 지니기 때문에 영어단어와 우리말 뜻의 조합보다는 영영사전식 단어 정리가 효과적이다.
특히 관용적인 숙어표현이 1문항 출제되었는데 숙어표현은 실용화 되는 최근의 출제 경향을
보여주고 있는 예로서 시사지 등에서 발견되는 표현들을 평소에 정리하는 습관 속에서
문맥을 유추하는 융통성도 함께 키울 수 있다.
문제풀이예시
5. The film throws in its lot with the rabble rather than the aristocracy.
1) pacifies2) reacts against
3) shows4) supports
[해결포인트]
"throw in its lot with"은 “~와 운명을 같이 하다”의 의미이므로 “입장을 함께하다”로 의역할 수 있다. ”그 영화는 독재가 아닌 평범한 대중의 입장을 옹호한다.“가 자연스러운 해석이므로
support가 적절하다. 정답 4) supports
2) 문법영역
유 형 |
구 분 |
문항(개) |
분 석 |
문법성 |
동사 |
1 |
시제 |
형용사 |
1 |
수사의 명사수식 | |
대명사 |
1 |
대명사 수의 일치 | |
관계대명사 |
1 |
주격 관계대명사절에서의 주어 번복 |
문법 문제는 4문항만 출제되었다. 난이도 역시 중하 수준으로 GRE수준 난이도의 어휘와 장문의 논리 영역에 비해 변별력이나 중요도 면에서 비중이 상당히 낮은 영역이었다. 4문항 중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는 문항은 9번으로 시제문제를 다룰 때는 항상 기준시점을 먼저 파악해야함을 알 수 있다.
문제풀이 예시
9. Tolstoy's 1)grasp of details 2)enabled him to create novels that 3)arose and reflected the complexity of events that Russians 4)have endured.
[해결포인트]
기준시점이 과거인 문장에서는 현재완료가 쓰일 수가 없다. “톨스토이는 세세한 부분도 놓치지 않는 그의 이해력 덕분에 러시아인들이 감내해온 사건들의 복잡다단함을 일깨우고 반영하는 소설들을 쓸 수 있었다.” 가 적절한 해석이므로 러시아인들이 사건들을 감내한 것은 톨스토이가 소설을 집필한 시점인 과거보다 앞선다. 따라서 4)는 had endured가 적절하다. 정답 4)
3) 논리 영역
논리 영역이 전체 문항의 40% 이상을 차지해 타 대학에 비해 상당히 비중이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
게다가 6문항이 주제추론과 관계된 문제여서 실제로는 독해문제를 푸는 것과 같은 심적 부담을
느꼈을 것이다. 타 대학을 포함한 최근 출제 경향은 기존의 비독해 영역이 독해영역화되는 것이다.
문제풀이 예시
17. The idea that people are basically economic creatures, intent only upon their own material advantage, induces disbelief in the ______ of any ______ motive.
1) purpose - natural
2) desirability - ulterior
3) seemliness - egoistic
4) integrity - altruistic
[해결포인트]
‘ 사람은 근본적으로 경제적 존재이고 오직 자신의 물질적 이득에만 집중한다는 생각은 이타적 동기의
진정성에 대한 불신을 초래한다“.가 적절한 해석이다.disbelief 이하에는 앞부분의 economic creature,
their own material advantage 의 반대항이 위치하는 것이 논리적이다. 따라서 trust 의 동의어인 integrity 와 unselfish의 동의어인altruistic 적절하다. altruistic의 의미를 모른다 해도 소거법에 의해
논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이다.
4) 독해 영역
구 분 |
문항(개) |
주제/소재 |
분 야 |
유 형 |
26 |
1 |
Changing trend of comic books |
literature |
Inference 1 |
27 |
1 |
What makes masterpiece |
literature |
Inference 1 |
28 |
1 |
Technology changes culture |
Technology |
Inference 1 |
29 ~30 |
2 |
Rising population hinder economic growth |
Economics |
True of NOT True 1 Logic Question 1 |
31 ~32 |
2 |
Cloths as status symbol |
Sociology |
Topic Question 1 True of NOT True 1 |
33 ~34 |
2 |
Internet and freedom of speech |
Technology |
True of NOT True 1 Logic Question 1 |
35 ~36 |
2 |
Against protesting "Harry Potter" |
Literature |
Inference 1 |
37 ~38 |
2 |
Kyoto Protocol |
Environment |
Inference 1 True of NOT True 1 |
39 ~40 |
2 |
Failure of Fishing Control |
Environment |
Inference 1 Inference 1 |
총 15문항 |
Topic |
Inference |
True or not true |
etc |
비 율 (%) |
1(7%) |
7 (47%) |
5(33%) |
2(13%) |
환경, 사회, 문화, 경제, 문학 ,환경 등 다양한 분야의 테마가 다루어졌다 특이한 점은 문학관련 지문이 다수 다루어진 점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학, 문화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접근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technology 관련 지문 역시 문화와의 관계를 다룬 글이다. Kyoto Protocol의 cap trading system 등 환경 관련 지문이 2개 출제되어 최근 환경이슈가 빈출 주제라는 점은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문제 유형 면에서는 Topic과 내용일치를 포함해 유추문제가 절대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문제풀이 예시
【24】아래 문장으로 시작하기에 가장 어색한 구절(passage)을 고르시오. (3점)
There has always been something opaque about IQ.
① There is such a thing as general intelligence; people who are good at one mental skill tend to be good at others. This intelligence is partly hereditary. A meta-analysis by Bernie Devlin of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found that genes account for about 48 percent of the differences in IQ scores. There's even evidence that people with bigger brains tend to have higher intelligence.
② There's no consensus about what intelligence is. Some people think intelligence is the ability to adapt to an environment, others the capacity to think abstractly, and so on.
③ Over the past century, average IQ scores have risen at a rate of about 3 to 6 points per decade. This phenomenon, known as the Flynn Effect, has been measured in many countries and across all age groups. Nobody seems to understand why this happens, or why it seems to be petering out in some places, like Scandinavia.
④ IQ measures something, but it's not clear what it is, or whether it's good at predicting how people will do in life. Over the past few years, scientists have opened the black box to investigate the brain itself, not a statistical artifact.
1) ① 2) ②
3) ③ 4) ④
[해결포인트]
주제와 부연의 논리적 관계를 묻는 유형이다. 주어진 문장이 주제라는 가설 혹은 전제 하에 독해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주제는 “ IQ의 신빙성에 대한 의문은 항상 존재해왔다”는 것이므로 IQ의 정의에
대한 논란을 다룬 ②, IQ상승의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는 ③, IQ가 실제로 삶 그 자체와 갖는
관계가 불명확하다는 ④ 는 모두 주제와 부합하는 부연이다. 그러나 ① 은 IQ의 일반적 정의를 다루고
있으므로 IQ의 개념에 대한 필자의 회의적인 입장은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따라서 부연설명이 주제를
논리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지 않은 ①이 정답이다.
위와 같은 문제는 효율적인 독해기술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모든 독해는 주제에 대한 가설이 전제 될 때 좀 더 논리적이고 비판적인 독해가 가능하다. 즉 논리적 흐름을 미리 예측하고 평가하는 능동적 독해는 속독 속에서 놓치기 쉬운 정확한 이해를 돕는다. 따라서 평소에 지문의 문제풀이만 목표로 하지 말고 글 전제를 하나의 논리적 완결구조로 보고 주제를 중심으로 그 논리구조의 완결성을
판단해보는 것도 의미 있는 학습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