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아함경
고익진 역
-한글 아함경 해제-
아함경은 기원전 6세기경 인도에 살았던 샤카무니 붓다가 45년간 그 제자들과 나눈 대화와 가르침을 모은 것이다
아함경을 독경하는 것은 마치 부처님과 대화를 나누는 일과 같다
불교의 체계적 연구는 아함`반야`법화의 3부경에 의지해야 한다는 견지에서 편자는 '한역 불교근본경전'이라는 자료집을 발간, 이 책은 그 중의 아함부 경전에 대한 한글판이다
이 경의 출처는
1)수행본기경2권
2)중본기경2권
3)반니원경2권
4)아함경정선이다
네 가지 경전중에서 처음 셋은 부처님 전기를 설해 주기 위한 것이고
아함경정선은 장,중,잡,증일 4아함에서 중요한 경전을 정선하여 정연한 교리적 체계로 새로 엮은 것이다
아함경정선의 맨 처음에 외도를 비판하는 경전들을 모았고
그 내용은 외도비판을 통한 바른 법의 제시가 주제로 되어 있다
외도비판 다음에 부처님의 독특한 교설방법에 관한 경전들을 집록하였다 .
무엇보다 먼저 자기 자신과 정당한 도리( 법)에 의지해야 할 것을 가르쳤다 .
이런 교리조직 중에 처음이 십이처설로 생각되며,
육육법설은 십이처를 기점으로 복잡한 형태의 연기설을 한데 모은 것이다
아함경에서 수행의 원리를 설하는 대표적 법문은 오온`사제설이다
아함경을 객관적 입장에서 육육법에 의해 설명되고
십이연기설은 육육법과 오온`사제설에 의해 설명되고 있음을 보면
교리적 위치는 십이연기설앞에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함경은 사제설이외에도 여러가지 수행법이 설해지고 있는데 이것을 조직한 것이 삼십칠조도품이며
다시 선정의 측면에서 조직한 것이 구차제정이다
아함경에서 최상의 법으로 등장하는 것은 십이연기설이다
연기라는 개념은 인연과 집이라는것이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함경 스스로 과거 일곱부처님 모두 십이연기를 순역으로 관찰해서 깨달음을 이루셨다고 설하고 있는 것이다.
아함경은 불교학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아함경이 있다
대승불교의 기초를 이루는것이 아함이요 ,아함을 완성하고 있는 것은 대승이라 할 정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