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효석 작가에 대해
장편소설보다 단편소설에서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었고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국에 대한 동경을 소설화했다. 호는 가산. 이시후(李始厚)의 맏아들로 태어나 가정 사숙에서 한학을 배웠다.
1920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 1925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에 입학했다. 재학시절 조선인학생회 문우회에 참가하여 기관지 〈문우〉에 시를 발표했고, K. 맨스필드, A. 체호프, H. J. 입센, T. 만 등의 작품을 즐겨 읽으며 문학관의 정립에 힘썼다. 당시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그들과 비슷한 경향의 소설을 써서 유진오 등과 동반자 작가로 불렸다.
1930년 경성제대를 졸업하고 이듬해 조선총독부 경무국 검열계에 보름 정도 근무하다 경성으로 내려가 경성농업학교 영어교사로 근무했다. 이때부터 작품활동에 전념하여 1940년까지 해마다 10여 편의 소설을 발표했다. 1933년 구인회에 가입했고, 1934년 평양숭실전문학교 교수가 되었다. 1940년 아내를 잃은 시름을 잊고자 중국 등지를 여행하고 이듬해 귀국했으며, 1942년 뇌막염으로 언어불능과 의식불명 상태에서 죽었다.
1925년 〈매일신보〉 신춘문예에 시 〈봄〉이 가작으로 당선되고, 이어 〈매일신보〉에 소설 〈나는 말 못했다〉 등과 〈조선지광〉에 〈도시와 유령〉·〈기우 奇遇〉 등을 발표하여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초창기에 발표한 〈노령근해 露嶺近海〉(조선강단, 1930. 1)·〈상륙〉(대중공론, 1930. 6)·〈마작철학〉(조선일보, 1930. 8. 9~20)·〈북국사신〉(신소설, 1930. 9) 등은 경향문학
〈돈〉은 인간의 성적 본능을 돼지의 동물적인 성본능에 비유하고 있으며, 〈분녀〉는 성적으로 타락해가는 분녀를 통해 유교적 도덕에 과감히 도전하고 있다. 한국현대 단편소설의 대표작이기도 한 〈메밀꽃 필 무렵〉
1930년대말에는 자연과 인간본능의 순수성을 시적 경지로 끌어올리는 작품을 발표했는데, 〈낙엽기 落葉記〉(백광, 1937. 1)·〈개살구〉(조광, 1937. 10)·〈장미 병들다〉(삼천리문학, 1938. 1)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 작품들은 이전의 향토적인 소설과 달리 서구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단행본으로 펴낸 장편 〈화분〉(1939)은 〈돈〉에서와 마찬가지로 관능적인 사랑을 그렸고, 이는 인간의 본연에 심취했던 작가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소설집으로 〈성화 聖畵〉(1939)·〈벽공무한 碧空無限〉(1941)·〈황제〉(1943)·〈월야의 두 여인〉(1962) 등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25년『매일신보』 신춘문예에 시 「봄」이 선외 가작(選外佳作)으로 뽑힌 일이 있으나 정식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한 것은 「도시와 유령」(1928)부터이다.
이 작품은 도시유랑민의 비참한 생활을 고발한 것으로, 그 뒤 이러한 계열의 작품들로 인하여 유진오(兪鎭午)와 더불어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진영으로부터 동반자작가(同伴者作家)라는 호칭을 듣기도 하였다. 대학을 졸업한 뒤 1931년 이경원(李敬媛)과 혼인하였으나 취직을 못하여 경제적 곤란을 당하던 중 일본인 은사의 주선으로 총독부 경무국 검열계에 취직하였다.
그러나 주위의 지탄을 받자 처가가 있는 경성(鏡城)으로 내려가 그곳 경성농업학교 영어교사로 부임하였다. 그의 초기 작품은 경향문학(傾向文學)의 성격이 짙은 「노령근해(露嶺近海)」(1930)·「상륙(上陸)」(1930)·「북국사신(北國私信)」 등으로 대표된다. 생활이 비교적 안정되기 시작한 1932년경부터 그의 작품세계는 초기의 경향문학적 요소를 탈피하고 그의 진면목이라고 할 수 있는 순수문학을 추구하게 된다.
그리하여 향토적·이국적·성적 모티프(motif)를 중심으로 한 특이한 작품세계를 시적 문체로 승화시킨 작품들을 잇달아 발표하기 시작하였다. 「오리온과 능금」(1932)을 기점으로 하여 「돈(豚)」(1933)·「수탉」(1933) 등은 이 같은 그의 문학의 전환을 분명히 나타내주는 작품들이다. 1933년에는 ‘구인회(九人會)’에 가입하여 순수문학의 방향을 더욱 분명히 하였다.
다음해에는 평양에 있던 숭실전문학교로 전임하였다. 그의 30대 전반에 해당하는 1936∼1940년 무렵은 작품 활동이 절정에 달하였을 때이다. 해마다 10여 편의 단편과 많은 산문을 발표하였으며, 「화분(花粉)」(1939)·「벽공무한(碧空無限)」(1940) 등 장편도 이때 집필된 것이다.
「산」·「들」·「메밀꽃 필 무렵」(1936)·「석류(柘榴)」(1936)·「성찬(聖餐)」(1937)·「개살구」(1937)·「장미 병들다」(1938)·「해바라기」(1938)·「황제」(1939)·「여수(旅愁)」(1939) 같은 그의 대표적 단편들이 거의 이 시기의 소산이다.
1940년에 상처(喪妻)를 하고 거기에 유아(乳兒)마저 잃은 뒤 극심한 실의에 빠져 만주 등지를 돌아다니다가 돌아왔다. 이때부터 건강을 해치고, 따라서 작품 활동도 활발하지 못하였다. 1942년 뇌막염으로 병석에 눕게 되고, 20여일 후 36세로 요절하였다.
학창시절 체호프(Chekhov, A.)에 탐닉하기도 하고,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한 그는 이 같은 외국 문학의 영향을 적절히 소화하여 자기 나름대로의 작품세계를 형성하는 데 성공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자연이나 인생을 바라보는 문학관에 있어서 싱그(Synge, J. M)나 로렌스(Lawrence, D. H) 등의 영향을 엿볼 수 있으며, 표현이나 구성의 기법면에서는 체호프·맨스필드(Mansfield, K.) 등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영향들을 소화하여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효석의 작품세계의 특질은 한마디로 향수의 문학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그 지향은 안으로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으로, 밖으로는 이국(異國), 특히 유럽에 대한 동경으로 나타난다.
전자는 「메밀꽃 필 무렵」에서와 같이 고향의 산천을 무대로 한 향토적 정서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와, 「들」·「분녀」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근원적으로 인간 자체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에덴과 같은 것을 추구하는 원초적 에로티시즘(primitive eroticism)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후자는 서구적인 것에 대한 동경으로서 현대문명과 자유를 갈망하는 지향에서 이루어진 엑조티시즘(exoticism: 異國風)인바, 이 같은 동경의 세계를 서정적 문체로 승화시켜 특유의 작품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호재- 진심이 없어 보임. 아독은 숙제가 아님. 뭔가를 알아보겠다는 마음으로 하기 바람. 이 내용만으로는 이효석이 누군지 도무지 알 수 없음. 다음부터 작가에 대해 알아볼 땐 그 작가가 어떤 글을 썼는지
누구의 영향을 받았는지, 무슨 생각을 가지고 작가 생활을 했는지, 등에 대해서 꼼꼼히 알아보는 것이 중요함.
순수문학과 경향 문학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바람.
지현- 요점 정리를 잘 했음. 경향문학과 순수문학에 대해 별도의 설명을 부여 했으면 완벽했음.
민유- 정리를 잘 했는데 너무 집약적임. 딱히 건질만한 내용이 없음. 한 두 가지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했으면 좋았을 듯.
아두- 아래 지민이와 비슷함. 저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음. 억지로 마지못해 한 것처럼 느껴짐. 아독이는 숙제가 아님. 내 지식을 쌓아가는 것임. 머리를 채운다 생각하고 진심으로 하기 바람. 즐거운 마음으로 하기 바람. 단순하게 생각하는 스타일을 바꿔보기 바람. 학습이란 집요하게 파고들어서 완전히 이해하는 것임. 이 작가가 뭘 쓰려고 했는지 알 때까지 집요하게 파고 들어야 함. 메밀꽃 필 무렵은 어떤 글인지 알아보기 바람.(어떤 특징이 있는지, 어떤 문학 경향의 글인지, 이효석에게 이 글은 어떤 작품인지, 우리나라 단편소설엔 어떤 영향을 줬는지 등등)
지민- 저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음. 억지로 마지못해 한 것처럼 느껴짐. 아독이는 숙제가 아님. 내 지식을 쌓아가는 것임. 머리를 채운다 생각하고 진심으로 하기 바람. 단순하게 생각하는 스타일을 바꿔보기 바람. 학습이란 집요하게 파고들어서 완전히 이해하는 것임. 이 작가가 뭘 쓰려고 했는지 알 때까지 집요하게 파고 들어야 함. 메밀꽃 필 무렵은 어떤 글인지 알아보기 바람.(어떤 특징이 있는지, 어떤 문학 경향의 글인지, 이효석에게 이 글은 어떤 작품인지, 우리나라 단편소설엔 어떤 영향을 줬는지 등등)
서진- 요점 파악을 잘 했는데 뭔가 연구를 하다가 그만 둔 느낌이 듬. 이효석 작가는 시험에도 잘 등장하는 작가임. 좀 더 심도 있게 연구해보기 바람.
현진- 잘 했음. 이제 4학년이니 내용은 나중에 보충하도록 하고, 일단은 좀 더 정리를 깔끔하게 하기 바람. 저 위에 민유 누나 스타일로 노력해보기 바람.
...........................................................................................................
순수문학은 문학이나 고급 문학의 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술지상주의에 입각한 문학, 자율성과 자동성(自動性)으로서의 문학, 즉자적(卽自的)인 문학, 현실초월이나 도피의 문학 등의 뜻으로 풀이되기도 한다.
순수문학은 도구성(道具性)으로서의 문학에 반대하고, 특정인이나 특정이념을 위한 목적의식이 뚜렷한 문학에도 반대한다. 기본적으로 순수문학은 현실 참여문학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왔다. 때로는 통속문학이나 대중문학으로부터 고급 문학이나 본격 문학을 지키겠다는 의지가 낳은 용어로 설명되기도 하였다.
문학의 미적·예술적 성격을 지키고자 한 ‘belles-lettres’, ‘die reine Literatur’ 등과 같은 서양의 용어가 있기는 하지만, 한국 문학에 있어서 순수문학은 그 의미가 훨씬 복잡한 편이다. 한국 문학사 속에서 순수문학은 시대를 초월하여 일정한 실체를 가지고 있었던 개념이기보다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져 버린 개념이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듯 하여 간단히 말하면, 시대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는 것이기는 하지만, 비순수성을 배척하고 순수성을 지키며 추구하는 문학.
순수문학(純粹文學)은 넓은 뜻으로는 모든 문장에 대하여 시가(詩歌) · 소설 · 희곡[1] 좁은 뜻 또는 일반적인 뜻으로는 통속문학 · 대중문학에 대해서, 불순한 동기를 갖지 않고 보다 순수한 예술적 감흥(感興)을 추구하는 문학[1]
한국에서는 순수문학이 1930년대를 전후하여 예술파(藝術派) · 기교파(技巧派) · 예술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 등의 명칭으로 나타났으나, 8 · 15 이후에 와서는 이것이 인간성 옹호의 문학으로서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였다.[1]
..................................................................................................................
아이들 아래 글을 읽고 이후의 아독이 하게 해주세요.
메밀꽃 필 무렵'과 심미주의
이효석의 대표작인 `메밀꽃 필 무렵'은 소설로서는 드물게 한국어를 가장 아스라한 경지에 올려놓은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비록 `메밀꽃 필무렵'이 가산문학의 핵심은 아니었더라도 독자들은 이미 이 소설을 효석이 남긴 가장 걸출한 작품으로 기억하고 있다.
감각적 묘사의 풍성함은 한국어에 서툰 독자들에게 미적 감동을 주기에 충분하고 농익은 언어들은 교태를 보는 듯하다. 그만큼 `메밀꽃 필 무렵'이 품고있는 모국어들은 농염한 풍모까지 지니고 있다.
“길은 지금 산허리에 걸려있다. 밤중을 지난 무렵인지 죽은 듯이 고요한 속에서 짐승 같은 달의 숨소리가 손에 잡힐 듯이 들리며 콩포기와 옥수수 잎새가 한층 달에 푸르게 젖었다. 산허리는 온통 메밀밭이어서 피기 시작한 꽃이 소금을 뿌린 듯이 흐뭇한 달빛에 숨이 막힐 지경이다.”
이 문장들로 효석의 문학을 순전히 평가하는 것은 무리지만 이 시적 언사들이 독자들에게 깊이 각인되어 있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평창 봉평에서 열리는 효석문화제가 이 절창을 추억하는 국민적 제의로 보일 지경이다. 그만큼 `메밀꽃 필 무렵'은 효석문학의 가장자리에 있는 이례적인 소설이지만 현재는 효석문학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자리에 올라있다.
효석은 순수한 우리말에 능통한 작가였다. `궁싯거리다' `농탕치다' `각다귀' `애잔하다'같은 토착적 이미지의 언어들은 효석의 심미주의를 극대화하는 효력을 발휘한다. 또 `꽃다지' `질경이' `딸장이' `민들레' `솔구장이'같은 풀과 꽃의 이름들은 소설 속에서 음악처럼 흘러나오기도 한다. 3·4조의 전통적 리듬은 아니더라도 그의 문장은 노련하게 호흡을 고르며 연주하는 피아니스트의 것과 같다.
이같은 점은 동시대 한국 소설의 새로운 발견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던 프로문학과 달리 예술적 표현들이 만개한 효석의 문학은 평단의 놀라운 반응을 사기도 했다.
평론가 김종한은 `문장' 1권9호에서 “이효석씨의 `메밀꽃 필 무렵'은 아마 조선어 예술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정점일 것이다”라고 극찬했을 정도다.
게걸스러운 탐미주의자였던 이효석에게 언어는 미(美)를 탁마하고 재현시키는 가장 좋은 수단이었던 셈이다. 문학이 사상을 제쳐 놓고서라도 언어의 예술이어야 한다는 효석의 오래된 문학관 탓이다.
|
첫댓글 아두..넵!
숙제하듯 하고 있었지요...
생각을 바꿔보도록 대화하세요. 스트레스 없는 아독을 위해...화이팅 하세요.
고전반 수업때 메밀꽃 읽고 어려워했는데...내용 참고하겠습니다. 밑에 내용 복사하려고 하니 무단복사 금지 설정이네유t,,t
네. 복사되도록 수정했어요. ^*^ 메밀꽃 필 무렵 묘사의 극치죠.
@탄지캡틴 잉,,,,,,,,,,,,,,지금 타이핑 다쳤는디................
@탄지캡틴 이미 캡쳐해서 프린트 끝냈어요t,,t 다른분들 잘 활용하셔요^^
@jinjalim [이지현] ㅋㆍㅋ
@행복한 엄마 잘했슈
서진이는 그 아름다운 소설을 전혀 이해못했더라는..ㅋㅋ
이제 조금은 이해할수 있을거라 믿어요^^
이번엔 바보 소리 안 들으려고 열심 읽네요ㅋㅋ
내용은 단순한데 ㅡ표현들이 옛스러워서 그래요
@jinjalim [이지현] 바보요 ㅡㅋㆍㅋ 지현이 멋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