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1. 나무딸기 정지 전정 개요
나무딸기의 정지, 전정을 올바로 하기 위해서는 나무딸기의 생장과 결과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무딸기의 근계(根系)와 뿌리와 줄기의 연결부위(Crown)는 영년생(永年生)이고 줄기는 2년생이다.
2년생인 줄기에서 1년차를 영양생장시기(primocane year)라고 부르고 2년차를 결실기(floricane year)라고 부른다. 1년차 생장에서는 줄기가 자라고 꽃눈이 분화되며 2년차 줄기는 여름에 꽃을 피우고 결실하고 과실이 성숙하면 줄기는 죽는다.
기성원(旣成園)에서는 1년차 줄기와 2년차 줄기가 섞여있다. 매년 결실형 나무딸기는 이와 같은 결과습성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정지와 전정은 다른 개념이지만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가끔 함께 이해된다.
전정은 줄기에서 가지를 자르는 것을 의미하며 생장 촉진, 결실량 조절, 품질 향상, 병·해충에 의한 피해지 제거를 위해서 실시한다. 정지는 수량과 품질 향상, 관리에 용이하도록 나무딸기 줄기를 배치하는 작업으로 특히 반개장성 나무딸기의 울타리식 유인이 전형적인 전정의 양상이다.
적절한 전정은 죽은 가지와 병해충 피해를 받은 가지를 제거하여 다음해 병충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잘 관리된 나무딸기포장은 수관 내부로 햇빛이 고루 비치고 바람이 잘 통하며 살포 약제가 고루 묻어서 병충해 발생을 줄이고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킨다. 적절한 정지, 전정은 나무딸기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재식 후 연차별로 다양한 관점에서 정지, 전정을 알아보기로 한다.
9-2. 재식 후
묘목을 심은 후 줄기 부분은 줄기 하단에서 새눈의 발아촉진과 줄기에 부착된 병해충 제거를 위해 잘라버린다
9-3. 여름
결실된 가지는 수확 후 가능한 빨리 제거한다. 1년차 줄기는 목표로 하는 높이 이상 자라면 줄기 끝을 10cm 정도 적심을 한다. 적심은 줄기를 강화시켜 과실과 지엽의 지지력을 강화하고 줄기에서 측지 발생이 잘 되도록 하여 수량성을 높인다. 모든 줄기의 생장이 고르지 않으므로 줄기의 생장 정도에 따라 여러 번 적심 작업을 하여준다. 적심이 여름 늦게까지 지연되면 측지수가 적고 측지에 결실량이 적어 결국 수량이 감소하게 된다.
생장이 왕성한 직립성 불랙베리는 지상 120∼150cm에서 적심을 하고, 수세가 약한 블랙베리는 지상 90∼120cm에서 적심을 한다. 개장형 블랙베리는 맨 윗 유인선에서 10∼15cm 위에서 적심한다. 블랙라스베리는 60cm, 퍼플라스베리는 76cm 전후 자라면 적심을 한다
황색라스베리나 적색라스베리는 적심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흡지를 잘라주어 지상부 기준으로 나무딸기 이랑 넓이를 50cm 내외로 유지하고, 수확 후 죽은 줄기를 제거할 때 약한 줄기도 함께 제거한다. 이러한 작업은 수관 내부로 햇빛이 잘 들어오게 하여 병충해를 줄이고 남아있는 1년생 줄기를 튼튼하게 한다.
9-4. 늦은 겨울부터 이른 봄:
겨울 전정 시기는 겨울 동안 줄기 끝이나 가지의 동해 여부를 감안하여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실시한다. 레드라스베리와 옐로우라스베리는 새 줄기가 뿌리에서 눈이 터서 자라므로 이랑을 이루도록 정지한다. 이랑 폭은 50cm 내외로 하고 이랑 길이 30cm 당 8주 내·외의 튼튼한 줄기를 남기고 나머지는 솎아낸다. 직립형 블랙베리도 지표부근의 줄기와 뿌리 부위에서 새가지가 자라서 줄기가 밀생하므로 많이 솎아주는데 이랑 30cm당 8주 정도로 남겨둔다. 이 외의 라스베리와 블랙베리는 근관부에서 새 줄기가 자라며 전체적으로 이랑을 이루는 대신 포기 단위로 두둑을 형성하게 된다.
이런 양상으로 자라는 나무딸기에서는 포기당 줄기 기부의 직경이 1.5cm 이하의 약한 줄기와 포기당 5∼6주 이상의 여분의 줄기를 제거한다. 줄기 사이로 공기유통을 좋게 하고 수확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세력이 왕성한 줄기에서는 기부에서 45cm 아래에 붙어있는 측지를 제거하고 약한 줄기에서는 30cm 내의 곁가지는 제거해 준다. 남겨둔 측지는 절단전정을 하는데 블랙베리에서는 30∼45cm 내·외를 남기고 블랙라스베리와 퍼플라스베리에서는 25cm 정도를 남긴다.
이상의 절단 범위에서 왕성한 줄기에서는 길게, 약한 줄기에서는 짧게 남기도록 조정하며 전정을 한다.
9-5. 연중 결실형 라스베리(1년생 줄기 결실 형)
연중 결실성 나무딸기는 1년생 줄기와 2년생 줄기 모두 결실시키는 경우와 1년생 줄기에만 결실 시키는 전정방법이 있다. 1년생 줄기는 초여름부터 한여름에 걸쳐 자라는데 늦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줄기 상단에 결실한다. 과실을 수확하고 나면 결실했던 부분은 죽는데 이 부분은 봄 새순이 자라기 전까지 전정할 때 잘라버리고 나머지 줄기를 그대로 남겨놓으면 다음해에 2년차 줄기에서 다시 결실하게 된다. 1년차 줄기에서 결실한 과실은 2년차 줄기에 달린 과실에 비해 더 큰 경향을 나타낸다.
병 발생이 많은 지역에서는 1년생 줄기에만 결실시키고 모두 잘라버리는 것이 유리하다. 이 작형에서는 모든 나무딸기를 봄 그루터기를 2∼5cm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여 버린다. 이러한 재배양식에서는 병해충의 이동, 감염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또한 1년차에만 결실시키면 1, 2년차 줄기에 함께 결실시키는 경우에 비해 수량은 적지만 과실이 더 크다.
9-6. 유인(trellising)
유인시스템은 개장형 블랙베리와 레드라스베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인은 바람 피해를 줄이고 전정이나 수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관 내부로 햇빛이 잘 비치게 하여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병충해를 줄일 수 있다. 유인 재배에서는 유인을 하지 않고 재배한 경우보다 수량도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
유인 시스템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다음 두 가지가 설치 및 유지하기가 쉬운 편이다.
9-6-1. 유인선을 위, 아래로 설치하는 방법(two-wire vertical trellis)은 포도재배에서 니핀식에 유사하며 개장성 블랙베리에 가장 적당한 유인시스템이다. 지주는 6∼8m 간격으로 설치하고 가장자리 지주는 2.4m 길이에 지하 70cm 정도 묻히도록 한다. 중간 지주는 2m 높이에 지하 46cm 정도 땅에 묻히도록 한다. 상단 유인선은 아연 도금 12번 철선을 이용하고 아래 유인선은 아연 도금 14번 선을 이용한다. 유인선의 배치는 지상 90cm 위치에 하부 유인선을 띄우고 지상 150cm 위에 상단 유인선을 배치시킨다. 유인선 가까이 1년차 줄기를 당겨서 느슨하게 메어준다. 이들 1년차 줄기는 상단 유인선 위로 10∼15cm 정도 자라면 생육기간 중 한차례 적심을 하여 (그림18-A참고)측지 발생을 촉진시켜준다.
측지의 적심은 흑색, 자색 라스베리에서는 20∼25cm 정도 남기고 블랙베리에서는 30∼45cm 남기고 잘라준다. 줄기 기부 30∼45cm 아래의 측지는 모두 제거한다(그림 18C-참고).
9-6-2. 단일 가로막대 유인 시스템(single cross-arm trellis)은 레드라스베리에 가장 적합한 유인시스템이다. 이 유인 방법은 포도 유인에서 제네바 더블 커튼 시스템(Geneva Double Curtain System)과 유사한 방법이다. 지주 배치 간격은 6∼8m로 하고 지상 1∼1.5m에서 유인하도록 한다. 가장자리 지주는 지하 60cm 이상 되게 고정하고 중간 지주는 지하 45cm 정도 되도록 한다.가로막대는 길이가 45cm 되도록 하고 지주 끝에 단단하게 고정한다. 가로막대 양쪽 끝에는 12번선 아연도금 철선을 배치하고 줄기는 유인선 사이에 느슨하게 유인하거나 클립을 끼워 옆으로 늘어지지 않도록 한다.
9-6-3. 두개의 가로막대 유인시스템(double cross-arm trellis)이다. 가로막대 길이는 각 각 30cm, 45cm로 하고 아래 쪽 가로막대는 지상 90cm에 고정시키고 상단 가로막대는 지상 150cm에 고정시킨다. 유인선은 이랑마다 상, 하 가로막대 양쪽에 설치한다. 줄기는 유인선 사이에 간격을 고르게 배치하여 고정시킨다.
9-6-4. 일시적 유인 지주(Temporaly trellis)설치는 단일 혹은 이중 가로막대 시스템의 변형으로 가을 결실형 나무딸기 유인에 알맞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지주를 세울 수 있도록 구덩이를 7.6m 간격으로 90cm 깊이로 파두고 플라스틱 파이프를 1열로 배치한다. 여름에 2.4m 지주를 구덩이에 세우고 지상 75cm와 150cm 높이에 45cm 정도의 가로막대를 고정시킨다. 지주의 가로막대 양쪽에는 철선 대신 굵은 끈을 묶어서 유인토록 한다. 수확 후부터 새로운 줄기가 자라기 시작하는 봄 이전에 끈과 지주를 제거하여 모든 식물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나무딸기 줄기의 2년생 생활환 발육지(1년차)
줄기 신장---화아 형성 개화-----결실--줄기고사
1년차 2년차
그림13. *연속 결실형 제외
블랙베리, 블랙라스베리, 퍼플라스베리의 여름전정
(A). 휴면기 전정 전 (B). 전정 후(측지 전정) 줄기 기부 30~45cm 이하의 측지 제거 밀생 줄기 제거.
발육지 결실 후 휴면기에 잘라준 다음 이랑폭 30~45m 이내 줄기남겨둠
(A)발육지(1년차 줄기)수확재배
(B)발육지(1년차 가지) 및 개화지(2년차 가지) 수확 재배
그림 17. 1, 2년차 가지 수확 형 라스베리의 전정 모형.
(A). 유인선 상단 10∼15cm에서 하계 적심
(B). 발육지 적심으로 자란 측지
(C). 측지 30∼45cm 남기고 전정. 줄기 기부 45cm 이하 측지는 제거, 병든 가지, 쇠약한 가지 제거.
그림 18. 개장형 나무딸기 유인선 2줄식 울타리수형에서 부채꼴 수형의 정지 전정.
그림 19. 단일 가로막대형 지주 설치
그림 20. 2개 가로막대 형 지주.
그림 21. 여름철, 가을철 연 2회2013-06-04 수확 형 나무딸기의 가변형 지주 설치
9-7. 나무딸기 종류별 전정 방법
9-7-1. 레드라스베리
초가을 수확 후 결실된 모든 가지를 제거한다. 생육기간 중 30∼45cm의 울타리 폭을 벗어나서 발생하는 흡지를 모두 제거한다. 병해충의 피해를 받은 새가지는 제거한다. 봄에 눈이 트기 전에 이랑 내 30cm 당 5~6개의 가장 강한 줄기만 남기고 나머지는 제거한다. 연중 결실성은 가을 결실만 하도록 관리하고, 매년 봄 지표 부근에서 줄기를 잘라준다. 여름 동안 40cm 이랑 폭을 벗어나 발생하는 모든 흡지와 이병지는 제거한다. 수확 후 줄기는 제거한다.
9-7-2. 블랙라스베리와 퍼플라스베리
새 줄기가 지상 90cm 높이로 자라면 선단부 10cm 정도 적심을 하고 블랙베리의 경우 지상 1.2m 정도에서 적심을 한다. 적심을 통해서 측지 발생을 유도한다. 이른 봄 매 포기 주위에서 튼튼한 줄기 5~6개만 남기고 나머지는 솎아준다. 측지는 12개의 눈을 남기고 잘라주는데 남기는 길이는 대개 30cm 정도 된다.
격년 생산을 위해 잘라주지 않고 기른 직립성 품종은 매년 3가지 전정 작업을 하여야 한다.
① 순 자르기
② 죽은 결실지 제거
③ 1년생지 솎아주기.
여름 적심은 왕성하고 길게 자라는 가지를 발생시키고 수확에 알맞은 높이를 유지하여주기 위해 필요하다. 블랙베리, 블랙라스베리 그리고 퍼플라스베리는 일반적으로 생육이 더 왕성하여 곁가지 발생을 위해서 한여름에 순지르기를 하여 주는 것이 필요하다. 줄기 적심은 120cm 정도 높이에서 하여준다.
적심에 의해 유기된 측지는 동계전정 시 38cm 내외로 잘라준다. 결실된 줄기는 수확 후 고사하는데 죽은 줄기는 관리 작업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병해충의 은신처가 되어 죽은 가지에서 월동하게 되므로 제거한다. 결국 매년 필요이상의 줄기가 자라므로 줄기를 솎아주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줄기는 혼잡을 피하기 위해 이랑에서 30cm 정도에 5개 정도 남기고 솎아준다. 가시 없는 품종에서 뿌리로부터 발생한 가시가 있는 줄기는 가시 없는 줄기만 남기고 제거하여준다. 포복성과 반직립성 품종은 지지대로서 2~3줄의 철선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전정은 줄기 적심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필요하다.
1년차 줄기는 1년 동안 3m 이상 자라지만 지면을 따라 자라고 결실지 생장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들 가지는 겨울 전정 시 결실한 가지를 제거할 때 2m 정도로 단축해주고 줄기 솎기를 한다. 결실한 가지 제거는 포복성이기 때문에 1년생 가지를 엉키게 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결실지를 쉽게 찾아 베어내기가 용이하다. 이렇게 동계 전정작업은
- 결실 후 죽은 모든 줄기를 제거하고
- 주당 8~10개의 왕성한 줄기를 남겨서 2m정도 길이로 짧게 절단하고
- 시렁의 유인선에 묶어준다.
나무딸기는 재식 후 병충해 때문에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갱신하게 되는데 블랙라스베리나 퍼플라스베리의 경우는 6~8년 정도, 직립형의 블랙베리나 레드라스베리의 경우는 10~12년 정도 유지할 수 있으나 불량한 환경 하에서는 3~4년 정도 지나면 갱신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대체로 재식 후 3~5년차에 성과기에 이르며 수량은 재배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