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안내 <eBook 새로 보는 국악개론> -copyright free Book
이 책은 비갑이 출신이 국악계에 드리는 선물입니다. 교보문고에 내느라 정가를 붙였지만 <copyright free> 도서입니다. 저자는 이 책에 대하여 저작권 주장을 하지 않은 것이니 필요한 사람은 제한 없이 복사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 전자책은 앞으로 3개월 후에 나올 종이 책의 초고본 성격을 띄고 있습니다. 이 책에 대하여 누구든지 의견을 보내시고 본인이 동의한다면 그 분의 의견을 공개하고 나의 의견을 덧 붙여 종이책 발간에 활용할 것입니다.
2025. 1. 23.
전인평 박은주 드림
의견을 보내실 곳은 다음 두 곳입니다.
전인평 ; peacemusic@daum.net
박은주 : ejpoopark@gmail.com
==================================================
<머리말> 충격적인 국악계의 이중 생활
필자가 국악개론 집필 중, 선법 항목을 정리하면서 내 의견을 검증하려고 몇 사람에게 의견을 구하였다.
몇 사람과 의견을 나누던 중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저는 <영산회상>(중광지곡) 상영산 계면조가 황중임(eb-ab-bb) 3음계 중심이라는 설이 마음에 닿지 않았어요. 그래서 제자들에게 이렇게 가르쳐요. 시험에는 3음음계 중심이라고 쓰고, 실제 연주 때에는 중려평조(ab 솔선법)라고 생각하고 연주해라.” 그런데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한 둘이 아니었다. 그동안 국악계가 이렇게 이중 생활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한평생 국악계에서 이혜구 장사훈 이론을 가르쳐 온 필자로서는 큰 충격을 받았다. 왜 이런 괴리 현상이 생겼을까? 이 책은 바로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민한 결과이다.
1970년대 후반이었다. 하루는 모임을 마치고 관례대로 이혜구 교수님과 저녁을 함께 하였다. 술이 한 순배 돌자 최종민이 한 마디 하였다. “교수님! 저희는 교수님을 도저히 따라갈 수 없습니다. 교수님은 한학과 영어에 능통하시며 치밀하기까지 하시니 ----” 이 이야기를 듣자 교수님은 정색을 하면서 “그 무슨 말인가? 자네들이 나를 비판해 주어야 내가 발전할 수 있고 또한 국악학이 바로 설 수 있지 않겠나.” 벌써 50년도 넘은 이야기이지만, 이 말씀의 감동을 잊을 수 없다. 이렇게 나는 선학의 이론을 비판하고, 또한 후배가 나를 비판해 주기를 바라며 이 책을 집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