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집주 학이편 14
子ㅣ 曰君子ㅣ 食無求飽하며 居無求安하며 敏於事而愼於言이오 就有道而正焉이면 可謂好學也已니라 공자 가라사대 군자가 먹는데 배부름을 구하지 아니하며 거함에 편안함을 구하지 아니하며,일에 민첩하고 말에 삼가고 도 있는 데에 나아가 바루면 가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르느니라. 不敢盡其所有餘也ㅣ라 然이나 猶不敢自是하고 而必就有道之人하야 以正其是非면 則可謂好學矣니라 凡言道者는 皆謂事物當然之理니 人之所共由者也ㅣ라 ○尹氏 曰君子之學이 能是四者면 可謂篤志力行者矣라 然이나 不取正於有道면 未免有差니 如楊墨이 學仁義而差者也ㅣ라 其流ㅣ 至於無父無君하니 謂之好學이 可乎아 일에 민첩하다는 것은 그 부족한 바에 힘씀이오, 말에 삼간다는 것은 감히 그 남음이 있는 바를 다하지 못함이라. 그러나 오히려 감히 스스로 옳다 여기지 말고 반드시 도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서 써 그 옳고 그름을 바룬다면 가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를 것이니라. 무릇 도라고 말한 것은 다 사물 당연의 이치를 이른 것이니 사람이 한가지로 말미암은 바이라. ○윤씨 가로대 군자의 배움이 능히 이 네 가지에 능하다면 가히 독지역행자(뜻을 돈독히 하고 행동에 힘쓰는 자)라 이를 것이라. 그러나 도 있는 데에서 바름을 취하지 아니하면 어긋남이 있음을 면치 못하니, 양주 묵적이 인의를 배우고도 어긋남과 같으니라. 그 흐름이 아비도 없고 인군도 없음에 이르렀으니 배움을 좋아한다 이르랴?
논어집주 학이편 15
子貢이 曰貧而無諂하며 富而無驕호대 何如하니잇고 子ㅣ 曰可也ㅣ나 未若賓而樂하며 富而好禮者也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가하나 가난해도 즐거워하며 부해도 예를 좋아하는 자만 같지 못하니라. 必有二者之病이라 無諂無驕면 則知自守矣나 而未能超乎貧富之外也ㅣ니라 凡曰可者는 僅可而有所未盡之辭也ㅣ라 樂則心廣體胖하야 而忘其貧이오 好禮則安處善 樂循理하야 亦不自知其富矣니라 子貢은 貨殖하니 蓋先貧後富而嘗用力於自守者라 故로 以此爲問에 而夫子ㅣ 答之如此하시니 蓋許其所己能而勉其所未至也ㅣ라 지킴을 아나 능히 빈부의 바깥을 뛰어넘지 못하느니라. 무릇 가로대 가하다는 것은 겨우 가하기만 하고 다하지 못한 바가 있는 말이라. 즐거워한즉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살져서 그 가난함을 잊어버리고, 예를 좋아하면 편안히 선한데 처하고 즐거워하면서 이치를 따라 또한 스스로 그 부를 알지 못하니라. 자공은 재물을 불리니 대개 먼저 가난하고 뒤에 부해서 일찍이 힘을 스스로 지킴에 썼느니라. 그러므로 이로써 물음에 부자가 대답을 이와 같이 하시니 대개 그 이미 능한 바를 인정해주시고 그 이르지 못한 바를 힘쓰게 하심이라. 하니 그 이를 이름인저? 治之已精而益求其精也ㅣ라 子貢이 自以無諂無驕로 爲至矣라가 聞夫子之言하고 又知義理之無窮하야 雖有得焉이나 而未可遽自足也ㅣ라 故로 引是詩以明之하니라 쪼고 다시 가니 다스리는 것을 이미 정하게 하여 더욱 그 정함을 구함이라. 자공이 스스로 아첨함이 없고 교만함이 없음으로써 지극하게 여겼다가 부자의 말씀을 듣고 또한 의리의 무궁함을 알아 비록 얻음이 있었으니 가히 문득 스스로 족하지 못하니라. 그러므로 이 시를 인용하여 써 밝혔느니라. 固不待辨說而明矣나 然이나 不切則磋無所施요 不琢則磨無所措니라 故로 學者ㅣ 雖不可安於小成이나 而不求造道之極致하며 亦不可騖於虛遠이나 而不察切己之實病也ㅣ니라 ○우는 이 장의 문답이 그 얕고 깊고 높고 낮음을 진실로 변설해서 기다리지 아니해도 밝아지나 그러나 끊지 않으면 닦는 것을 베풀 바가 없고 쪼지 않으면 가는 것을 둘 바가 없느니라. 그러므로 배우는 자가 비록 가히 조금 이루는데 편안하지 아니하나 도의 극치에 나아감을 구하지 아니하며, 또한 가히 허무하고 먼데 치닫지 아니하나 몸의 절실한 실제 병을 살피지 않느니라.
논어집주 학이편 16 故로 以爲患也ㅣ니라 근심하지 말고, 남을 아지 못하면 시비 사정을 혹 능히 분별하지 못하니라.
|
첫댓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근심하지 말고 내가 남을 알지 못함을 걱정해야한다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