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 19. 7:45
https://blog.naver.com/dsoopark/20054830007
代
왕 명
재위기간
약 사
1대
동명성왕
(東明聖王)
B.C 58~B.C 19
B.C 37~
B.C 19
성은 고(高), 원래 성은 해(解). 휘는 주몽(朱蒙).
해모수의 아들 해부루와 배다른 형제라고도 한다.
동부여(동부여)의 금와의 아들 대소의 모해를 피하여 압록강
연안인 졸본천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고구려(졸본부여)라 함.
2대
유리왕(榴璃)
B.C 19~
A.D 18
은 해(解). 휘는 유리(榴璃). 동명성왕 아들.
왕22년에 도읍을 국내성으로 옮기고 왕33년에
한(漢)나라의 고구려현을 빼앗음. 유리명왕(榴璃明)
3대
대무신왕(大武神) 4~44
18~44
성은 해(解). 유리왕 셋째아들. 휘는 무휼(無恤).
동부여, 개마국을 쳐서 병합하고, 국토를 살수 이북까지 넓혔음.
낙랑군을 정벌함.
4대
민중왕(閔中)
?~48
44~48
성은 해(解). 휘는 색주(色朱). 대무신왕의 동생.
대무신왕의 태자가 나이가 어려 대신 즉위함.
5대
모본왕(慕本) ?~53)
48~53
이름은 해우(解憂),해애루(解愛婁). 민중왕의 형.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신하 두노(杜魯)에게 피살됨.
6대
국조왕(國祖) 47~165
53~146
7살의 나이로 즉위. 영토를 확장하고 부족국가의 틀을
벗어나 중앙 집권적 국가의 기틀을 마련함. 태조왕(太祖王)
7대
차대왕(次大)
71~165
146~165
휘는 수성(遂成). 국조왕 동생. 태조로 부터 왕위 계승을
반대한 우보(右輔), 고복장(高福章)을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으나 학정과 횡포를 일삼다가 신대왕에게 시해됨.
8대
신대왕(新大) 89~179
165~179
휘는 백고(伯固). 국조왕의 막내동생. 차대왕의 횡포로
산에 숨어지 내다가 차대왕이 시해된 후 왕위에 오름.
9대
고국천왕(故國川) ?~197
179~197
휘는 남무(南武). 빈민 구제책으로 진대법을 실시함.
국양왕(國壤)
10대
산상왕(山上)
197~229
휘는 연우(延優), 위궁(位宮). 고국천왕의 아우.
고국천왕이 아들 없이 죽자 즉위함.
11대
동천왕(東川)
?~248
227~247
휘는 우위거(憂位居). 산상왕의 아들.
248년에 신라와 화친함. 동양왕(東襄)
12대
중천왕(中川)
?~270
247~270
동천왕의 아들
13대
서천왕(西川)
?~292
270~292
휘는 약로(藥盧), 약우(藥友)
14대
봉상왕(烽上) ?~300
292~300
휘는 상부(相夫), 삽시루. 왕2년과 5년에 연나라의 침입을
격퇴했으나 사치와 방탕에 빠져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에게
폐위되자 자살함.
15대
미천왕(美川)
?~331
300~330
휘는 을불(乙弗), 우불(憂弗). 현도군을 공격하고 낙랑군을
점령하는 등 영토 확장에 공을 세웠음. 호양왕(好
16대
고국원왕(故國原) ?~371
331~371
휘는 사유(斯由), 쇠(釗).
백제 근초고왕과 평양에서 싸우다 전사함.
17대
소수림왕(小獸林)
371~384
휘는 구부(丘夫). 고국원왕 아들.
왕2년에 중국 전진(前秦)으로 부터 순도(順道)가 불상과 경문을
가져오자 이를 받아들여 최초로 불교를 수입함
18대
고국양왕(故國壤) ?~391
384~391
휘는 이련(伊連). 요동과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혔음
19대
광개토대왕(廣開土) 374~413
391~413
휘는 담덕(談德). 불교를 신봉하였고,
영토를 만주와 한강 이북을 차지하는 등 고구려의 전성시대를
이룩함. 호태왕(好太),영락대왕(永樂)
20대
장수왕(長壽) 394~490
413~490
성은 고씨, 휘는 거련(巨連),연(璉). 광개토대왕 맏아들.
남하 정책을 착수 하여 왕 63년에 백제의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죽였음. 왕 68년에 신라의 7개성을 함락시킴.
21대
문자명왕(文咨明) ?~519
491~519
휘는 나운(羅雲) 장수왕의 손자. 왕3년에 부여를 멸망 시키고,
신라와 백제를 여러차례 침공하여 영토를 넓혔음.
명치호왕(明治好). 문자왕.
22대
안장왕(安藏) ?~531
519~531
휘는 흥안(興安) 문자왕의 맏아들. 백제와 두차례 싸움.
23대
안원왕(安原)
531~545
휘는 보연(寶延). 안장왕의 아우.
양(梁)나라, 동위(東魏)와 수교 하였음.
24대
양원왕(陽原) ?~559
545~559
휘는 평성(平成). 돌궐의 침입을 격퇴 하였으나
신라, 백제의 침공을 많이 받았음.
25대
평원왕(平原)
?~590
559~590
휘는 양성(陽城). 중국의 진(陣), 수(隨), 북제(北齊) 등과 수교함.
26대
영양왕(瓔陽) ?~618
590~618
휘는 원(元). 왕9년에 수나라 문제의 30만 대군을 격퇴.
왕23년에 수양제가 113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섬멸 하였음.평양왕(平陽)
27대
영류왕(榮留) ?~641
618~641
휘는 건무(建武). 외교를 잘하여 수양제에게 잡혀간 포로를
찾아왔으며, 도교(道敎)를 처음으로 받아들임.
연개소문(淵蓋蘇文)에게 살해당함.
28대
보장왕(寶藏) ?~681
642~668
연개소문에 의하여 왕위에 오름. 당의 고종이 이세적(李世勣)을
보내 쳐들어오고 신라가 쳐들어와 고구려는 망하였음
북마크 되었습니다. 네이버 북마크 가기
현재 북마크 되어 있습니다.북마크를 해제하시겠습니까?
서버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잠시 후 다시 시도해 주십시오.
북마크 서비스 점검 중으로,현재 북마크 읽기만 가능하오니이용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__feed_info__ 마음에 드셨다면네이버 MY구독
[출처] 고구려 왕의 계보|작성자 싸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