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 장애인 알기라는 카페에서 퍼온 거랍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서 올립니다.
=======================================================▶수화
수화란 청각장애인의 사회에서 사용되는 의사소통의 양식이며 청각장애인에 의해 창조되었고 창조되는 일종의 언어이다. 수화는 건청인들이 발성을 통해서 표현하는 음성체계가 아니라 손을 통해서 표현하는 시각-운동체계이며 단순하게 음성언어의 정확한 손짓재현이 아니고 그 나름의 독특한 표현양식(영어의 관용어구와 같은 관용적 수화표현)과 문법적 구조를 지닌 하나의 환전한 언어인 것이다 여기에는 충분한 의사전달, 주장, 사소한 생각이나 감정까지 교환하고 납득하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수화는 인류가 이 지구상에 태어났을 때부터 시작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물론 그때의 수화는 자연발생적인 손짓, 몸짓(수어)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자연 발생적으로 생긴 손짓, 몸짓이 1607년에 Bonet에 의해 수화지문자가 창안되고 18세기에 de I'Eppe에 의해 엄격하고 체계적인 수화로 완성, 발전되었다. 우리나라에는 1909년 Rosetta Sherwood Hall 선교사가 평양에 맹학교를 설립한 후 농교육을 실시함으로 한국 수화가 체계적인 수화로 발전되었으며 한글 지문자는 1947년 국립맹아학교 초대 교장이었던 윤백원 선생님에 의해 고안되었다.
(1)수화의 특징
①수화는 손으로 표현되는 언어이다.
- 한 손 또는 양손을 다양하게 사용해서 자기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바른 수화이다.
②수화에서는 손만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며 몸짓과 표정도 사용된다.
-이는 수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이 상대편에게 자신의 의사전달이 음이 아니고 감정이라는 점과 수화는 주로 명사와 동사를 많이 사용하고 형용사가 많지 않기 때문에 모든 표현의 단순한 점을 표정으로 공손한 자세와 존대어가 되도록 한다.
③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모국어이다. - 듣지 못하는 어린이들은 자연발생적인 몸짓으로 자기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그러다가 학교에 입학하게 되면 학교에서 쓰여지는 수화를 배워 이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모국어라 할 수 있다.
④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복지를 위한 언어이다. - 수화가 청각장애인 상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수단이 됨에 따라 그들의 폐쇄적이었던 삶이 개방적인 삶으로 변했다 그리고 최근 수화를 배우는 건청인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수화를 습득한 건청인들은 사회 각 방면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수화는 청각장애인의 복지를 위한 활동의 언어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⑤수화는 냉대를 받아온 언어이다.
- 수화는 구화주의자와 수화주위 자와의 오랜 논쟁 속에서 수화가 언어를 배우고 지식을 쌓는데 해가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미국에서 종합적 의사소통 방법인 Total Communication이 나오기 전까지는 농교육 관련자의 냉대를 받아왔다.
⑥수화는 계속 성장해 가는 언어이다.
- 순구화법이 제창되면서 천대와 냉대를 받아오던 수화는 이제 청각장애아인과 많은 건청인의 사랑을 받게 되었으므로 수화의 기호는 앞으로 보다 많이 제정되어 쓰여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⑦청각장애인의 사랑을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받아온 언어이다.
(2)수화 기호 구성의 특징
①공간적 배열 - 수화는 공간적으로 수화소를 배열
②사상성과 규약성(. ,) - 수화에서 기호내용(수화의미)과 기호표현(수형과 수동)은 사상관계가 강하며 수화가 발전함에 따라 사상성보다는 규약성 의존도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 사상성 의존도 · 몸짓모방 > 전통적 수화 > 문법적 수화
· 규약성 의존도 : 몸짓모방 < 전통적 수화 < 문법적 수화
③동시성 - 수형, 수위, 수동,수향이 동시적으로 짝을 맞추어서 수화단어를 형성한다.
④가역성(.) - 반의어에서 대개 관찰할 수 있다.
예)밝다 / 어둡다의 반의어는 수화에서 수형은 같고 수향이 반대이다.
⑤반복성 - '항상' ,'자주'등은 재현이 수반되어 의미를 나타낸다.
⑥발신(조음)의 운동량 - 음성언어의 조음에 필요한 운동량(혀의 운동량) < 수화의 조음에 필요한 운동량. 발신시간이 수화가 약 1.42배 더 걸린다.
⑦비수지 운동적 기능 - 표정, 머리의 방향, 몸의 방향 등을 비수지 운동이라 한다
(3)수화의 구성
수화의 기호 구성방법에는 연구자 개개인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김승욱(1983)교수의 '한국수화의 심리언어학적 연구' 제 3장 수화의 기호 구성방법에서 소개하는 7가지 구성방법을 소개한다.
①지사-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시간을 가리키는 명사를 지시함
예)아리, 주먹, 코, 머리, 빨강, 과거
②모방-낱말이 의미하는 동작을 흉내낸 것
예)보다, 걷어차다, 말하다, 도장, 날개, 눈물
③상형-낱말이 의미하는 대상의 형체나 그 형체의 변별자질을 손이나 손가락으로 나타내는 것
예)산, 얼국, 삼각형, 십자가, 곰, 대궐
④형지-대상의 형체를 만들어 보이고 그것을 가리키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
예)비 탈, 모퉁이
⑤형동-대상의 형체나 그 일부를 만들어 그 대상이 하는 동작을 해 보이는 것
예)잠자리, 나비, 코끼리
⑥회의-둘 이상의 형태소를 합쳐 다른 의미를 가지는 낱말의 기호를 만드는 것
예)일요일, 소중하다, 장미
⑦전주-기존의 기호가 그것을 의미하고 낱말의 동의어와 유사어의 뜻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는 것
예)교사-,교원, 교육자, 사범, 선생, 스승
(4)수화의 바른 이해
수화를 배우는 자는 농아인의 언어로서의 수화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수화를 장난스럽게 사용한다든가 잘못 표현하는 오류를 피해야 한다 물론 짧은 시일 안에 수화를 완전히 터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수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심을 갖고 겸허한 자세로 수화 강습에 임할 때 그 어려운 수화도 알고 보면 가장 쉽고 재미있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고 또 두 손으로 빚어내는 변화 무쌍하면서도 수화가 지니는 독특한 표현 양식에 큰 매력을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수화를 단순히 심심풀이나 호기심 충족의 한 방편으로 배우려 하지는 말자는 것이다. 어쩌면 농아인들은 자기네 언어인 수화를 열심히 배우고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이 곧 그들을 사랑한다는 증표가 된다고 여기는 줄도 모른다. 이렇듯 수화는 청각장애인들이 가장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많은 정보를 가장 빨리 전하고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고 농아인들의 심리적 특성에도 가장 적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청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수화는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지식을 함양하고 자아를 실현하는 중요한 매체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