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정론 제4권
2. 십대봉불편 ②[1]
[여러 나라의 왕 등]
대당(大唐) 고조(高祖) 태무(太武)황제
대당 금상(今上)황제
위(魏)나라 대승상(大丞相) 발해왕(勃海王)
위나라 시중 태보 사도공 광양(侍中 太保 司徒公 廣陽) 의렬왕(懿烈王)
광양(廣陽) 충무왕(忠武王)
위나라 사도(司徒) 광양왕(廣陽王)
광양(廣陽) 문헌왕(文獻王)
위나라 상국(相國) 고왕(高王)
여남왕(汝南王)
위나라 의도왕(宜都王)
위나라 상당왕(上黨王) 목(穆)
위나라 상산왕(常山王) 지(鷙)
위나라 회양왕(淮陽王) 위(尉)
하동왕(河東王) 순(荀)
위나라 동양왕(東陽王) 비(丕)
회남왕(淮南王) 타(他)
위나라 진왕(秦王) 한(翰)
위나라 사도 북해왕(司徒 北海王) 상(詳)
사목 고양왕(司牧 高陽王) 옹(雍)
위나라 팽성왕(彭城王) 협(勰)
위나라 제남왕(濟南王) 문약(文若)
위나라 안풍왕(安豊王) 연명(延明)
중산왕(中山王) 희(熙)
위나라 낭야왕(瑯琊王) 송(誦)
위나라 상서령 광양왕(尙書令 廣陽王) 가(嘉)
위나라 진류왕(陳留王) 건(虔)
위나라 제헌무왕(齊獻武王)
위나라 사지절 중외제군사(使持節 中外諸軍事) 제왕(齊王)
거록왕(鉅鹿王) 천(闡)
위나라 녹상서사 팽성왕(錄尙書事 彭城王) 소(韶)
초군왕(譙郡王) 양(亮)
위나라 강하왕(江夏王) 이(彛)
임조왕(臨洮王) 영(榮)
위나라 태사 대사마 낙주자사(太師 大司馬 洛州刺史) 풍희(馮熙)
위나라 사지절 유주자사 사도공(使持節 幽州刺史 司徒公) 호국진(胡國珍)
위나라 사도(司徒) 조형(祖瑩) 자는 원진(元珍)
위나라 사공(司空) 이무위(李無爲)
위나라 태부 창녕왕(太傅 昌寧王) 이식(李寔)
위나라 소보 건창공(少保 建昌公) 두략(竇略)
위나라 사공(司空) 고오조(高傲曹)
위나라 사도 고융지(高隆之)
위나라 시중 상서령(尙書令) 원예(元乂)
위나라 우복야 대행대 모용소종(右僕射 大行臺 慕容紹宗)
위나라 이부상서(吏部尙書) 형만(邢巒)
위나라 표기대장군 의동삼사 항주자사(驃騎大將軍 儀同三司 恒州刺史) 육정(陸政)
위나라 태상경 공후(太常卿 恭侯) 정경(鄭瓊)
위나라 옹주자사(雍州刺史) 한중상(韓仲詳)
위나라 황문(黃門) 최릉(崔陵)
위나라 유주자사(幽州刺史) 노영수(盧令守)
위나라 패군태수(沛郡太守) 조원측(趙元則)
위나라 하남윤 무읍공(河南尹 武邑公) 이장(李奬)
위나라 태자중서자 어사중승(太子中庶子 御史中丞) 육재(陸載)
위나라 위위경(衛尉卿) 허백도(許伯桃)
위나라 산기상시(散騎常侍) 온자승(溫子昇)
위나라 영원장군(寧遠將軍) 후막진인(侯莫陳引)
제(齊)나라 대승상 내외제군사 상산왕(大丞相 內外諸軍事 常山王) 확(確)
제나라 태위 난릉왕(太尉 蘭陵王) 장공(長恭)
제나라 사도 낭야왕(司徒 瑯琊王) 엄(儼)
제나라 녹상서사 장광왕(錄尙書事 長廣王) 담(湛)
제나라 대도독 상서(大都督 尙書) 광평왕(廣平王)
제나라 대사마 청하왕(大司馬 淸河王) 단(亶)
제나라 좌복야 광녕왕(左僕射 廣寧王) 효연(孝衍)
제나라 시중 사지절 상서령 녹사 도독조주제군사 표기대장군 개부의 동삼사 호군장군 조주자사 대육주도독 병대중정 장안공 진창왕(侍中 使持節 尙書令 錄事 都督趙州諸軍事 驃騎大將軍 開府儀 同三司 護軍將軍 趙州刺史 帶六州都督 幷大中正 長安公 晋昌王) 당옹(唐邕)
제나라 우승상 함양왕(右丞相 咸陽王) 곡률명월(斛律明月)
제나라 좌승상 평원왕(左丞相 平原王) 단효선(段孝先)
제나라 녹상서사 회남왕(錄尙書事 淮南王) 화사개(和士開)
제나라 태상 청하왕(太常 淸河王) 고악(高嶽)
제나라 태재 장무왕 고적천추(太宰 章武王 庫狄千秋)
제나라 시중 진왕(秦王) 고언귀(高彦歸)
제나라 시중 상서령(尙書令) 원라(元羅)
제나라 상서령(尙書令) 고조(高肇)
제나라 태위(太尉) 팽락(彭樂)
제나라 사도 반상(潘相)
제나라 사공 사마자여(司空 司馬子如)
제나라 광록대부 상서복야(光祿大夫 尙書僕射) 양준언(楊遵彦)
제나라 소부 상서복야(少傅 尙書僕射) 위목(魏牧)
제나라 광록대부 상서복야(光祿大夫 尙書僕射) 최섬(崔纖)
제나라 우복야(右僕射) 최계서(崔季舒)
제나라 좌복야(左僕射) 연자경(燕子敬)
제나라 복야(僕射) 조언심(趙彦深)
제나라 시중 곡률효경(斛律孝卿)
제나라 시중 곡사문약(斛斯文若)
제나라 시중 서지재(徐之才)
제나라 시중 고정덕(高正德)
제나라 칠병상서(七兵尙書) 왕원경(王元景)
제나라 태상경(太常卿) 최앙(崔昻)
제나라 산기상시(散騎常侍) 유적(劉逖)
제나라 위위경(衛尉卿) 두필(杜弼)
제나라 전중상서(殿中尙書) 형자재(邢子才)
제나라 비서감(秘書監) 조효징(祖孝徵)
제나라 상서좌승(尙書左丞) 봉효담(封孝琰)
제나라 사지절 평남장군 인주자사 금자광록대부 안강후(使持節 平南將軍 仁州刺史 金紫光祿大夫 安康侯) 번유(樊儒)
주(周)나라 주국 양주총관(柱國 襄州總管) 위왕(衛王)
주나라 주국 익주총관(益州總管) 조왕(趙王)
주나라 주국 옹주자사(雍州刺史) 제왕(齊王)
주나라 태사 대총재 주국 대장군 진국공(太師 大冢宰 柱國 大將軍 晋國公) 우문호(宇文護)
주나라 주국 상서복야 초국공(尙書僕射 楚國公) 두로영(豆盧寧)
주나라 태부 주국 대장군 대종백 등국공(太傅 柱國 大將軍 大宗伯 鄧國公) 두치(竇熾)
주나라 시중 주국 대장경 무위장군 관군장군 중산대부 안풍공(大匠卿 武衛將軍 冠軍將軍 中散大夫 安豊公) 단치(段跱)
주나라 주국 옹주목 남연팔주제군사 연주총관 찬국공(柱國 雍州牧 南兗八州諸軍事 兗州總管 酇國公) 두공(竇恭)
주나라 대장군 유주자사 안정공(大將軍 幽州刺史 安定公) 우문귀(宇文貴)
주나라 개부의 동삼사 태자세마 운녕장공 낭야군왕(開府儀 同三司 太子洗馬 雲寧莊公 瑯琊郡王) 척발승(拓拔勝)
주나라 사지절 섬주도독 행대 낭중통직 산기상시 하동공(使持節 陝州都督 行臺 郞中通直 散騎常侍 河東公) 우문선(宇文善)
주나라 개부의 동삼사 양화공(開府儀 同三司 陽化公) 원앙(元昻)
주나라 주국 대장군 농서동공(大將軍 隴西東公) 양찬(楊纂)
주나라 통주자사 우시상사 산기상시(通州刺史 右侍上士 散騎常侍) 양조(楊操)
주나라 사공 정후(貞侯) 정목(鄭穆)
주나라 시중 소부 경조군수 행대랑중 대장경 연군공 노경인(少傅 京兆郡守 行臺郞中 大匠卿 燕郡公 盧景仁)
주나라 태보 주국 대장군 오무공(太保 柱國 大將軍 吳武公) 울지안(尉遲安)
주나라 대장군 남만도감 상산공(南蠻都監 常山公) 유경지(柳慶之)
주나라 북형주자사 안도공(北荊州刺史 安道公) 석고(席顧)
주나라 사지절 주국 대장군 대도독 동주자사 서국공(使持節 柱國 大將軍 大都督 潼州刺史 徐國公) 약간봉(若干鳳)
주나라 사지절 태부 주국 대장군 청하공(太傅 柱國 大將軍 淸河公) 휴막진휴(侯莫陳休)
주나라 태사 주국 촉국공(太師 柱國 蜀國公) 울지형(尉遲逈)
주나라 개부의 동삼사 안정공(開府儀 同三司 安政公) 사웅(史雄)
주나라 개부 평북장군 인주자사 안화공(開府 平北將軍 仁州刺史 安化公) 구홍빈(丘洪賓)
주나라 익주부중랑 신주자사(益州府中郞 新州刺史) 채가(蔡哿)
주나라 개부 위원장군(開府 威遠將軍) 왕정(王靜)
주나라 대장군 화계웅(和雞雄)
주나라 대장군 이면영(爾綿永)
주나라 사금대부(司金大夫) 파다라기(破多羅紀)
주나라 군사마 홍화공 의력근중경(軍司馬 洪和公 意力勤仲慶)
수(隋)나라 진왕(秦王) 준(儁)
수나라 촉왕(蜀王) 수(秀)
수나라 한왕(漢王) 양(諒)
수나라 태사 상주국 신국공(太師 上柱國 申國公) 이목(李穆)
수나라 태보 상주국 설국공(太保 上柱國 薛國公) 장손람(長孫覽)
수나라 상주국 사지절 회남총관 수주자사 관왕(使持節 淮南總管 壽州刺史 觀王) 양웅(楊雄)
수나라 대사마 상주국 신무숙공(大司馬 上柱國 神武肅公) 두의(竇毅)
수나라 상주국 상서우복야 노국공(尙書右僕射 魯國公) 우경측(虞慶則)
수나라 상주국 상서좌복야 제국공(尙書左僕射 齊國公) 고영(高穎)
수나라 상주국 우위대장군 진국공(右衛大將軍 陳國公) 두항(竇抗)
수나라 상주국 무위장군 양국공(武衛將軍 梁國公) 후막진예(侯莫陳芮)
수나라 상주국 낙예십칠주제군사 낙주자사 순양공(洛豫十七州諸軍事 洛州刺史 詢陽公) 원효구(元孝矩)
수나라 상주국 형주총관 상명공(荊州總管 上明公) 양기(楊紀)
수나라 상주국 상서좌복야 월국공(尙書左僕射 越國公) 양소(楊素)
수나라 상주국 상서우복야 납언 비국공(尙書右僕射 納言 邳國公) 소무위(蘇武威)
수나라 상주국 도독하동제군사 하동태수(都督河東諸軍事 河東太守) 두경(竇慶)
수나라 주국 우위장군 남강공(柱國 右衛將軍 南康公) 유숭(劉嵩)
수나라 표기장군 의동삼사 분주자사(驃騎將軍 儀同三司 汾州刺史) 최봉(崔鳳)
수나라 상주국 하명왕(何明王) 양벽사(楊辟邪)
수나라 병부상서 상대장군 용강공(兵部尙書 上大將軍 龍崗公) 단문진(段文振)
수나라 저작랑 제남후(著作郞 濟南侯) 왕소(王劭)
수나라 상주국 박령사주총관 해릉공(靈四州總管 海陵公) 하약의(賀若誼)
수나라 사지절 대장군 양주제군사 양주자사 조국공(使持節 大將軍 凉州諸軍事 凉州刺史 趙國公) 독고라(獨孤羅)
수나라 상주국 양익육주총관장 국양공(凉益六州總管將 國襄公) 양예(梁睿)
수나라 상주국 광종장공(廣宗莊公) 이숭(李崇)
수나라 상주국 좌무위대장군 사지절 양주자사(左武衛大將軍 使持節 凉州刺史) 우문경(宇文慶)
수나라 상대장군 영주총관 위흥공(上大將軍 營州總管 魏興公) 위세문(韋世文)
수나라 상주국 이부상서 상용공(上柱國 吏部尙書 上庸公) 위세강(韋世康)
수나라 광한태수 양원후(廣漢太守 襄垣侯) 설염(薛琰)
[당나라의 황제들]
당나라 고조 태무황제
요(堯)를 이어 진(晋)에 살았고 무(武)를 계합하여 주(周)를 기초로 하였다. 구름이 일고 용이 치솟듯 하여 기회를 어루만지고 세상을 명하였다. 일광천하(一匡天下)하듯이 일어났고 구합제후(九合諸侯)를 인하여 즐거이 추대하였다. 삼허(參墟)로부터 출발하여 극히 서울을 정하였으니 풍속을 조문하는 규약을 이미 폈고 법을 약속하는 가르침을 문득 폈다. 다섯 별을 아울러 모으고 교화가 4표(表)에 크시니 지뉴(地紐)가 도로 바르게 되고 천유(天維)가 거듭 펴졌다. 동으로부터 서에 이르도록 먼 곳이 편안하고 가까운 데가 엄숙하였다.
그래서 의로운 깃발이 처음 가리켜서 저 화음(華陰) 지방을 지나면서 신령한 단에 제사지내기를 바라서 복 많이 받기를 구하였으니, 그의 땅은 1만 나라가 조종(朝宗)하는 길이요 6합(合)이 사귀어 모이는 갈피였으니 가히 거둥과 형상을 우러러볼 만하며 참선하고 경을 외울 만한 곳이었다.
이에 신사(神祠)의 오른쪽에 가람을 세우게 하여 영선사(靈仙寺) 한 곳을 지으니 비문은 태자서자(太子庶子) 이백약(李百藥)이 지은 것이어서 문채와 문장이 서로 비추고 황금색과 푸른색이 서로 비추어서 아침저녁의 빛을 끌어 빛나고 무지개의 채색이 환하게 빛난다. 꽃대[花臺]는 그윽하여서 가까이 연꽃 봉오리를 대하였고 그림그린 관(觀)은 드높이 패궐(貝闕)에 빗겨 임하였다.
또 불상을 조성하고 불경을 베껴 써서 복을 고루 닦았으며 경사에 회창사(會昌寺)ㆍ승업사(勝業寺)ㆍ자비사(慈悲寺)ㆍ증과니사(證果尼寺)ㆍ집선니사(集仙尼寺)를 지었고, 또 옛 집을 희사하여 흥성니사(興聖尼寺)를 지었다.
병주(幷州)에 의흥사(義興寺)를 지으니 당과 집이 장대하고 불상의 시설이 장엄하고 빛나서 겹친 두공[拱]에 별을 그리고 겹친 문설주에 달을 그렸으며 높은 창문에는 안개가 서린 듯하고 확 트인 창호는 바람을 맞아 이로써 지혜의 동산과 참선하는 숲이 두루 갖추지 아니함이 없었다.
무덕(武德) 1년에 주작문(朱雀門)의 남쪽으로 통한 거리의 위에 도량을 차려 무차(無遮)의 큰 모임을 베푸니 빈분(繽紛)한 우객(羽客:道士)들이 판을 잡고 오는 거둥이 복전(福田)과 더불어 연기 모이듯 다 모여서 허공을 거닐어 겨우 끌어잡음에 흐르는 구름조차 막는 듯하고, 맑은 범종(梵鍾)이 천천히 도니 지나던 새도 멈추는 듯하며 꽃다운 묘한 공양은 다섯 가지의 청정함을 받들어 비추어오고 고운 이름난 꽃은 3산(山)에서 받들어 이른 듯하였다.
이에 수레와 말이 폭주하고 선비와 여자들의 수레가 따르니 마치 현산(峴山)에 모인 듯하고 계 제사[禊] 때 올린 술 마시기를 다투는 듯하였다.
가령 햇빛이 꿈에 통하니 오직 흰 말의 증험을 전하고 보살이 응하여 나니 한갓 적오(赤烏)의 해[歲]를 듣지만 오늘에 비교하면 부끄러움이 있다 하겠다.
또 태조(太祖) 원(元)황제와 원정(元貞)태후를 위하여 전단향나무로 등신상(等身像) 3구를 만드니 상호(相好)가 기이하고 특수하여 장엄함이 희유(希有)하였다. 자비사에서 공양하였다.
무덕 1년 중춘(仲春)의 달에 그 때는 봄빛이 빛나고 드날려서 푸른 풀이 복을 드리니 양의(兩儀)가 서로 통하고 만물이 다 형통하였다. 이에 복이 많으신 분의 마땅함을 응하여 유신(惟新)의 은택을 펴실 때에 사문과 도사(道士) 각기 69인에게 명하시어 태극전(太極殿)에서 7일 동안 도를 행하게 하였으며 자리가 마치는 날 1천 스님들에게 재를 베풀었다.
법림(法琳)은 불교와 도교 두 교가 같은 곳에서 널리 펴지는 것을 보고 신(神)의 공력을 바라며 3경(景)이 연합하여서 보명(寶命)과 이의(二儀)와 더불어 함께 오래하기를 바라면서 이에 비사(鄙詞)를 지어 송(頌)을 올렸다.
멀리 옛날을 찾으니
아득히 듣기로는 원황께서
때를 인하여 교훈을 지으시고
지혜를 써서 꽃다움을 드리웠네.
은혜를 비느라 망(望)제사를 지내고
덕을 갚느라 증(蒸)제사와 상(嘗)제사를 지냈네.
오직 작은 제사를 높이니
어찌 큰 방법을 듣겠습니까?
3교(敎)를 키우지 아니하여
다만 9장(章)만 풍송(諷誦)하였소.
기약을 응해 어지러움을 헤쳐서
우리 성당(聖唐)께서
인과(因果)에 밝게 통달하시고
단정히 문창(文昌)에 공수하시니
교화는 10호(號)에 짝하고
어짊은 백왕(百王)에 깊었소.
시절은 중월(仲月)이고,
때는 소양(少陽)에 올랐소.
아래로는 꿈틀거리는 벌레를 불쌍히 여기고,
위로는 창창(蒼蒼)한 하늘에 답하여서
금궐(金闕)에 베풀어서
이에 도량을 여셨으니
일궁(日宮)이 빛나고
성대(星臺)가 휘황하게 빛나오.
허공에는 구슬 그림자를 달았고,
불꽃은 윤광(輪光)을 움직이오.
구름이 옥우(玉宇)를 헤치고,
연기가 명향(名香)에 흩어지오.
공양은 날아 내리는가 의심스럽고,
소리는 봉장(鳳鏘)을 머금었소.
기린(麒麟)이 상서로움을 나타내고
단 이슬이 상서로움을 드리오.
공덕은 겁(劫)을 따라 멀리 가고,
은덕은 하늘과 함께 길어지오.
은혜 젖음이 때가 있는 듯하나
은택 입힘은 끝이 없소.
목숨은 원시(元始)와 한가지이고,
몸은 금강(金剛)과 같소.
큰 기틀이 길이길이 가고
많은 복을 내리소서.
대당 금상(今上)황제
태역(太易)과 태초(太初)의 기운을 품수하고 천황(天皇)과 천제(天帝)의 신령함을 의뢰하여서 유방(幽房)에서 고양(高陽)의 터를 열었고 요허(姚墟)에서 중화(重華)의 업을 얽매었다.
붉은 빛은 문호에 흐르고 자색 기운은 하늘을 찌른다. 용의 얼굴과 봉의 가슴의 형체와 해가 뿔이 나고 달이 달리는 조짐과 하수(河水)의 눈이고 바다의 입과 같은 이상함과 위가 풍성하고 아래가 뾰족한 기의함이 있다. 총기 있고 성스러우며 현묘하게 보는 것과 오는 일을 알고 가는 일을 간직하며 그윽함을 더듬고 미묘한 데 들어가서 정신을 다하고 성품을 다하는 그의 뜻은 하늘이 주었고 그의 몸은 자연스러웠다.
용잠(龍潛)의 처음에 경륜을 크게 내렸으나 수씨(隋氏) 세상의 말기에 속하여서 우내(寓內)가 나뉘고 무너지니 불이 곤륜산 봉우리까지 타고 물이 푸른 바다에까지 날았다. 그래서 왕세충(王世充)이 공주(鞏州)와 낙주(洛州)에서 발호(跋扈)하였고, 두건덕(竇建德)이 기주(冀州)와 정주(定州)에서 일어났으며, 당필(唐弼)과 설거(薛擧)가 이미 삼진(三秦)에서 개미 모이듯하였고, 흑달(黑闥)과 무주(武周)가 또한 여섯 군에서 위세를 떨쳤다. 그들은 모두 사슴을 쫓는 뜻이 있었고 각기 왕이라 참칭하는 의식이 있어서 무뢰(無賴)한 자제들을 끼고 오합(烏合)의 무리들을 거느리며 소와 염소 같은 힘을 부려서 물풀같은 흉함을 발하니 하수의 오른쪽 이래로 용과 뱀이 같이 죽고 중원의 땅에 옥과 돌이 함께 타서 드디어 지표(地表)와 천수(天垂)가 다투어 어진이가 와서 자신들을 소생시켰으면[來蘇] 하는 탄식이 있었으며 상경(上京)과 요복(要服)의 사람들이 서축(抒軸)의 슬픔을 일으켰다.
우리 황제께서 제자(帝子)의 친(親)에 있으시고 천책(天策)의 명(命)에 응하시어서 약려(若勵)의 무거움을 쓰시고 얼음 밟듯 하는 위험을 구하였고 저녁에 삼가는 것을 깊게 하는 것으로써 거꾸로 매달리는 위급함에 나가셨다.
모두 아홉 번 정벌을 행하여서 총 여섯 군사를 거느렸으며 위로는 일기(日旗)와 월기(月旗)로써 임하시고 아래로는 천진(天陣)과 지진(地陣)으로써 펴시니 북소리가 들에 떨쳐서 기운이 하늘 문까지 움직였으며 고각(鼓角) 소리가 산을 울리니 위엄이 땅의 문까지 놀라게 하였다.
이에 유성(流星)을 띠 두르고 멀리 들어갔으며 빠른 번개를 타고 앞장서 나아가니 저들의 군사가 기왓장 무너지듯 얼음 녹듯하며, 바람이 불자 풀이 쓰러지듯 하였다. 개가(凱歌)가 울려 퍼지자 더불어 공을 따지는 이가 없었다.
천황(天皇)으로부터 9기(紀) 이래 52번을 전쟁한 뒤에 무릇 1백25대를 지난 1천3백59세(世) 1천12만 2천1백27년 이래로 도끼[鉞]를 잡아 전쟁에 임하였으며 기를 휘둘러 무리에게 맹세하여서 악한 기운을 몰아 없애고 참창(攙槍:彗星)을 깎아 평정하여서 횡류(橫流)에 빠짐을 건져주고 맹렬하게 타오르는 화를 구제하여서 경계를 통일하고 천하를 널리 깨끗이 하는 데는 우리 임금처럼 군사 쓰는 이가 있지 아니하였다.
고조께서 신을 모으고 성스러움을 길러서 연기와 노을 밖으로 생각을 달리고 까만 것에서 나오고 어두운 데 들어가서 하늘과 사람 밖에 높이 뛰어났다. 더욱이 1만 지방이 어두움에 칩거하고 1백 귀신이 제사를 못함에랴. 이에 영양(穎陽)의 높은 풍도를 굽혀서 온 나라[率土]에 빠져 있는 이를 건짐에랴. 백성들이 재조(再造)의 덕을 입었고 뭇 무리들이 사물을 이루는 은혜를 입었다.
위로는 황옥(黃屋)으로써 마음을 삼지 아니하고, 아래로는 오직 백성들을 생각하였으며, 사문이 되려는 생각을 마음으로 잊지 아니하고, 석방하고 짊어지는 뜻은 새벽에 나타남이 있었다. 체교(禘郊)에 의탁함을 기뻐하고 종우(宗祐)에 주인 있음을 기뻐하며 때로 상고하고 날로 단련하여서 큰 보배를 소양(少陽)에게 전하였다.
감무(鑒撫)에 광응(光膺)함으로부터 태자[春宮]가 되어서 덕은 안과 밖에 크고 어짊은 어두운 곳과 밝은 곳에 미쳤다. 조금 있다가 거듭 광채를 내어서 우주의 사이를 비추어 밝히고 무(武)와 인(仁)을 키워서 바람과 구름의 때를 넘치게 하며 3선(善)을 따라서 1만 나라를 곧게 하였으며, 하늘의 문이 거듭 열리고 보력(寶曆)이 새로워짐에 적현(赤縣)에 임하여 장엄을 크게 맹세하고 백성들을 어루만져서 이익됨을 널리 일으켰으며, 네 가지 평등의 날을 열어서 요(堯)임금의 구름을 두루 비추고 여섯 가지 바라밀의 풍도를 드날려서 순(舜)임금의 비를 흐르게 하니 보배의 배가 잠겼다가 다시 솟고 자비한 구름이 걷혔다가 다시 펴졌다.
그래서 선대(仙臺)는 법원(法苑)과 함께 빛나고 옥거울은 금륜(金輪)과 나란히 구르며 은택은 유정천(有頂天)에까지 두루하고 도는 땅이 끝나 없는 데까지 미쳤다.
신령함은 아름다운 징조에 응하고 조짐은 먼저 나타난 일에 부합하여 너그럽고 어질고 덕스럽고 효도하시니 사관이 뒤에 쓴 것에 갖추어져 있다. 매양 그물을 풀어주는 것으로 마음을 삼고 무사태평(無事太平)의 정치에 생각을 두었으니 뜻하는 바는 감옥을 길이 비우고 봉화(烽火)를 길이 그치게 하여서 꿈틀거리는 뭇 중생들을 한가지로 어질고 장수하는 데 돌아가게 하고 망망한 솔토(率土)에서 진여(眞如)를 함께 받드는 데 있다.
정관(貞觀) 1년 헌조협종(獻肇夾鍾:음력 2월)의 달에 높이 뛰어난 기[幢]를 세우고 소양고세(少陽沽洗:음력 3월)의 때에 지혜의 전(殿)을 훤출하게 열어서 경성에 있는 승니들로 하여금 당사에서 7일 동안 도를 행하게 하고 재와 공양에 필수적인 것은 유사(有司)가 맡아 지급하게 하였다. 그리고 재가 끝나는 날 모두 대흥선사(大興善寺)에 나아갔다.
정관 2년에 조명을 내리기를
‘신도(神道)에서 교를 베푸는 데는 자비와 은혜가 우선되고 현묘한 교화가 가만히 통하는 데는 정육(亭育)이 우선된다. 짐이 큰 보위에 응한 뒤에 백성들을 어루만져 사랑하여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이 일을 부딪칠 때마다 자랐다.
이를 써서 옆으로 은근히 돕기를 구하니 밝은 신령이 바라는 것은 9공(功)이 오직 펴지는 것이요, 5복(福)이 이에 응하는 것이다.
요사이 된서리가 일찍 내려서 가을 열매가 풍년들지 못한다. 고요히 생각하니 복이 적고 엷은 이로서 부끄럽고 조심함을 잊지 아니하노라.
이제 온갖 곡식들이 풍성하고 무성하여서 1만 열매가 장차 맺히려 하는데 오직 두려운 것은 바람과 비가 때를 잃어서 기르는 백성들이 붙일 데가 없을까 하는 것이다.
감히 총명함을 의뢰하여 이 복 많은 이에게 관개하는 것이니 마땅히 넓은 하늘의 억조창생으로서 가호하여 돕기를 우러러 비는 바이다. 가히 경성과 천하에 있는 여러 주의 절과 도관(道觀)의 승니와 도사들로 하여금 7일 낮 7일 밤 동안 경을 굴리고 도를 행하게 하여라. 그리고 해마다 정월과 7월에는 예(例)를 다 이에 준하여라’고 하였다.
현묘한 은덕이 지척에 있는데 성스러운 힘이 은근히 도와주어서 경풍(景風)과 기름진 비가 때를 응하여 절후에 미치고 아름다운 싹과 심은 벼가 들과 언덕에 뻗쳐 넘쳐서 나라에는 9년의 자산이 풍부하고 집집마다 1만 상자로 거두어 풍부하였으니, 이는 황제께서 숙세에 5계를 심고 널리 10선(善)을 의뢰하여서 왕업을 일으키는 패도(覇道)를 열어 백성들의 기쁜 마음에 나감이다.
다만 의로움을 세운 초기에는 때가 세상의 끝을 만났기에 친히 시석(矢石)을 담당하여 여러 번 전쟁을 겪으면서 혹은 동쪽으로 7웅(雄)을 베고 서쪽으로 8수(水)를 맑게 하여서 신병(神兵)을 놓아 큰 돼지를 죽이고 천책(天策)을 타서 긴 뱀을 베었다.
이미 대단한 위엄을 움직였으나 원혼(怨魂)들이 아픔을 맺을까 두려워서 그 해 끝 봄에 몸소 조명을 내려 수나라 말기로부터 의(義)를 창건한 것은 뜻이 빠진 이를 건짐에 있다.
북으로 치고 동으로 치면서 향하는 것을 다 평정하여 죽였으니 누런 도끼의 아래와 황금 활촉의 끝에 무릇 상하고 죽은 것을 이루 다 적을 수가 없어서 손으로 목 베어 죽인 것이 장차 1천 명에 가까웠다.
여래의 성스러운 가르침은 깊이 인자함을 숭상하므로 금계(禁戒)의 과목은 죽이고 해침을 삼간다. 길이 이 이치를 생각하니 더욱 뉘우치고 두려움이 더하였다. 그래서 유사에게 명하여 경성에 있는 여러 절에서 다 재를 베풀고 도를 행하며 7일 낮 7일 밤을 정성을 다해 예배 참회하게 하고 가지고 있는 의복을 모두 보시 희사하여 쓰도록 하였다. 이에 바라는 것은 3악도(惡塗)의 어려움이 이를 인하여 해탈하고 1만 겁(劫)의 괴로움이 이를 바탕으로 하여 크게 건져져서 원한과 장애의 마음을 멸하고 보리의 길에 나가게 하는 것이었다.
정관 3년 봄에 칙명을 내려서 경성에 있는 승니들은 당사에서 매달 27일에 도를 행하고 『인왕경(仁王經)』과 『대운경(大雲經)』 등을 읽게 하여 늘 있는 법식으로 하였다.
또 칙명을 받들어 파파(波頗) 삼장(三藏) 등이 대흥선사에서 『보성경(寶星經)』을 번역할 적에 법림(法琳)이 다음과 같이 서문을 썼다.
“『보성경』의 범본(梵本)은 3천여 개의 게송으로 이루어졌다. 여래께서 처음 깨달음의 도를 증득하시고는 목련(目連)과 사리불(舍利弗) 등을 제도하였으며, 마왕(魔王)을 항복시키고 국토를 보호하여 가지려고 이 경을 말씀하였다.
불교가 동쪽으로 중국에 전해진 뒤에 때와 날을 많이 지나서 3륜(輪)과 8장(藏)의 글과 4수(樹)와 5승(乘)의 뜻이 혹은 신비한 광명을 석실(石室)에서 나타냈고 혹은 범종의 소리가 청대(淸臺)에서 흘러 나왔으니 비록 찾으면서 번역하였으나 오히려 의심나고 빠진 데가 많았다.
우리 당나라 황제께서는 이에 성스럽고 이에 신성하며 문(文)을 하고 무(武)를 하신 이로서 기틀을 타고 운수를 어루만지며 물에 빠진 이를 건지고 불에 탄 것을 구제하여서 상황(上皇)의 풍속을 돌이키고 말하지 않는 교화를 행하였다.
교만함과 법도에 지나침을 떠나 이미 8굉(紘)에 정돈하였으며 일이 없고 하는 것이 없으면서 이에 1만 나라에서 조종(朝宗)으로 삼았다. 한해(瀚海)와 천산(天山)의 땅이 다 제봉(堤封)에 들어왔으며 용정(龍庭)과 봉혈(鳳穴)의 땅이 다 성교(聲敎)에 젖었다. 어진 것은 그물을 풀어주는 것보다 나았고 다스림은 무사태평(無事太平)의 정치를 이었다. 큰 덕이 넓고 크니, 밖으로 팔 측(則)과 가지런하고, 작은 마음이 아름답게 있으니 안으로 4의(儀)가 정돈되었다.
적현(赤縣)을 임하여서 자비가 넘치고 현호(玄扈)에 붙여서 큰 서원을 편다. 매양 모든 법이 있는 것이 아니어서 물건과 내가 함께 공(空)하였기에 참되고 요긴함을 생각하여 보니, 불교보다 나은 것이 없었다.
중천축국(中天竺國)의 삼장법사 파파(波頗)는 중국말로 광지(光智)이다. 맹세코 법의 교화를 전하려하여 어렵고 위험함을 꺼리지 아니하고 멀리 파밀 고원과 유하(流河)를 지나 중국에 오니 온 길이 뻗쳐 있는 것이 4만여 리이다.
정관 1년 경술년(庚戌年)에 경성의 임금 있는 곳에 닿으니 이미 윗자리에 올랐기에 이에 비단 옷으로 돌아갈 것을 힘썼다. 유사에게 조명을 내려 석덕(碩德)으로서 겸하여 3교(敎)를 통달하고 10과(科)에 뽑힌 이 열아홉 명을 찾아 드날리게 했다.
대흥선사에서 파파 삼장법사를 청하여 서로 대면하여 번역하게 하였으니, 사문 혜승(慧乘) 등이 증의(證義)를 하고, 사문 현모(玄謨) 등이 말을 번역하고, 사문 혜명(慧明)과 법림 등이 집필하여서 임금의 뜻을 받들어 은근하게 세밀히 조사하면서 이름을 살피고 의미를 정하여 뜻을 갖추어서 글을 이루었다.
정관 3년 3월에 시작하여 정관 4년 4월에 마치니 무릇 10권 13품이고 종이를 쓴 것이 1백30폭이요, 총 6만 3천8백82언(言)이다.
그해 중동(仲冬)에 승광사(勝光寺)의 주지 승진(僧珍)이 칙명을 받들고 왕궁에 나아가서 불상을 맞이하여 승광사에서 공양하였다.
정관 4년에 헌조(獻肇) 등 여러 절의 대덕 49인이 21일 동안 불상을 완성하여 행도(行道)하였으며 날이 차는 날 1천 스님들의 모임을 가지니 왕공(王公)들이 모두 와서 향을 나누어 주었다.”
법림이 또 황제에게 불상을 수놓아 만든 것에 대해 게송을 올렸다.
“멀리 생각하오니, 8수(樹)가 광채를 감추고, 양하(兩河)가 자취를 감추었으며, 바사닉왕(波斯匿王)이 멀리 우러러서 납(蠟)을 부어 전신을 만들었고, 가니색가왕(迦膩色伽王)이 정성을 바쳐서 금을 부어 진상(眞相)을 그렸으며, 청정(靑精)이 남쪽으로 도하고, 백마사(白馬寺)에서 동쪽으로 번역한 뒤에 미쳐서, 불교가 울연히 일어나고, 신령스러운 거둥이 두루 솟았으며, 이에 신기한 자세를 엄숙히 하여 송정(松井)에 오르고 성스러운 몸을 굽혀서 밝은 구슬을 희사하였다.
빛이 장교(張橋)에서 아름답게 빛나고 색이 호독(滬瀆)으로 흘렀으며 몸에 차는 해를 한(漢)나라 임금에게 보이고, 두루는 털을 진(晋)나라 임금에게 주어 감동하게 하였다. 혹은 걸음을 돌아보며 1만 산을 건너고, 잠시 머뭇거리면서 몽저(夢渚)에 노니니, 길조와 아름다운 상서로움은 조짐이 유래가 있습니다.
그러나 수를 놓아 진상을 그리고, 공(空)을 원하여 진상을 모범함이 없었더니, 우리 당나라 황제께서 일찍이 사홍서원(四弘誓願)을 심고, 일찍이 다섯 가지의 덕을 의뢰하시어서 신기한 공이 헌원씨와 소호씨보다 뛰어나시고, 지극한 다스림은 성왕(成王)와 강왕(康王)보다 아름다워서 어지신 공훈이 위로 현묘하여 힘이 큰 도와 짝하고, 경사로운 구름이 광채를 드리웠습니다.
황금 거울이 7요(曜)의 빛남을 머금고 상서로운 새가 상서를 드리우며, 옥 촛불이 4시(時)의 기운을 고루 하였으며, 머리카락을 자르고 문신(文身)을 새긴 우두머리들이 임금의 뜰에 와서 함께 명령을 청하고, 천흉(穿胸)과 담이(儋耳)의 추장들이 함께 위궐(魏闕)에 구슬을 올렸습니다. 더구나 팔정도(八正道)에 마음을 두고, 5승(乘)에 뜻을 돈독히 하여서 단나(檀那)를 널리 운반하여 정업(淨業)을 힘써 닦음이겠습니까? 부처님[善逝]을 길이 생각하니, 명막(冥漠)함을 어찌 따르리까?
이에 상궁(上宮)에 신칙하여 유경(遺景)을 사모하여서 석가모니불을 수놓은 상(像) 한 정(幀)과 아울러 보살상과 성승의 상과 금강상과 사자상을 받들어 조성하여 선조(仙藻)를 모두 펴고 온갖 신통 변화를 다하오니 여섯 문체가 잡답(雜沓)하고, 다섯 색채가 서로 폅니다. 만월(滿月)의 모양을 두 바늘로 서사하고, 긴 버들을 흰 손에 부탁하였으니, 곱기는 촉나라 비단보다 더하고, 화려하기는 연나라 비단보다 더합니다. 분륜(紛綸)하기론 7영(映)의 빛을 머금었고, 포확(布護)하기로는 9화(華)의 빛을 벌린 듯합니다.
해 바퀴가 불꽃을 토하니 주객(周客)의 실에 아롱지고, 연꽃 눈이 빛남에 얽히니 진나라 계집의 비단을 발하는구나. 양후(楊侯) 1백 리의 구슬도 이 백 가지 복(福)에는 부끄럽고, 자우(子羽) 1천 금의 구슬도 저 천륜(千輪)에는 부끄럽습니다. 꽃 일산이 눈부시게 아름다우니 보기에 솟아났는가 의심스럽고 구름 옷이 이리저리 움직이니 날아오는 듯 옵니다. 어찌 다만 생각이 회장(迴腸)에 극하리오. 또한 교묘함이 현묘함을 다하는구나.
이제 경인년(庚寅年) 태족(太簇:음력 5월)의 달에 3원(元)이 절후를 여는 때요, 4시(始)가 바뀌는 때에 이에 조서(詔書)를 승광사(勝光寺)에 내리시어 재를 베풀어 불상을 완성하게 하니, 49명의 승려가 삼칠일동안 행도(行道)하여 진(秦)나라의 붉은 조는 향적(香積)세계의 공양을 갖추었고, 주(周)나라 목왕(穆王)의 금고(金膏)는 범왕천(梵王天)의 공양을 베풀었습니다.
네 가지 평등한 복전은 생(生)마다 구족하였고, 여섯 가지 인의 착한 과보는 세(世)마다 장엄하였소. 겁(劫)의 돌이 부서져도 보력(寶曆)은 영원히 있고, 겨자씨의 성은 비어도 황제의 터는 영원히 견고하오. 경사스럽고 즐거움을 이기지 못하여 문득 이에 게송을 씁니다.”
아름다우신 상제(上帝)께서
우리 임금에게 책명하시니,
이에 신성하시고,
무(武)와 문(文)을 갖추어서
나아가기 해와 같고,
바라보기 구름과 같소.
상서로운 부신(符信)은 찬란하게 빛나고
아름다운 기운은 합하였소.
천하를 밝게 다스리어
아름다운 윤리를 펴시고,
도를 체로 하여 회향하시어서
복전을 세우셨소.
바늘은 붉은 과일을 마름하시고,
실은 푸른 연꽃으로 제정하시며,
무늬는 화려함을 머금었고,
채색은 안개를 빼앗았소.
꽃은 멀리 피었는가 의심스럽고,
일산은 허공에 달린 듯하오.
방저(方諸)가 땅에서 솟아
저 하늘에 오른 듯하오.
해는 제격(提格)이요
때는 청양(靑陽)인데
아름다운 명령을 받들어
이에 도량을 높입니다.
10과(科)의 스님들이 별같이 모이고,
8좌(座)가 안개처럼 펼쳤소.
바람은 범종을 울려 돌아오고,
전(殿)에는 명향(名香)을 태우고,
큰 터전에 성하신 왕업이
길이길이 무강(無彊)하소서.
주상께서 매양 청람(聽覽)하시는 여가에 예림(藝林)에서 노니시어서 공자의 벽(壁)에서 나온 책을 토론하시고 석경(石經)의 교훈을 헤치시며, 백왕(百王)의 지난 일들을 모범으로 삼아 3교(敎)의 지귀(指歸)를 상고하셨다. 그래서 이르기를 ‘말이 공하고 공한 데 관계되지 아니하면 일이 마침내 있고 있는 데 빠지게 된다’고 하였다.
자세히 살펴보니, 성품이 신령스러워서 참되고 요긴하여 가히 마음을 가지고 세속을 건질 것은 불교보다 더한 것이 없다 하여 법약(法藥)을 생각하고 그를 유통시킬 것에 뜻을 두었다.
이에 중천축 나라에 삼장(三藏)법사가 있었으니 본래 왕족으로서 종성은 찰제리(刹帝利)이고 이름은 바라파가라밀다라(波羅頗迦羅蜜多羅)이며, 중국말로는 작명지식(作明知識)이다. 그는 멀리서 당나라가 대승을 크게 천양(闡揚)한다 함을 듣고서 파밀 고원과 유하(流河)를 건너와 성세(聖世)에 노닐다가 정관 1년 대려(大呂)의 달에 몸소 범본(梵本)을 싸가지고 상경에 도달하였다.
옛날 고종(高宗)의 다스림이 일어날 적에 부암(傅巖)이 꿈에 들어왔는데 이제 우리 황제의 도가 성함에 덕성(德星)이 들에 나타나는구나.
파파 삼장법사는 학식과 도량이 통달 민첩하고 기품이 깊고 깊었다. 5백 아라한이 결집(結集)한 글과 8만 수다라(修多羅)의 이치는 축법란(竺法蘭)이 한나라에 오고 강승회(康僧會)가 오(吳)나라에서 노닐면서부터 번역한 것이 중복될 정도로 많지만 아직 깨치지 못한 것이 있었는데, 파파 삼장법사가 그의 유래를 모두 자세히 하고 같고 다름을 연구하였다. 가령 불교 경전에서 토론한 것들을 외부의 사람들은 다르게 파악하였는데 법사는 가슴 속에 삼킨 듯하고 말은 손바닥을 가리키는 듯 분명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심지어 임금의 뜻을 받들어 의논하는 자리에서 엄숙하게 뜻을 풀어주었다. 그래서 특별히 임금의 기뻐하심을 입으셨다.
그해 첫 봄에 조명을 내려 파파 삼장 등에게 승광사에 나가서 『반야등론(般若燈論)』과 『대장엄론(大莊嚴論)』의 두 논을 번역하게 하니, 상주국 상서좌복야 형국공(上柱國 尙書左僕射 邢國公) 방현령(房玄齡)과 산기상시 좌서자 첨사(散騎常侍 左庶子 詹事) 두정륜(杜正倫) 등이 칙명을 받들어 석덕(碩德) 19인을 전형하여 정하였으며, 우광록대부 태부경 난릉남(右光祿大夫 太府卿 蘭陵男) 소경(蕭璟)이 칙사(勅使)가 되어 검교(檢校)하였으며, 백사(百司)가 4사(事)를 공급함이 풍부하였다.
법림도 집필(執筆)에 참여하였기에 이에 다음과 같이 서문을 썼다.
“『반야등론』의 범본(梵本)은 6천여의 게송이 있다. 마가타(摩伽陀) 나라의 왕족으로서 대사(大士)인 파비설가(婆毘薛迦)보살은 중국말로 분별명(分別明)이라 하니 그 사람이 지은 것이다.
처음에 만물은 있는 것도 아니고 한 마음은 환(幻)과 같았다. 마음이 환과 같기에 비록 동(動)하지만 항상 고요하고, 물건은 있는 것이 아니기에 비록 일어나지만 무생(無生)이다. 이 때문에 성인들이 환과 같은 마음을 말하고, 존재하지 않는 물건들을 보았으니, 물건이 물건 아님을 깨달으면 물건마다 성품이 공하고, 마음이 마음 없음을 깨달으면 마음마다 체가 고요한 것이다. 달관한 사람들은 돌아갈 곳을 터득하여 그 속세에 의탁함조차 잊게 된다.
이에 분별과 희론(戱論)이 없앰을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제거되며, 얻을 것이 없는 관의 문[觀門]은 닦음을 빌리지 아니하고도 이미 들어갔다. 넓고 넓어서 있지 아니하고 떠나지도 아니하며 머묾이 없고 의지할 것이 없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멸도(滅度)하신 지 7백여 년 사이에 출가한 보살이 있으니 그의 이름이 용수(龍樹)이다. 참모양을 깊이 통달하여 무생인(無生忍)을 얻었으며, 부처님의 은혜를 갚기 위하여 『중론(中論)』을 열어 연설하였다. 『부법장전(付法藏傳)』에는 ‘그 사람이 상법(像法)에서 바른 법의 횃불을 태워서 삿된 견해의 깃대를 꺾었다’ 하였고, 『외국전(外國傳)』에는 ‘지혜의 해가 이미 무너졌던 것을 이 사람이 이제 다시 밝혔으며, 세상이 혼침하기 이미 오래였던 것을 이 사람이 깨우쳐 깨어나게 하였다’고 하였다.
『중론』은 무릇 다섯 사람이 주석하였는데 분별명(分別明)보살이 그 중 한 사람이다. 이 보살은 견문(見聞)을 갖추고 지혜가 깊고 뜻이 굳었다. 근본 원력으로 여러 중생들을 버리지 않고 수라(修羅)의 궁에 가서 미륵보살을 친견하고 부촉을 받았다.
성인이 가신 지 때가 오래 되어 여러 의론들이 분분하여서 설산(雪山)에서 약초를 캔다는 것이 독한 풀을 많이 거두고, 깊은 물에서 구슬을 구한다는 것이 다투어 기와와 자갈을 가지니, 진실로 두려운 것은 한 이치를 다하지 못하여 삿된 견해만 도리어 더하고, 한 말을 다하지 못하여 이단(異端)만 되려 일으킬까 하여서 이에 용수보살의 게문(偈文)을 이어 지어서 이 『반야등론』을 지었다.
그의 논문은 안과 밖의 삿된 주장을 쳐부수고 진(眞)과 속(俗)의 이치를 찬양하여서 무생의 이치를 궁구하고 참모양의 근원을 연구하여서 비추어 고요하지 아니함이 없었으니, 이에 반야(般若)라는 이름을 붙였고 집착을 깨뜨리지 아니함이 없기에 밝은 등불로 비유한 것이다. 이는 대개 방광(方廣:대승경전의 통칭)의 중심이요, 여러 부처가 행한 곳이다. 슬프다. 뒤에 배우는 자들로 하여금 문득 백 성(城)에서 노님을 쉬고 길이 5실(失)의 잘못이 없게 하려는 것이다.
이 논은 무릇 27품이요 권수가 15권이다. 만일 안의 사람으로서 뜻을 세웠으면 전부 인명을 기록하였고 이름이 없는 자는 나열하여 자기의 부[自部]라 일컬었고, 만일 외부 사람으로서 뜻을 세웠으면 또한 인명을 기록하였고 이름이 없는 자는 나열하여 외부의 사람이라고 하였다.
「박해품(縛解品)」 이전은 혜이(慧頤)가 집필하였고, 「관업품(觀業品)」 이후는 법림이 집필하였다. 이것을 정관 4년 여름에 시작하여 정관 6년 겨울에 끝마쳤다.
감정(勘定)을 이미 두루하고 베껴 쓰기를 마쳤기에 유사가 이를 자세히 읽고 이에 임금께 아뢰니, 유사에게 칙령을 내려 각기 10부씩 베껴 써 여러 절에 나누어 주어 널리 함께 유통하게 하였다.
이미 전륜성왕을 이어서 10선(善)으로 세상을 교화하니 나라 안의 여러 시장에서 다 도살(屠殺)의 행동을 중지하였으며 민간에 널리 금지하여 재살(宰殺)을 허락하지 않았다. 양자강 남쪽의 땅에는 나무 우리[塞]를 세워 물고기를 취하였고 30여 주(洲) 곳곳마다 모두 그렇게 하여 반드시 둑을 깨뜨린 뒤에 물고기를 취하였으니, 취한 것은 등림(鄧林)의 한 가지에 비기겠고 그릇되게 죽는 것은 항하(恒河)의 모래처럼 많은 수였기에 또 자비로운 칙명을 내려 모두 폐지하여 없애게 하였다.
또 그 해에 풍년들고 시절이 화하여서 바다 안이 풍년들었기에 승니 3천여 인을 제도하여 여러 주에 분산시켜 배치하였다. 이미 덕이 상현(上玄)을 움직이고 감동이 지극한 성현에 통하여서 7난(難)을 함께 없애고 7복(福)을 모두 이루니, 은덕이 9은(垠)의 밖까지 젖고 위엄이 8극(極)의 밖까지 더하였다.
그해 첫 겨울에 흉노(匈奴)의 임금 힐리(頡利) 등이 그의 신하와 자식을 거느리고 그의 부락(部落)을 이끌어서 이고 지고 다투어 와서 앞뒤로 발꿈치를 이어서 대궐의 뜰을 바라보며 나라를 기울여서 이르러 천문(天門)을 뵈옵고 명령을 기다리며 오랑캐의 관저(官邸)에 나아가 밥을 먹었다. 위청(衛靑)과 곽거병(霍去病)의 군사를 수고롭게 하지 않고도 스스로 소혈(巢穴)을 다 받쳤으니, 어찌 헌원(軒轅)씨의 무리를 빌려서 자리 말듯 도망쳐 왔겠는가? 한수(漢水)의 남쪽에는 오랑캐의 근심이 없고, 변방의 북쪽에는 오랑캐의 도적이 없어져서 마안(馬岸)과 용퇴(龍堆)의 구역이 이미 중국의 풍속에 물들었고, 교하(交河)와 청해(淸海)의 물가가 다 임금의 땅이 되었으니 편안하고 편안하다. 이 날을 함께 기뻐하며 함이 없고 일이 없어서 지금의 때를 함께 경하한다. 천하를 통솔하고 지극을 세운 공이 전고(前古)에 홀로 높았으며, 부처님을 받들고 착함을 숭상하는 업이 지나간 어진 이들보다 뛰어났다.
주상께서는 일찍이 전장을 겪으면서 칼로 서로 항거하였으며 등극(登極)에 이르러서 뜻이 충정(衷情)에 더욱 깊었다. 그래서 조명을 내리기를 ‘무릇 전진(戰陣)이 있던 장소에는 다 절을 세우고 유사가 공급하여서 힘써 주선하여 갖추게 하라’고 하여 우내(宇內)에 무릇 열 개의 사찰을 두니 엄숙하고 정돈되어 볼 만하였다.
또한 예전에 더위를 피하여 몸소 남산에 행차하여서 이 신령스러운 거처를 점쳤고 큰 장관을 열었다. 그 땅은 진천(秦川)의 아득함을 띠었고 농수(隴岫)의 푸르고 푸름을 접하였으며, 동쪽으로는 낙조(落照)의 물결을 볼 수 있고 서쪽으로는 달이 걸려 있는 포구에 임하여 있으며, 봉황이 깃든 듯 기이함을 다한 돌이 올망졸망 하늘에 치솟았고, 용이 서린 듯 괴이한 낭떠러지가 활 모양으로 은하수를 찔렀다. 그러니 어찌 홀로 바위의 소나무가 해를 가릴 뿐이겠는가? 또한 시내의 대나무가 구름에 치솟은 듯하여 참으로 4호(皓)가 덕을 기르던 장소요, 대개 3진(秦)이 견고함을 짓던 곳이다. 태무(太武) 황제를 위하여 절을 만들었더니 이미 이로움을 입었기에 인하여 용전사(龍田寺)라 하였다.
또한 태무 황제와 주상을 위하여 협저(夾紵)의 등신불상 여섯 구를 조성하여 길이 진정시키면서 공양하게 하고 대중의 필요한 물건은 유사가 공급하게 하였다. 그러니 땅을 사는 수고로움이 없으며 황금을 까는 것을 기다리지 아니하였다. 바람을 거스르는 화한 기운의 향기가 동산에 가득 찼으며 길상하여 부드럽고 매끄러운 풀이 풍성하게 섬돌에 드리웠다.
또한 목(穆) 태후를 위하여 경선궁(慶善宮)에 자덕사(慈德寺)를 지으니, 견숙가(甄叔迦)의 보배와 염부단(閻浮檀)의 금으로 가지가지로 장엄하여 낱낱이 화려하였다. 비록 지은 것이 드묾을 알지마는 오히려 망극한 은덕을 펴지 못하였다고 말하겠다.
정관 6년 중간 여름에 대성(臺城) 서쪽 진안방(眞安坊) 안에 목 태후를 위하여 또 홍복사(弘福寺)를 지었다. 이곳의 형세가 뛰어남을 상고하여 보니, 시장과 조정이 옷깃처럼 이어져 있던 곳인데 이에 금을 세공하는 사람에게 명하여 터를 열고 만들고 은방(銀房)을 옮기니, 곧 이것이 금원(金園)이다.
법려(法侶)들이 어깨를 부비고 조정의 귀한 분들이 머리를 맞대었다. 그 땅은 담이 높고 성곽을 짊어졌으며 백 치(雉)를 벌려 세워 얽혀 있고 겹겹으로 된 성이 모퉁이를 마주 보고 있고 아홉 겹으로 높이 솟아 늘어서 있다.
이에 널리 절을 짓고 모든 건물을 갖추었으며 별을 보고 측량하는 형승(衡繩)을 두니 옥석(玉舃)이 빛남을 드리우고 금으로 된 문고리가 광채를 드날린다. 긴 행랑은 머물기에 알맞고 뒤집은 듯한 건물은 밤을 막으며, 뜬 기둥과 수놓은 들보는 위로 구름 기운을 도모하고, 나는 난간과 아로새긴 난간은 아래로 무지개 홍예(虹蜺)를 띠었다.
영탑(影塔)은 엄연히 서로 바라보고 있고, 경대(經臺)는 성대하게 나란히 뻗쳐 있다. 단청(丹靑)은 아름다움을 다하였으며 무늬와 채색의 기이함을 다하였으니, 미묘하기는 하늘의 신선인 듯하고 생각은 귀신인 듯하다.
금 소반에 이슬을 받드니 옥수(玉樹)의 단샘에 비기겠으며, 보탁(寶鐸)이 바람에 어울리니 구슬 숲의 극락세계를 모양하였다. 성근 종소리는 밤에 사무치고 맑은 범종은 아침에 드날리며 운(韻)은 어산(魚山)에 합하고 소리는 용목(龍木)에 부합한다. 신령하고 이상한 데 의탁하겠고 선정과 지혜가 의지하고 기댈 데요 뜻을 다하고 마음을 쉴 것이 여기에 있다 하겠다.”
위나라 대승상 발해왕
신비한 기운이 정밀하고 신령스럽고 타고난 바탕이 빼어나고 특이하였다. 덕은 문과 무를 갖추었고 재주는 예와 악(樂)을 겸하였으니 사직(社稷)을 담당할 만한 그릇이요 조정의 주추가 될 만한 재주여서 참으로 왕을 보좌할 만한 풍도가 있었으며 다 난을 진정시킬 것을 부탁할 만하다고 일컬었다.
마음을 돌려 도에 복종하도록 하는 데 이르러서는 홀로 이름난 무리보다 뛰어나서 코끼리와 말을 아끼지 아니하고 구슬과 옥을 아끼지 아니하며 정국사(定國寺)에 보탑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