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 산이면 어떠하리 가까운 산이면 어떠하리,
눈내린 순백의 웅장한 풍경을 바라보자면 세상의 시름도
잊혀질 듯하다. 본격적인 추위가 찿아오면서 겨울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려는 등산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는다 하지만 겨울 산은 갑작스럽게
날씨가 변하는 경우가 많아 철저한 준비가 동반 되지 않으면 감기에 걸리거나
동상을 입을 수 있어 특히 주의 해야 한다 등산복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간단한 착용방법만 익히면 누구나 안전한 겨울 산행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 얇은 옷 겹쳐 입는 것이 노하우 두꺼운 옷을 한 두벌 입는 것보다 얇은 옷을 여러벌 겹쳐 입는 것이 보온에 유리하다는 것은 기본 상식이다.등산복도 다르지 않다. 겨울 등산에서는 땀을 흘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 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산을 오르기 시자하면 땀이 흐르는데 그 때마다 겹쳐 입은 옷을 하나씩 벗어서 체온을 조절하자. 얇은 등산 내복을 입고 기모 있는 티셔츠를 걸쳐 입는다.그 위에 기호에 따라 조끼를 걸치거나 플리스.얇은 다운자켓을 입고 더울 때마다 옷을 하나씩 벗어 체온을 조절하는 정석이다.
■ 면 의류는 절대 금물, 땀에 젖으면 방법 없어 아무리 기능성 의류를 챙겨 입어도 속옷이 일반 면 속옷이라면 체온 저하를 피할수 피할 수 없다. 등산은 계속 움직이는 활동이므로 체온이 올라가고 땀이 나기 마련인데 면 소재의 경우 흡수한 땀이 빨리 발산되지 않아 피부를 축축하게 하고 체온은 점점 떨어지게 된다 과거에는 청바지 차림으로 등산하는 것이 멋처럼 느껴질 때도 있었지만 절대 피해야 하는 차림이다
■ 방수자켓, 잘 입어야 제 기능 살릴수 있어 방수자켓은 대표적인 등산용 의류다. 수분의 침투는 차단하고, 몸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땀은 발산한ㄴ 고기능 필름이 부착되어 비, 눈, 바람에 강해 사계절용 필수 등산복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방수자켓은 방수, 방풍 기능에 초점이맞춰 개발된 제품이니 만큼 몸에서 과한 열기가 발생할 경우 자켓 안쪽으로 땀이 찰 수 있으니 평소에는 배낭 안에 휴대하고 비나 눈이 내리거나 강하게 바람이 불때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 모자,장갑 등 액세서리에 신경 써야 머리는 신체에서 열 발산이 가장 활발한 부위로 기온이 낮고 바람이 강할때 모자를 착용하지 않으면 옷을 아무리 따뜻하게 입어도 추위를 느끼게 된다. 겨울용 모자는 귀만 가리는 형태, 양 볼과 턱까지 가려주는 형태도 있으며 모자만으로 부족할 때는 복면 형태의 바라크라바를 사용하면 좋다 손은 심장에서 멀리 떨어진 신체 말단 부위로 혈액 순환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추위를 쉽게 느낀다. 장갑도 옷처럼 두꺼운 하나보다는 여러 겹을 사용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얇은 이너 장갑을 착용하고 위에 플리스나 솜장갑을 사용하면 수분 침투를 방지할수 있다 이밖에 시중에서 판매하는 손난로를 활용하는 것 도 좋은 방법으로 주머니 속에 넣어두면 오랫동안 온기가 지속된다.최근에는 양말 위에 부착하는 스티커형 핫팩도 출시되어 발시름을 호소하는 분들이라면 사용해 볼만하다
|
첫댓글 요즘 불황이라 우리 낭군님이 정신적으로 시간을 못내내요 ! 그래도 나라도 산행공부 해야지 ~~~~~~~~잘읽고 나중에 실행하겠습니다 ~~~~~~~옛~~설 !
잘보고 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