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기업진단지도 67.
67. 휴먼에러(human err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리전(J. Reason)의 휴먼에러 분류는 행위의 결과만을 보고 분류하므로 에러 분류가 비교적 쉽고 빠른 장점이 있다.
② 지식기반 착오(knowledge based mistake)는 무의식적 행동 관례 및 저장된 행동 양상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다.
③ 라스무센(J. Rasmussen)은 인간의 불완전한 행동을 의도적인 경우와 비의도적인 경우로 구분하여 에러 유형을 분류하였다.
④ 누락오류, 작위오류, 시간오류, 순서오류는 원인적 분류에 해당하는 휴먼에러이다.
❺ 스웨인(A. Swain)은 휴먼에러를 작업 완수에 필요한 행동과 불필요한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에러로 나누었다.
[2015] 기업진단지도 67.
67. 행위적 관점에서 분류한 휴먼에러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은?
❶ 순서 오류(sequence error)
② 피드백 오류(feedback error)
③ 입력 오류(input error)
④ 의사결정 오류(decision making error)
⑤ 출력 오류(output error)
리즌(J. Reason)의 휴먼에러(원인차원에서 분류)
리즌은 불안전 행동(Unsafe act)을 의도의 유무와 원인을 토대로 네 가지로분류하고 있다. 의도하지 않은(계획대로 되지 않은) 불안전 행동으로 행위착오(Slip)와 망각(Lapse)을 그 예로 들고, 의도한(계획과 부합하는) 불안전 행동으로 착각(Mistake)과 위반(Violation)을 그 예로 들고 있다. 그는 이 불안전 행동 중 행위착오와 망각, 착각만을 에러로 분류하고, 위반은 에러로 보지 않으면서 에러와 구별하고 있다<그림 1>. 즉, 리즌의 분류방식에 의하면, 위반은 불안전 행동에는 해당하지만 휴먼에러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지식기반 착오
관련지식의 부족으로 인한발생하는 착오 낮은 수준의 수행경험과 높은 수
준의 주의 과제 요구에 기인하요 일어하는 부정확한 수행이다.
라스무센(J. Rasmussen)
라스무센는 휴먼에러를 숙련기반에러, 규칙기반에 러, 지식기반에러로 분류하였다.
스웨인(A. Swain)은 휴먼에러
미국의 심리학자인 스웨인(Alan D. Swain)은 원자력발전소의 휴먼에러 유형을조사하는 과정에서 휴먼에러를 인간 행동(Behaviour)의 관점에서 분류하는 방법을 주장 하였다. 그는 먼저 휴먼에러를 작업 수행에 필요한 행동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와 작업 수행에 불필요한 행동을 한 경우의 에러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전자의 에러를 생략 에러(Ommission error)와 수행 에러(Commission error)로 구분하고, 수행 에러를 다시 시간 에러(Time error), 선택 에러(Selection error), 순서 에러(Sequential error), 양적 에러(Quantitative error)로 좀 더 상세하게 나누었다
① 생략 에러(Ommission error) : 작업의 전체 또는 일부 절차(Step)를 수행하지 않았다(누락하였다).
② 시간 에러(Time error) : 작업을 너무 빠르거나 늦게 수행하였다.
③ 선택 에러(Selection error) : 잘못된 방법을 선택하거나 잘못된 지휘 또는 안내를 하였다.
④ 순서 에러(Sequential error) : 작업을 수행하는 순서(행동)가 틀렸다.
⑤ 양적 에러(Qualitative error) : 너무 적거나 많은 작업을 수행하였다.
⑥ 불필요 수행 에러(Extraneous error) : 작업과 관계없는 행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