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둔스 스코투스(Jean Duns Scot, deu. Johannes Duns Scotus, 1265경-1308)[마흔셋]
1265 둔스 스코투스(Jean Duns Scot, deu. Johannes Duns Scotus, 1265경-1308)[마흔셋], 섬세 박사(« Docteur subtil (Doctor subtilis)») 스코틀랜드 신학자, 철학자. 스코틀랜드 스콜라 학파 창시자. Reportatio Parisiensis (Conférences parisiennes)
1280[열다섯] 프란체스코 수도회에 들어갔다.
1291[스물여섯] 3월 17일 신부 서품을 받았다. 옥스퍼드 대학에서 공부했다.
1291-1293, 옥스퍼드 대학에서 윌리엄 오브 웨어(William of Ware, s.d.; Guillaume de Ware)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했다.
이 시기 그는 여러 전기에서 말하는 파리에서 공부한 것이 아니라, 옥스퍼드 대학의 페이버샘(Simon de Faversham, 1260경-1306)의 주석서들로부터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배웠다.
1290-1300[서른다섯] 이 10년 사이에 논리학 저술들을 작성했다.
1300-1301[서른여섯] 옥스퍼드에서 석사학위자 또는 박사심사준비자(Bachelier sententiaire)
1302[서른일곱], 스코투스는 신의 찬양에 관한 논의되었던 문제에 참여 했다.
그의 스승은 프란체스코파의 곤잘브(Gonzalve d'Espagne 1255경-1313)였다.
반대편의 스승은 도미니크파의 에크라하르트(Eckhart, 1260-1328)였다.
이 논쟁은 미래의 의지주의자와 주지주의자의 대결이었다.
1303[서른여덟] 6월 필립 왕(Philippe le Bel)은 교화 보니파스 8세에 대항하는 공의회 청원을 거절하다. 옥스퍼드로 돌아왔다.
[1303 8월 15일 교황 보니파스 8세(1235-1303, 10월)의 회칙은 파리대학이 신학 시민법 교회법을 학위를 수여하는 것을 금지했다.]
[1303 10월 교황 브느와 11세(Nicolas Boccasini, Benoît XI, 1240-1304), 194대 교황, 도미니크파의 둘째 교황(1303-1304, 7월).
1304 교황 브느와 11세가 대학 조치들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프란체스코파의 당회장인 곤잘브 덕분에 다시 파리로 오다.
1305[마흔], 박사가 되었다.
1306-1307, 교수(maître régent), 즉 프란체스코파의 연구소 소장(directeur des études du studium franciscain, maison de formation rattachée à l'université)이 되었다.
그리고 파리를 떠나 쾰른에 갔다. 쾰른에서 프란체스코파의 뿌리내리기 위해 연구과정 강의를 열었다.
1308 미완성 작품 l'Ordinatio(평결들에 대한 셋째 주석본, troisième commentaire des Sentences.)을 남겼다.
*
그의 무덤은 프란체스코파의 교회에서 항상 볼 수 있다. 이탈리아 중부의 놀라 교구(Le diocèse de Nole (en latin : Diœcesis Nolana ; en italien : Diocesi di Nola)에 있다.
1993년 성인품에 올랐다.
#
*
1225 곤잘브(Gonzalve d'Espagne 1255경-1313), ou Gonzalve de Balboa ou Gonzalve de Valbonne (en latin Gonsalvus Hispanus ou Gondisalvus de Vallebona1), 철학자, 프란체스코파 신학자. .
1260 페이버샘(Simon de Faversham, 1260경-1306), 영국 스콜라 철학자, 1304년부터 세상을 뜰 때까지 옥스퍼드 대학의 사무총장(chancelier)을 지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주를 달았는데, 그중에서도 논리학이 특출하다.
1260 에크라하르트(Eckhart von Hochheim, dit Maître Eckhart, 1260-1328) 독일 신학자, 철학자, 독일 라인강파 신비주의자.
1260 비탈 뒤 푸르(Vital du Four, lat. Vitalis de Furno, Joannes Vitalis, Vital du Fourca, 1260-1327), 프란체스코파 추기경, 스콜라 철학자. Speculum morale, Pro conservanda sanitateune(의학, 약학)
1285 오캄(Guillaume d'Ockham ou Guillaume d'Occam, ang. William of Ockham, lat. Gulielmus Occamus, 1285경-1347), 프란체스코파, 영국 철학자, 논리학자, 신학자. « Docteur invincible » et « Vénérable initiateur » (Venerabilis inceptor), Quodlibets(Quodlibeta septem, 1324-1325)
1285 필립 4세(Philippe IV, Philippe le Bel, 1268-1314), 프랑스 왕(1285–1314), 1303 프랑스 성직자들을 모아 파리 노트르담 공의회를 개최: 보니파스 8세에 반대하는 청원에 서명하지 않는 외국인을 3일 내로 떠나라. [필립4세, 교권에 대한 왕권의 상위 점유]
1294 보니파시오/보니파스 8세(Bonifacius VIII, Benedetto Caetani, fr. Boniface VIII, 1235-1303) 제193대 교황(재위: 1294-1303)이다.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와 프랑스의 필리프 4세는 봉토 분쟁과 상권 다툼으로 전쟁을 하게 되었는데 전비를 부담하기 위하여 성직자들에게도 지나치게 과세 부담을 시켰다. 제4차 라테란 공의회(1215)에 의하면 교황의 동의 없이는 성직자들에게 과세 부담을 할 수 없었다. 1300년 안식년(安息年, the year of Jubilee)제도 마련.
1300 뷔리당(Jean Buridan, Johannes Buridanus, 1300경–1358경) 프랑스 스콜라 철학자. 뷔리당의 당나귀 파라독스로 알려졌다. 프란체스코 수도사는 아니지만 오캄에게 배웠다.
1300 쟝 드 미르꾸르(Jean de Mirecourt, alias Monachus Albus, orig. Mirecourt en Lorraine, 1300-1349), 시토파 철학자. 기욤 오캄의 제자. 교황 클레멘스6세(Clément VI)의 검열 받음.
1300 오트레꾸르(Nicolas d'Autrécourt, 1300경-1350) 유명론 철학자. 파리에서 공부했고, 교황 클레멘스 6세에 의해 저술은 이단으로 불태워졌다.
1303 10월 브느와 11세(Nicolas Boccasini, Benoît XI, 1240-1304), 194대 교황, 도미니크파의 둘째 교황(1303-1304).
1320 알베르 삭스(Albert de Saxe, Albertus de Saxonia, 1320경–1390) 독일 철학자, 쟝 뷔리당의 제자. 파리 대학 학장, 수학자. 논리학과 물리학에 관심을 가진 할베르슈타트(Halberstadt)의 주교(1366-1390). Perutilis Logica Magistri Alberti de Saxonia, 1522
1325 쟝 드 리빠(Giovanni da Ripa, fr. Jean de Ripa, 1325경-?) 14세기 활동, 이탈리아 프란체스코파 철학자, 신학자. 그의 저술이 쟝 제르송에 의해 비판 받았다. 리빠의 제자로는 루이 드 파도바(Louis de Padoue, ?-?)가 있는데, 내용을 찾을 수 없다.
1420 가브리엘 비엘(Gabriel Biel, 1420/1425-1495) 독일 철학자, 신학자. 공동체(“Frères et sœurs de la vie commune”) 활동.
1588 와딩(Luke Wadding 1588–1657), 아일랜드 프란체스코 수도사, 역사가. 와딩의 스코투스의 판본은(1639, fol.), 12권이었다. / 그런데 웨딩-비베스(Wadding-Vivès) 판본은 비베스(1492-1540)의 판본을 보태어 파리에서 1891-1895에 걸쳐, 26권을 냈다.
1861 민개스(Parthenius Minges 1861-1926) 독일 태생(Jückelberg) 프란체스코파, 카톨릭 신학자. 신부. Geschichte d. Franziskaner in Bayern, 1896), Joannis Duns Scoti doctrina philosophica et theologica, 1930.
1880 크로스비(Henry Lamar Crosby, 1880–1954), 미국 고전문헌학자. 펜실베니아 대학 학장 지냄.
1884 질송(Étienne Gilson, 1884-1978) 프랑스 철학자, 역사학자. Études de philosophie médiévale, 1921 .Hommage à Bergson, 1967.
1890 에프렘 롱프레(Ephrem Longpré, 1890-1965), 프랑스계 부모, 프란체스코, 카나다 철학자. 신학자. La Philosophie du bienheureux Duns Scot, 1924.
1892 코이레 (Alexandre Koyré, Alexandre Vladimirovitch Koïra, 1892-1964) 러시아 유대계, 프랑스 철학자, 과학사가.
1896 해리스(Charles Reginald Schiller Harris, 1896-1979). 기자. 공무원(civil servant), 편집인(경제지 Economist 1932-5). - 스코투스를 2권 쓴 동일인물인가? - 동명이인
1897 라이언(John K. Ryan, 1897-1981), 미국 철학자, 미국 카톨릭 대학에서 가르쳤다.
?-? 보난시어(Bernardine M. Bonansea, s.d.) 프란체스코파, 미국 카톨릭대학 교수. Man and His Approach to God in John Duns Scotus, 1983
1902 스태그뮐러(Friedrich Stegmüller, 1902–1981), 독일 카톨릭 신학자. 독단론 교수. Geschichte des Molinismus. 1935
1904 비뇨(Paul Vignaux, 1904-1987) ENS출신, 프랑스 철학자, 중세 철학사 전문가, 조합주의자. Justification et prédestination au xive siècle. Duns Scotus, Pierre d'Auriole, Guillaume d'Occam, Grégoire de Rimini, 1934
1907 스비에자프스키(Stefan Swieżawski, 1907-2004), 폴란드 철학자. Histoire de la philosophie européenne au XVe siècle, 1990
1909 베토니 (Efrem Bettoni, 1909-1979) 프란체스코파, 이탈리아 철학사가. Vent’anni di studi scotisti, 1943.
1913 앨런 버나드 볼터(Allan B. Wolter, 1913-2006), 프란체스코파(O.F.M.) 중세철학전공, 둔스스코투스 전문. 미국 카톨릭 대학 교수. The Philosophical Theology of John Duns Scotus
1916 그레제프스키(Maurice John Grajewski, 1916-?) 프란체스코파(O.F.M), 미국 카톨릭 대학 교수.
1927 뮈렌(Heribert Mühlen, 1927-2006), 독일 로만 카톨릭 신학자. Neu mit Gott – Einübung in christliches Leben und Zeugnis. 1991.
1930 오버맨(Heiko Augustinus Oberman, 1930–2001), 네델란 역사가, 신학자. 총주교 바드윈(Archbishop Thomas Bradwardine) 전문가
?-? 셰퍼(Odulfus Schäfer, s.d.), 프란체스코파(O.F.M.) 신부. 저술은 여러 권인데, 생몰이 없다.
?-? 프란찌넬리(Anna Franzinelli, s.d.), 이탈리아 여성철학자(?)
?-? 론(J.-F. Laun, s.d.), 「Recherches sur Thomas Bradwardine, precurseur de Wiclif」
*
I. 참고문헌
Duns Scot(1266-1308). Opera, éd. Wadding, 12 vol., Lyon, 1963.
______, Opera, éd. Vivès, 26 vol., Paris, 1891-1895.
______, Opera, éd. critique, 8.vol. parus, Rome, 1950-1966.
______, Philosophical Writings, textes choisis traduits enanglais par A. Wolter (1913-2006), Edimbourg, 1962.
E. Longpré(1890-1965), La Philosophie du bienheureux Duns Scot, Paris, 1924.
C. Harris(1896-1979), Duns Scotus, 2 vol.,
P. Minges(1861-1926), Johannis Duns Scoti doctrina philosophica et theologica, 1930
S. Swiezawski(1907-2004), Les intentions premières et les intentions secondes chez Jean Duns Scot, Archives d'histoire doctrinale et littéraire du Moyen Âge vol. 9 (1934)1934.
P. Vignaux(1904-1987), Justification et prédestination au XIVe siècle, Paris, 1934.
E. Gilson(1884-1978), Les seize premiers Theoremata et la pensée de Duns Scot, Archives d’hist. litt. et doctr., 1937-1938.
_______, Jean Duns Scot, Paris, 1952.
R. Messner(?-?), Schauendes und begriffiches Erkennen nach Duns Skotus, Fribourg-en-Brisgau, 1942.
E. Bettoni(1909-1979), Vent’anni di studi scotisti, Milan, 1943.
M. J. Grajewski(1916-?), The Formal Distinction of Duns Scotus, Washington, 1944.
A. B. Wolter(1913-2006), The Transcendantals and their Function in the Metaphysics of Duns Scotus, Saint-Bonaventure(USA), 1946.
H. Mühlen(1927-2006), Sein und Person nach Duns Scotus. Werl, 1954.
O. Schäfer(s.d,), Bibliographia de vita, operibus et doctrina Iohannis Duns Scoti. Rome, 1955.
J. K. Ryan(1897-1981) et B. M. Bonansea(s.d.), John Duns Sotus 1265-1965, Studies in Philosophy and the History of Philosophy, Vol. 3, Washington, 1965.
J.-F. Laun(s.d.), Recherches sur Thomas Bradwardine, precurseur de Wiclif, in Revue d'histoire et de philosophie religieuses. 1929
A. Koyré(1892-1964), Le Vide et l’espace infini au XIVe siècle, V: Thomas Bradwardine, Archives d'hist. doct. et litt., 1949.
H. L. Crosby(1880–1954), Thomas of Bradwardine his Tractatus de Proportionibus, Madison, 1955.
H. A. Oberman(1930–2001), Archbishop Thomas of Bradwardine, A Fourteenth Century Augustinian, Utrecht, 1957.
F. Stegmüller(1902–1981), Die zwei Apologien des Jean de Mirecourt, Recherches de théologie ancienne et mé́dié́vale, 1933.
A. Franzinelli(s.d.), Questioni inedite di Giovanni di Mirecourt, Rivista Critica di Storia della Filosofia, 1958.
(1:39, 58NLH) (4:39, 58N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