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 方 廣 佛 華 嚴 經
第四會
修因契果生解分
差別因果周
夜摩天宮 如來放兩足趺光 功德林菩薩 入菩薩善思惟三昧 十行法門
二十一, 十行品
제21 十行品 39
1. 공덕림(功德林)보살이 삼매(三昧)에 들다 39
2. 부처님이 가피를 내리다 39
(1) 가피(加被)의 인연을 말하다 39
(2) 부처님의 가피(加被)가 하는 일을 말하다 40
(3) 가피의 상(相)을 보이다 41
① 말의 가피 41
② 뜻의 가피 41
③ 몸의 가피 41
3. 공덕림보살의 열 가지 보살행 42
(1) 보살행의 근본을 말하다 42
(2) 열 가지 행의 이름을 열거하다 42
(3) 제 1 환희행(歡喜行) 43
① 보살은 모든 것을 다 베푼다. 43
② 중생들의 이익과 행복을 위하여 베푼다. 43
③ 보시의 행을 밝히다 44
④ 깨달음으로 회향(廻向)하는 보시(布施) 46
⑤ 보시의 인(人)과 법(法)이 다 공(空)함 46
⑥ 인(人)과 법(法)이 공(空)한 이익을 밝히다 47
⑦ 법의 보시를 행하기를 원하다 47 (4) 제 2 요익행(饒益行) 48
① 계(戒)를 가지는 행(行)을 밝히다 48
② 섭율의계(攝律儀戒) 49
③ 섭중생계(攝衆生戒) 50
④ 섭선법계(攝善法戒) 51
⑤ 더욱 수승한 행을 닦을 것을 생각하다 53
(5) 제 3 무위역행(無違逆行) 53
① 인욕행을 밝히다 53
② 원한과 침해를 참는 인욕 수행 54
③ 고통을 편안히 받아들이는 인욕 수행 56
④ 법의 이치를 관찰하는 인욕 수행 56
⑤ 인욕을 수행하는 의미 57
(6) 제 4 무굴요행(無屈撓行) 57
① 정진행을 밝히다 57
㉮ 열 가지의 정진 58
㉯ 과오를 떠나다 58
② 정진을 수행하는 이유 58
㉮ 일체중생을 위한 정진 수행 58
㉯ 일제 불법을 알기 위한 정진 수행 59
③ 다시 문답으로 정진행을 밝히다 60
④ 정진행으로 일체중생에게 열반을 얻게 한다. 62
(7) 제 오 무치란행(無癡亂行) 62
① 어리석음과 산란을 떠나는 행 62
② 경계에 나아가도 어리석음과 산란함이 없다 62
화엄경을 시작했는 지가 벌써 45강째입니다. 오늘이
1년 반동안 스님들이 큰 발심을 하셔가지고
화엄경을 지금 보고 계십니다.
오늘은 동화사 한문 불전 승가 대학원 화엄경 제 45강째
지난 시간에는 십행품 중에 無癡亂行을 했었죠?
그것 하다가 이제 3번째 단락이 되겠습니다.
여기서 無癡亂行이라고 하는 것은
항상 정념, 바른 생각을 견지해서
바른 생각이라고 하는 거는
생각은 이렇습니다.
망상 집착으로 해서 계속 기하급수적으로
생각에 생각에 꼬리를 물고 일어나는 생각이 있는가 하면
조작하고 의도하고 억지로 내지 아니해도
자연스럽게 돋아나는 생각들이 있습니다.
그런 건 생각이 차라리 없다고 이렇게 하는 것이죠.
무념에 가깝다고 이렇게 보는 것이죠.
그래서 선도 악도 아닌 본심으로 뽑아져 나오는 생각,
그것이 흔히 이제 그쪽으로 가 있는 것을
가라앉지도 뜨지도 않는다 해서 우리는 그런 것을 어리석거나,
癡라고 하는 거는 무명입니다.
캄캄하다는 말이고
亂이라고 하는 것은 어지럽다고 하는 것은
잡되게 섞여 있으면 어지럽죠.
망상에 잡념이라든지,
양념을 많이 해가지고 이것저것 많이 들어가면
깨끗한 물이, 물맛이 담백하던 것이 맛을 잃어버리고
단맛 짠맛 쓴맛 이렇게 막 어지럽게 맛이 섞이면 그걸 뭐라 합니까?
잡내 난다고 그렇게 하잖아요. 그죠?
양심에 냄새 나는 것도 마찬가지,
진심에서 본심의 깨끗한 걸
지금 얘기를 쭉! 밀고 나가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항상 정념에 머물면서
일체법에 대해서 癡亂,
어리석거나 어지러운 생각을 벗어나서 산란하지 않는 것,
그것이 이제 이 無癡亂行에 연결이 쭉~ 되는 그 대목이 되겠습니다.
여기서는 지금 보살 수행 계위에서
52 계위 중에서는 십신 끝나고
11주에서 20주가 이제 십주가 되겠죠.
그리고 21에서 30까지가 십행
31에서 40까지가 십회향 그죠?
그리고 41에서 50번째가 뭐죠?
십지 이렇게 되겠죠.
그 다음 등각 묘각
이래서 흔히 보살 계위를 그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거는 이제 참고로 하시고
꼭히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 전할 길이 없으니까 이름을 매겨놓는 것이죠.
팔공산도 있고 여러 산들이 지리산도 있고 산이 있습니다.
그 산에 거기시가 거시기가 거시기가 거시기 이래 하면 참 애매하잖아요?
정확하게 명칭을 부여하는 것 하고 똑같다고 이렇게 볼 수가 있겠습니다.
③ 禪定과 正念成就
此菩薩이 成就如是無量正念하고 於無量阿僧祗劫中에 從諸佛菩薩善知識所하야 聽聞正法하나니 所謂甚深法과 廣大法과 莊嚴法과 種種莊嚴法과 演說種種名句文身法과 菩薩莊嚴法과 佛神力光明無上法과 正希望決定解淸淨法과 不着一切世間法과 分別一切世間法과 甚廣大法과 離癡翳照了一切衆生法과 一切世間共法不共法과 菩薩智無上法과 一切智自在法이라 菩薩이 聽聞如是法已에 經阿僧祗劫토록 不忘不失하고 心常憶念하야 無有間斷이니라
③ 선정으로 바른 생각을 성취하고 온갖 법을 듣는다.
이 보살이 이렇게 한량없는 바른 생각을 성취하고는, 한량없는 아승지 겁 동안 부처님과 보살과 선지식에게서 바른 법을 듣나니, 이른바 매우 깊은 법, 넓고 큰 법, 장엄한 법, 갖가지 장엄한 법, 갖가지 낱말 구절 소리의 굴곡을 연설하는 법, 보살의 장엄하는 법, 부처님의 신력과 광명의 위없는 법, 바른 희망으로 결정한 이해인 청정한 법, 일체 세간에 집착하지 않는 법, 일체 세간을 분별하는 법, 매우 깊고 광대한 법, 어리석음을 떠나 일체중생을 분명히 아는 법, 일체 세간이 함께 하고 함께 하지 않는 법, 보살 지혜의 위없는 법, 온갖 지혜로 자재한 법들이니라. 보살이 이런 법을 듣고는 아승지 겁을 지내어도 잊지 않고 잃지 않고 항상 기억하여 간단함이 없느니라.
③ 禪定과 正念成就
此菩薩이 成就如是無量正念하고 於無量阿僧祗劫中에 從諸佛菩薩善知識所하야 聽聞正法하나니
③ 선정으로 바른 생각을 성취하고 온갖 법을 듣는다.
이 보살이 이렇게 한량없는 바른 생각을 성취하고는, 한량없는 아승지겁 동안 부처님과 보살과 선지식에게서 바른 법을 듣나니,
그러니까 법은 어느 정도 들어야 되는가?
누구에게 들어야 되는가?
어떠한 마음 상태로 들어야 되는가?
이런 걸 잘 명기를 해놨는 것 같습니다.
이런 건 삼척동자라도 알 수 있을 만큼
티미~한 생각이 아니라 어떻습니까?
바른 생각인데 그 바른 생각을 어떻게?
한량없는 바른 생각 꼿꼿~ 하게
또 한량없는 세월
그리고 들을만한 분들께 들어라.
누구죠? 대표적으로?
부처님과 보살과 선지식에게 들어라.
이래 놨습니다.
오직 법이 있는 자리를 그렇게 표현해놓은 것이죠.
所謂甚深法과
여기서부터는 이제 수지해야 될 바를
이제 들어야 될 바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所謂甚深法과 廣大法과 莊嚴法과 種種莊嚴法과 演說種種名句文身法과 菩薩莊嚴法과 佛神力光明無上法과 正希望決定解淸淨法과 不着一切世間法과 分別一切世間法과 甚廣大法과 離癡翳照了一切衆生法과 一切世間共法不共法과 菩薩智無上法과 一切智自在法이라
( 翳 : 1. 가로 막다, 2. 가리다, 3. 그늘, 4. 깃일산(-日傘), 5. 말라 죽다, 6. 멸하다(滅--), 7. 물리치다, 8. 방패(防牌ㆍ旁牌), 9. 숨다, 10. 흐리다)
이른바 매우 깊은 법이라,
매우 깊은 법이라고 하는 거는
이치의 당체에 대해서 증득한 바가 크고 깊기 때문에
또 텅~ 빈 그것이 깊다고 하는 거는
허공처럼 텅 비어 있으니까 정말 깊죠.
넓고 큰 법, 광대법
우리 심체에 대해서 마음의 작용이 정말 광대무변하죠.
어릴 때부터 이제까지 썼으면
어지간하면 희로애락이 이제 닳고 없어져야 될텐데 나날이 새롭죠.
제가 오늘 택시 타고 오면서 기사분 아저씨께 여쭤봤어요.
머리가 좀 허옇길래
"연세가 올해 얼마십니까?" 이러니까
"을해생입니다."
"네!~"
80이라시네... 80
또 제일 빨리 오시더라고...
제가 여기 보현사 와가지고 택시 탄 기사분 중에
제일 빨리 오신 분이 오늘 그분인데
"그러면 솔직하게 연세가 얼마로 느껴지십니까?" 이러니까
"30"
"아이~ 30 까지는 아니고 40은 안돼 보인다."고 ㅎㅎ
당신이 그렇게 젊게 사신다고 그래요.
젊게 사시는 게 아니고 그게 사실이죠.
한 70 조금 넘어가면 불교의 이치는
좀 어리숙~한 사람도 어지간히 이렇게 얘기해보면 경전을 배울만 하죠.
정상적으로 살아오신 분들쯤 되면...
젊은 분들은 땡감 같은 분들은 이해가 안되고
조금 8부 능선을 넘어가시면 70쯤 넘어가시면
저승 문턱이 점점점점... 다가오면 이제
인생이 무상하면 제행이 무상한 걸 절실히 느껴지거든.
그리고 숱한 경험과 이런 것들이 경전을 얘기하면
그냥 솜에 물 빨려들어가듯이 쫙~ 이해가 가고
박수 치면서 무릎 치면서 맞다고 맞다고 이렇게 하시는 분들이죠.
그저 젊은 분들은 불교 얘기하면 어떨 것 같아요?
고무공이 물에 통통 튀듯이 한 방울도 안 젖어요. 그냥
거~ 의 자기 똑똑하다고 그러죠.
여기 광대법이라고 하는 것도 정말 우리가 광대하죠.
장엄한 법이라,
장엄이라고 하는 게
여기 법이라고 해놨는 게
어떤 하나의 객체가 이렇게 뚝~ 떨어져 있는 것들이 아니고
우리 심상 자체가 장엄하죠.
생각할수록 신묘하죠.
오래오래 가만~ 히 생각해보면 어떻습니까?
앞에 총알이 하나 날아가면
뒤에 총알이 하나 그 총알 쫓아가서 맞춰버리는 그런 심정으로
'어떻게 생각이 그렇게 적중하느냐!' 이거라.
왜 우리 양궁하다가 보면 퍼펙트 골드라고
카메라 깨버리는 것 있잖아요?
정중앙
毫釐有差라도 天地縣隔이라.
조금도 어긋남 없이 정확하게 사람 이름 기억하고
정확하게 내 자리에 앉고 내 책 챙겨가지고 신호등 잘 보고
맛 보고 숨 쉬고 눈 깜짝거리고
여기 다 장엄이 돼 있다는 게 신기하잖아요?
저한테 장엄돼 있는 거는 별로 신기할 것 없어요.
사람 사람이 인인이 어떻게 이래 장엄이 잘 돼 있느냐 이 말씀이죠.
그 다음에
갖가지 종종 장엄한 법과,
하나에 일체가 다 갖춰져 있으니까 정말 갖가지로
이 마음에 종종으로 갖춰져 있죠. 일심에
갖가지 낱말 구절 소리의 굴곡을 연설하는 법과,
중국말은 중국말 대로 일본말은 일본말 대로 국산말은 국산말 대로
야~ ! 세상에 돌아보면 보배스럽지 않는 것이 거의 없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형체가 있는 것이든지 없는 것이든지
그 다음에
보살의 장엄하는 법,
보살의 장엄하는 법이라고 하는 것이
구족 장엄이라고 전에 강의할 때
제가 한 번 말씀드린 바가 있는데 기억을 하시는 지는 모르겠습니다.
구족장엄이라고 하는 게
이 마음 속에서 바라밀행을 하는 것이 구족장엄이라고 이렇게 하죠?
보살이 장엄하는 법은
바라밀행으로써 그 수행법을 아름답게 가꿔 나가는 것
사람이 사람을 위한다는 게 얼마나 아름다운 장엄입니까?
보살이라고 하는 것이
남의 고통을 뽑아주고 남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죠.
특히 십행 부분은 자리적인 입장보다는,
자리적인 입장에서는 십주에서 좀 강하죠.
스스로 발심했는 것
그러니까 그 이치를 발심하는 게 십주에서 좀 강한 편이고
십행 부분, 수행 부분으로 넘어오면 이타행이죠. 거의
여기서부터는 이타행
拔苦與樂이라고도 하죠.
부처님의 신력과 광명의 위없는 법, 그 다음
바른 희망으로 결정한 이해인 청정한 법,
여기서부터는 8 가지로 지위를 쭉~ 나타내고 있습니다.
바른 희망으로 決定解淸淨法이라고 하는 것은
십지로 본다면 환희지 이상의 見道,
도를 제대로 분석하고 난 뒤에
바깥으로 괴롭고 즐겁고 하는 고락심이
상속하는 것이 이어지는 것이 이제 끊어진 상태가 됐을 때
바른 희망이 되는 것입니다.
正希望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람들은 망상의 희망은,
우리 희망고문이라고 얘기하지 않습니까? 그죠?
망상의 희망하고 正希望 하고는 조금 다른 것입니다.
正希望이라고 하는 거는 결단코 이 길에 대한 견도,
도를 확신하고 가는 길이니까
결정적인 이해, 決定解淸淨法
제가 화엄경을 읽으면서 저 앞 부분에도 이런 게 많이 나왔지만
세주묘엄품부터 그런 게 나옵니다.
수행의 점차를 차곡~차곡 문장별로 이렇게 정리해놓은 겁니다.
지금 이 부분 우리 읽어가잖습니까? 그죠?
처음 도에 대해서 확실히 희망적인 걸 가지고,
이걸 見道 부분이라 합니다.
그 다음에 일체 세간에 집착하지 않는 법,
이걸 根本智라고 합니다.
근본지에 즉한다고 하죠. 흔히
그리고 일체세간을 분별하는 법,
이건 後得智라고 합니다. 후득지
일체세간에 집착을 하지 않는 근본지와
일체 세간에 대해서 낱낱이 지혜롭게 대처하는 後得智
뒤 後자, 얻을 得자
여기까지를 흔히 이제 세간에 집착하지 않고
세간을 잘 분별하는 것을
2지에서 7지까지
이제 2지부터는 修道分이 되죠. 그리고
매우 깊고 광대한 법,
매우 깊고 甚廣大法이라고 앞에 나왔잖습니까?
甚廣大
매우 넓고도 큰 甚深廣大法
여기서는 우리가 그 유명한 부동지 8지를 얘기합니다. 8지
아~주 깊은 무생법인을 증득하는 데가
이게 매우 깊고 광대한 법이라고 얘기하죠.
부동지
저~기 십주에서는 뭐라고 배웠죠?
동진주
이와 같은 그것이 나중에 자라면 부동지의 그런 8지가 되는 거죠.
어린 아이가~ 봅시다.
비유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우리 흔히 初發心時便正覺 이러면
비유는 다 틀립니다만 이렇게 비유하면 이해합니다.
애가 엄마한테 금방 톡 튀어나오면
눈코입귀가 달린 것이 어른하고 똑같습니다. 그죠?
숨 쉬는 것도 어른하고 백 퍼센트 똑같습니다.
단지 뭘 못합니까?
말 못하고 똥오줌 못가리고 걷지를 못하지만
그걸 사람 아니라고 할 수는 없고
백 퍼센트 사람입니다. 그죠? 안그렇습니까?
初發心時, 처음 태어났을 때도 便正覺이라.
처음에 금방 애가 하나 태어났는데
事적으로는 현상 분별적으로는 역량이 조금 달려요.
그걸 이제 능엄경에서 이렇게 얘기했죠.
事非頓除라.
事라고 하는 것은
한꺼번에 다 없앨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한꺼번에 배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理卽頓悟라.
애가 하나 딱 태어나면 그 애는 이치의 입장에서는
理卽頓悟라, 그대로 퍼펙트하게 똑같다는 겁니다.
능력이라는 게
능력은 백 퍼센트 마음의 능력은 이치적으로는 다 갖추고 있으면서도
현실적으로는 익히고 배우고 닦고 하면서 다시 이제 커가는 것이죠.
여기서는 지금 그런 이치가 현실적으로 마음을 수행해나가면서
초지의 단계
2지 7지의 단계
8지의 단계
옛날 어른들이 그렇게 다 분석을 해놓고
문장적으로도 그렇게 딱 들어맞게 돼 있습니다.
감탄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죠.
화엄경 이래 보다가 보면
그 다음
어리석음을 떠나 일체중생을 분명히 아는 법,
제 9지를 뭐라 그러죠? 우리 흔히
善彗地라고 하죠.
분명히 잘 아는 법이니까 잘~ 아는 지혜니까 뭡니까?
선혜지라고 하잖아요. 그죠?
야~ 어떻게 이렇게 잘 해놨지...!
그 다음에
일체 세간이 함께 하고 함께 하지 않는 법,
이때는 거의 등각의 수준입니다. 그죠?
십지 중의 십지라고 이렇게 얘기를 할 수가 있겠죠.
보살의 지혜의 위없는 법,
等覺地
십지가 완성되면 이제 등각지로 넘어가죠. 그 다음
온갖 지혜로 자재한 법들이니라.
온갖 지혜의 자재한 법은 누구의 지혜에서 나오겠습니까?
如來地
여래지를 우리 흔히 뭐라 하죠?
묘각이라고 이렇게 얘기를 합니다.
菩薩이 聽聞如是法已에 經阿僧祗劫토록 不忘不失하고 心常憶念하야 無有間斷이니라
보살이 이런 법을 듣고는 아승지 겁을 지내어도 잊지 않고 잃지 않고 항상 기억하여 간단함이 없느니라.
어떤 사람이 기억하고 잃어버리지 않고 잊지 않고 있느냐?
욕망과 원력이 있는 사람들은 이해력이 수승하죠.
그러니까 하고자 하는 자기의 의지력이 굉장히 강력한 사람들은
무슨 현실을 접했을 때 거기에 대한 이해력이 굉장히 깊죠.
예를 들어서 이번에 월드컵 한다 이러면
메시같은 사람은 의지력이 굉장하죠.
타고난 몸도 천부적으로 타고났지만
의지력이 남보다 굉장히 강렬한 사람입니다.
축구 잘 하는 축구 선수 있잖아요?
일등하는 사람은 의지력이 남 다르고
의지력이 남 다르다 보니까
이해력이 이 볼을 어떻게 해서
이렇게 차면 어떻게 되고 저렇게 차면 어떻게 되고 이럴 때 어떻게 되고
전체를 이해력이 굉장히 뛰어납니다.
이해력이 뛰어난 사람은
자기가 한 번 지나온 데에 대해서는 다 기억을 합니다.
예를 들어서 박 찬호가 공을 던지면
내가 저 선수를 만났을 때
3년 전에는 어떤 공을 던졌다, 두 번째는 무슨 공을 던졌다,
다 기억한답니다.
'야~ 불교 이론이 진짜 맞는데...'
바둑도 두시는 분들이 한 1급 이상 돼서
프로 기사들쯤 되면 어떻습니까?
復棋복기를 하잖아요?
상대하고 내가 여기 뒀을 때 니는 조금 전에 거기 두고,
이렇게 하잖아요. 그죠?
그런데 우리 같은 아마츄어는 어떻습니까?
금방 둔 것도 까먹어버리고 내가 어디 뒀는지 모릅니다. ㅎㅎ
그러니까 이 창호는 바둑에 대한 의지력이 굉장히 강하고
이해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뭘 잘 합니까?
기억이 또렷합니다.
내가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뒀다는 걸 또렷이 알지 않습니까?
이 마음에 대한 이해력도 마찬가집니다.
전생사를 기억하고 잘 했든지 잘 못했든지
그런 걸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그때 어떻게 어떻게 겪어왔다는 거는
고요하면 고요할수록 더 또렷~ 하게 나타나는 거죠.
그 다음에 오는 현상이 고요함입니다. 고요함
여기 잃지 않고 항상 기억하고 간단함이 없는 사람들은
기억하는 사람들은 고요합니다.
그런데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내 그때 잘 기억 안 나는데...'
이러면 거의 도둑놈들입니다.
청문회 불려나오고
여기 聽聞하고는 좀 다르지만... ㅎㅎ
그런 사람들은 남 속여먹는 의지력은 있을지 모르지만
스스로 청정하고자 하는 의지력이 없기 때문에
그 사람들 기억력 없는 게 맞습니다.
그 사람들은 삼매가 아니고 치매라고 이래 얘기를 하죠.
기억하여 간단함이 없느니라
이것도 지금 여기 무치란행을 잘 나타내는 하나의 수행의 문장입니다.
그냥 글을 있다고 써놓은 게 아니고
고요~하기 때문에 기억하는 사람들은 고요~합니다. 그 사람들은
그러니까 뭘 우리가 기억하려고 해서
"가만히 있어봐. 조용히 해 조용히 해 조용히 해봐...
하~! 니 때문에 귀 따가워서 생각이 안 난다. 가만히 있어봐!"
그렇게 우리 하잖아요. 그죠?
기억을 하는 사람은 고요로 갑니다.
고요한 사람들은 판단력이 정확하죠.
아까 나왔던 결정적인 이해력 같은 지혜가 확 돋아나가지고
지혜로운 사람은 절대 남 허물을 얘기 안하죠.
그 사람이 지혜를 얻은 사람은 고요함을 얻은 사람은
남 허물 얘기 안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또 어떤 일이라든지 지위에 욕심이 없기 때문에
무착 무박에 벗어나 있기 때문에
절대 그런 데 대해가지고 화를 잘 안 냅니다.
현상은 그래 똑같이 연결돼 나오죠.
기도 많이 하시든지 참선 제대로 하시는 스님들 옆으로 지나가면
맑은 바람이 싹~ 지나가는 것 같고
바라만 봐도 기분이 괜히 좋찮아요?
여기서 나오는 선정 수행의 인과를 밝히다 했는데
이런 법을 듣고는 아승지 겁을 지내어도 잊지 않고 잃지 않고 항상 기억하여 간단함이 없다.
이렇게 아~ 주 강조를 해놨죠.
不忘不失
이것은 不忘하는 거는 정말... 아까 뭡니까?
무치란행 할 때 不癡하는 거에요. 그죠?
잃지 않는 거는 어리석지 않기 때문에 잊어버리지 않는 거고
잃어버리지 않는 거는
어지러운 사람들은 정신머리 어지럽고 행동이 어지럽고
삶 자체가 생활 태도가 어지러운 사람들은 뭘 잘 잃어버려요.
지갑도 잃어버리고 가방도 잃어버리고 신발도 잃어버리고
지 물건 잃어버리면 괜찮은데
남의 다이야반지 하나 빌려갔다가 그것도 잃어버리고
별 걸 다 하는 거라.
자~ 정리합니다.
不忘은 잊어버리지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입니까?
어리석지 않는 사람은 잊어버리지 않고
聰明하니까
눈이 밝은 걸 明이라 하고 귀가 밝은 걸 聰이라 하잖아요.
귀와 눈이 총명하고 우리 얘기하잖아요. 그죠?
귀가 밝은 걸 총이라 하고 눈이 밝은 걸 명이라 그래요.
잊어버리지 않는 사람은 어리석지 않은 사람입니다.
不癡 여기 무치란행 아니에요. 무치란행
어지러운 사람은 잃어버려요.
막~ 섞여가지고 살기 때문에 니 껀지 내 껀지 잘 분간이 못 가.
신발을 혹시 잘 잃어버리고 이런 분들은
지갑 잘 잃어버리고 냉장고에 넣어놔버리고 이런 분들 있잖아요?
골치 아픈 거라. 골치 아파
항상 마음에 不忘念智莊嚴藏解脫이라고
대표적으로 우리가 말씀드리는 우리 스님들 중에 제일 뛰어난 분이
기억력이 또렷하신 분이 누굽니까?
일자 무식
우리 흔히 얘기할 때 누구죠?
수월스님 얘기하죠.
경허스님 고조이신 수월스님
수월스님의 신도님들이 오셔가지고 한 백 명이
글은 모르시지만 옆에 와서 주소 불러주면 다 외우고 계시고
이름 다 외우고 계셨다가 축원할 때 그대로 다 축원하시고
스님은 일자 무식이니까 글을 안 배우셨으니까...
아~ 이거는 글에도 있지 않고 생각에도 있지 않고 오직 마음만
총명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자비로워요.
청정한 사람은 자비로워요.
무조건 자비롭게 돼 있어요.
그러니까 유식 무식 이런 게 통하지 않는 거라.
내가 좀 어질어졌다 싶으면 영험이 있다는 거고
내가 깨살스럽다 싶으면 미깔스럽거나 이렇게 행동한다고 하면
그거는 수행이 없다고 이래 생각하면 돼요.
진짜 수월스님 글 배웠으면 어떻게 될뻔 했노... 큰일 날뻔 했지...
진짜 글 배웠으면 본지풍광을 또 이렇게 잘 못 봤을 수도 있어요. 그죠?
수월스님이나 육조 혜능스님께서는
글을 못보시고도 그렇게 총명했다는데
글 본 우리는 왜 이렇게 캄캄하노...? ㅎㅎ
그러면 글에 허물이 있는 거요?
사람에 허물이 있는 겁니까?
그러니까 어지간히 우리처럼 이렇게 화엄경을
2년동안 이렇게 일 주일마다 한 번씩 3시간씩 이래 공부하잖습니까? 그죠?
이러면 옛날 어른분들이 이렇게 하세요.
'아이구 니는 눈에 레이져가 나와가지고 엔~간하면 소가죽도 뚫어버리겠다.'
책에 너무 집착해.
책만 우리가 너무 많이 봐가지고 소가죽도 뚫어버린단다. 소가죽도 ㅎㅎ
그런 분들은 사실 우리같은 사람들은 책을 그만 봐야 돼요.
본 것도 없지만 너~무 미주알 고주알 거품을 물고 설명하려고 하니까
이래서 설명된 거는 없고
그렇지만 기분이 너무 좋은 거에요. 이게
이런 법을 듣고 아승지 겁을 지내어도
바둑 한판 뒀는데 천 년 만 년 20년 백 년 뒤에... 백 년 너무 하나...?
30년 뒤에 둘이 만나 니하고 내하고 그때 뒀던 바둑 이러면서
딱 복기하면 통쾌하잖아요. 그죠?
바둑 고수들은 다 기억합니다.
자기가 어떤 대국을 했던지 다 기억을 한다고...
그러면 대강백들이나 이런 사람들은
몇 권 몇 페이지 어디에 어떻게 나오는지 다 기억을 한다고...
그렇찮아요?
실쭉~이 모자라는 사람들은 그때 배웠던가... 몰랐던가...
재밌는 거는 그것 아닙니까?
제가 지난 시간에 그렇게 강조했는데도 홀딱 까먹고 기억 못하시는것
우리 한 번 그러면 기억하는가 봅시다.
이번에 시진핑씨가 왔습니다.
시진핑 뭐라 합니까? 주석이라 합니까?
여하튼 거룩하신 분이 중국에서 왔습니다.
저번에 시진핑하고 박근혜 대통령하고 중국에서 만났을 때
족자를 하나 선물로 줬습니다.
그 때 족자에 스무 자 글자가 있었죠?
스님 뭐죠? ㅎㅎ
벌써 홀딱 다 까먹고 안계신다니까...ㅎㅎ
불과 얼마 안되는데...
白日이 依山盡한대 저 해가 白日이 依山盡한대
서산에 기대어서 뉘엇뉘엇 넘어가는데
黃河가 入海流로다
저~ 곤륜산 골짜기 서쪽에서 발원했던 황하가
장강 위에 있는가...밑에 있나...
황하가 入海流로다
바다로 흘러흘러서 저~기 산동성으로 지나서 들어간다 이거지.
欲窮千里目인대는 更上一層樓라
그대여 더 높이 더 멀리 천리목을 가지고 바라보고 싶은가?
欲窮千里目, 천리의 안목을 가지고 싶은가?
更上, 다시 한층 올라가라. 一層樓라
우리 선요할 때 배웠다고 제가 말씀드렸죠?
그런데 신기하게도 다 까먹고 안 계시죠?
제가 여기서 수업 시간에 한 번 더 해드렸음에도 불구하고
白日이 依山盡한대
시진핑이 그렇게 이제 우리 한중 관계가 한 번 더 한 층계를 더 올라가자고 하면
欲窮千里目인대는
먼 미래를 두 나라가 내다보자면
更上一層樓라
한 번 더 업 그레이드 해가지고
서로 좋은 관계를 가지는 게 안 좋겠냐고
옛 시에 기대어서 그래 했습니다.
그 시를 기억하고 있는 게
시진핑도 기억하고 선요를 썼던 고봉스님도 기억하고
선요 속에 이제 책을 넣어놨습니다.
이번에는 시진핑씨가 이제 한국에 와서 이래 했습니다.
長風이, 천 년 만년 길고 긴 바람이 불어오던 역사의 유구한 바람이
破浪이라, 파도를 깨뜨리고
會有時라, 이렇게 어느 때가 긴~바람이 바람결에
이제 파도를 가르고 차고 나가는
會有時라, 이렇게 인연 있는 때가 왔는데
直掛, 바로 우리 괘불 올리듯이
直掛雲帆이라, 바로 우리 괘불이라 하잖아요? 그죠?
구름 돛대 저 뭉게구름같이 높~은 순풍에 돛을 달고 하듯이 뭉게구름같이
우리는 光明雲臺라고 예불하잖아요. 그죠?
直掛雲帆이라, 바로 구름 돛대를 높~이 세워가지고
濟, 모두 구제하자. 제도한다. 濟, 건너가자.
滄海, 저 푸른 파란만장한 이 사바세계의
세계의 얽히고 설킨 정세를 같이 건너가보자.
야~! 그런 분들은 일국의 지도자이기도 하지만
가슴 속에서는 옛 선현들이 남겨놓은 그런 주옥같은
정말 다이아몬드 같은 글귀 구절들이
가슴에 박혀서 글로써 끝나는 게 아니고
자기 인생을 일국의 지도자로써 펼치고 있잖아요. 그죠?
저는 그걸 보면서
'야~ 저 양반 속에서는 저게 자라고 있었구나...'
'그래도 안 부럽다. 내 속에는 화엄경 자라는데...뭐' ㅎㅎ
'우리 속에는 치문 배울 때 선사 어록들이 다~ 가슴에 박혀 있지,
서장이 박혀 있지, 선요 박혀 있지, 화엄경 박혀 있으니까
아이구~! 우리도 만만찮아... '
이러면서 스스로를 위로하면서 사는 길인데
그런데 그게 좀 시원찮은 게
사람이 고요해지고 남 해코지 안하고 어리석은 사람 안 꾸짖고
이래 되면 이제 좀 잘 돼 가는 건데
그 다음에 현상이 뭐냐 하면 지 잘난 척 안합니다.
여기서
잊지 않고 잃지 않고 항상 기억하여 간단함이 없다
이런 것은 너무너무 자비롭고 청정하기 때문에
수월스님처럼 마음이 툭~ 트였기 때문에
본심에서 그냥 이래 받아들이니까 다 기억해.
그런데 잔머리 써가지고 기억했던거는 며칠 안 가서 다 까먹고 없어지죠.
이렇게 했는데도 또 까먹으시겠죠? ㅎㅎ
시진핑이 못보셨나요?
우리나라 와서 말씀 하신 것?
아니 그러면 화엄경 배우는 수준이 아니지. ㅎㅎ
저~기 어디 천수경이나 해야지... 같이....
長風이, 긴 바람이 깨뜨린다.
破浪
이게 원래 行路難이라고 하는
스님들이 즐겨 읽는 시 구절에 나오는 겁니다.
行路難 行路難이로다.
인생길 왜 이리 험하고 인생길이 왜 이리 험하느냐.
多岐路라, 참 가고 갈 길은 많은데
今安在리오, 지금 내 길이 도대체 어디 있느냐?
長風이, 긴 바람이 내 인생의 파란만장한 걸 깨뜨리고
기필코 거는 날 때가 있으리니 그 다음에 뭐요?
直掛, 곧 바로 뭘 올린다고요? 구름같은 돛대를 올리고
直掛, 높~이
雲帆, 돛을 올려서
순풍에 돛 달아라 돛 달아라 하는 것 있잖아요?
直掛雲帆에 저 바다를 건너가보자 이거요.
濟, 건널 濟자 구제할 濟자
滄海, 돛을 높이 달고 저 바다 저 푸른 바다 건너가보자고
아~주 바람이,
내일 모레 지금 태풍이 몰려오고 있죠?
파도를 가르고 破浪, 파도를 깨뜨려버리고
막 그냥 쾌속선이 나가듯이
우리 마음 속에는 저러한 글귀들이 계속 자라고 있어야 돼요.
외운 것만 어때요?
자란다.
외운 것만 자란다.
그 다음부터는 인과에 대해서 따져 묻는 대목이 나오겠습니다.
④禪定修行의 因果
何以故오 菩薩摩訶薩이 於無量劫에 修諸行時에 終不惱亂一衆生하야 令失正念하야 不壞正法하며 不斷善根하야 心常增長廣大智故니라
④ 선정 수행의 인과를 밝히다
무슨 까닭인가. 보살마하살이 한량없는 겁 동안 모든 행을 닦을 때에 한 중생이라도 시끄럽게 하여 바른 생각을 잃게 하지 아니하며, 바른 법을 파괴하지 않고 선근을 끊지 아니하여 마음에 항상 광대한 지혜를 증장하는 연고이니라.
④禪定修行의 因果라
何以故오 菩薩摩訶薩이 於無量劫에 修諸行時에 終不惱亂一衆生하야 令失正念하야 不壞正法하며 不斷善根하야 心常增長廣大智故니라
④ 선정 수행의 인과를 밝히다
무슨 까닭인가. 보살마하살이 한량없는 겁 동안에 모든 행을 닦을 때에 한 중생이라도 시끄럽게 하여 바른 생각을 잃게 하지 아니하며,
나 때문에 남이 한 사람이라도 가슴 아프게 하지 않는다, 이 말씀이네요.
바른 법을 파괴하지 않고 광대한 지혜를 증장시켜가지고
아주 어리석음이 없는 그런 결과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정법을 파괴하지 않죠.
선근을 끊지 아니하여
항상 부처님의 우리의 지혜의 목숨을,
지혜의 목숨을 우리가 이어간다 하잖습니까?
續佛慧命이라고
그래서 항상 부처님의 그림자처럼
쿤둔인가... 그 영화에 보면 나오죠.
달라이라마가 인도 국경을 넘을 때 인도 병사가 묻죠.
"당신은 누구십니까?"
달라이라마가 대답하죠.
"저는 부처님의 그림자이자 초라한 비구입니다."
이렇게 얘기하죠.
그 대목에 막 눈물이 울~컥 날뻔 했죠.
하~! 부처님의 초라한
우리는 초라한 비구이지만 그래도 부처님의 그림자인데...
생각해보면 그렇죠.
아이가 있나... 어마이가 있다... 돈이 있나... 이거 큰일 났는 거라...
돈이 하도 없으니까 우리 절에서는 돈오돈수야. ㅎㅎ
마음에 항상 광대한 지혜를 증장하는 연고이니라.
그래도 이 초라한 비구라도 부처님의 그림자라도 좋다 이거죠.
⑤ 種種音聲 不能惑亂
復次此菩薩摩訶薩은 種種音聲이 不能惑亂하나니 所謂高大聲과 麤濁聲과 極令人恐怖聲과 悅意聲과 不悅意聲과 諠亂耳識聲과 沮壞六根聲이라
⑤ 선정을 성취하면 온갖 음성도 산란케 하지 못한다.
또한 이 보살마하살은 갖가지 음성으로도 산란케 하지 못하나니, 이른바 높고 큰 음성, 거칠고 탁한 음성, 사람을 공포케 하는 음성, 뜻에 기쁜 음성, 기쁘지 않은 음성, 귀를 시끄럽게 하는 음성, 육근(六根)을 망가뜨리는 음성이니라.
⑤ 種種音聲 不能惑亂
復次, 또 다시 此菩薩摩訶薩은, 이 보살마하살은
種種音聲이, 갖가지 음성이 不能惑亂이라,
갖가지 음성으로도 산란케 하지 못한다,
선정을 성취하면 온갖 음성이 산란하게 하지 못하죠.
그래서 우리가 다 어느 정도 한 서너달만 이렇게 염불해보면
경험하는 게 뭡니까?
한참~ 염불하다 보면 그 염불이 좋아서 할 때는
비가 오는지 눈이 오는지 다른 사람이 부르는지
아무 것도 모르잖아요, 그죠?
만화책만 보더라도 홀딱 까먹을 수도 있고
테레비 보더라도 다른 소리 안들리잖아요?
염불할 때도 그렇찮아요?
참선할 때도 그렇고
그런데 그게 사마타 힘이 부족하고
단단한 자기의 줄이 부족한 사람들은
안 들리는 소리도 만들어내는 거라.
희한~하게 환청까지 들려가지고... ㅎㅎ
그래가지고 문득 해가지고 들었던 게
뿔따구 나가지고 확! 일어나고 이러면
지금 비몽사몽간에 옛날에 욕 들었던 것 그것 때문에
벌~ 떡 일어나가지고 있다가
'아~ 이게 아니구나...'
이러고 또 앉는 수도 있고 그렇찮아요.
삼매에 들면 제대로 들면
있던 소리고 없던 소리고 다~ 이제 사그라드는 그런 걸
야~! 이렇게 잘 설명해놨어요. 이렇게
所謂高大聲과 麤濁聲과 極令人恐怖聲과 悅意聲과 不悅意聲과 諠亂耳識聲과 沮壞六根聲이라 ( 諠 [잊을 훤,지껄일 훤] )
⑤ 선정을 성취하면 온갖 음성도 산란케 하지 못한다.
이른바 높고 큰 음성, 거칠고 탁한 음성, 사람을 아주 공포스럽게 서늘~하게 하는 음성, 뜻에 기쁜 음성, 기쁘지 않은 음성,
좋은 소리 나쁜 소리
귀를 시끄럽게 하는 음성, 육근(六根)을 망가뜨리는 음성이니라.
보고 듣고 안이비설신의, 맛 보고 이런 것들이
마음의 뿌리가 이렇게 흔들려버리면 마음의 혈맥이 뒤집혀버리죠.
확~ 피가 거꾸로 솟는다 그럽니까?
우리 흔히 그렇게 되잖아요. 그죠?
듣기 싫은 소리 갑자기 들으면
과도한 것 소화할 수 없는 것 들으면 확~! 피가 거꾸로 솟는데
수행이 된 사람은 어떻습니까?
作忍辱仙人이 한적한 곳에서
수행하던 사람은 어떻게 했죠?
歌利王 割截身體 我於爾時에
마땅히 아무 잘못도 없는데 나를 팔 다리 사지를 다 자르니까
진짜 고소 고발하고 화도 내야 되는데
應生嗔恨이나, 한스럽고 성질 내고 막 같이
왕이고 나발이고 니하고 내하고 한 번 붙어보자고 막 달려들어야 되는데
그때 나는 無我相 無人相 無衆生相이니라.
그 대목이 정~말 고요 속에서 갖춰질 때
자기 인과도 돌아보고 그렇게 되는 거죠.
그렇지 못하면 신맥이 그냥 확! 뒤집혀가지고
눈이 거꾸로 뒤집힌다 하잖아요.
남한테 욕 들을 때
'내 오늘 니 죽고 내 죽고 한 번 하자.'
이렇게 달려드는 게 보통 사람의 심정이죠.
그런데 여기서는 그게 아니다는 거죠.
지 정신만 차리면 악독한 바람들이 사람에게 스며들지를 못하는 거죠.
마음이 이제 팽~ 돌아놓으면
갑자기 일어나가지고 헛소리를 막 합니다.
그리고 실성했는 사람처럼
마음이 이렇게 그래 한 번 자식이 죽든지 어떻게 하든지 이래가지고
시달림 같은 데 가보고 나면 초상이 나가든지 발인재 지내든지 이러면
헤까닥 가가지고 막 기절하는 수도 있고 그렇찮아요?
그렇게 해가지고 아이구~ 옆에 보면 못 볼 저거죠.
어떤 데는 춤도 추기도 하고 노래도 부르기도 하고
사람이 제정신이 아니에요.
갖가지 그런 마음의...
아~ 그러면 춤 추고 노래하고 사람이 헛소리 하고 이런 정도가 아니고
그때 화엄경을 이래 보면
'저 양반이 지금 삼매라고 하는 걸 다 잃어버리고 본심을 잃어버리고
지금 건드리면 안되겠구나... 좀 잘 달래줘야겠구나...'
이렇게 생각하셔야 돼요.
그 사람을 단지 일반 사람은 그 행동만 보고
'아이구~ 맛이 갔다. 왜 저러노...맛이 갔다...'
그게 아니고 마음에 늘 그렇게 사마타 힘이 없어서 그래요.
참는 인욕의 힘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도 한 번 냄비 끓듯이 그냥 확~! 끓어서 뒤집어버려요. 사람이
그런데 어느 정도 이제 자기의 고요를 얻은 사람 같으면
신체적으로 타격을 주든지 심리적으로 타격을 주더라도
눈도 깜짝 안하죠.
부처님처럼 앞에 와서 홀딱 벗고 춤을 추더라도
'이제 그만 가봐라. 많이 봤다~' ㅎㅎ
그 정도로 아무렇지도 않게 요동이 없는 것이라.
그런데 삼매가 깊지 못하면
'아이구~ 왜 이렇게 좋노...신심 난다.'
이러고 눈이 이제 픽픽 잘못 되는 거라.
마음에 심란이 없다는 거는 몸과 마음에,
지금 어떤 겁니까?
갖가지 음성이 와서 그 사람을 타격하더라도
좋은 소리 싫은 소리 귀에 안들어온다 하잖아요. 그죠?
우리가 치문 배울 때 어떤 대목이 나옵니까?
譏毁讚譽에 何憂何喜리요
이렇게 배웠잖아요.
남이 나를 헐뜯든지 나를 칭찬해주든지
그 사람이 저를 칭찬해도 제 본심이 불어날 까닭도 없고
지가 나를 막 헤벼뜯고 없는 것 구설수 올렸다 하더라도
내가 잃어버릴 게 뭐가 있겠냐고...
화엄경이 있는데...
지는 아무리 긁어도 허공 긁는 것 비슷하게 이래 되는 거라.
그래 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저는 긁으면 같이 긁습니다. ㅎㅎ
行路難
이백(李白)
金樽美酒斗十千(김준미주두십천)
향기로운 술 황금 잔에 가득 넘쳐나고
玉盤珍羞値萬錢(옥반진수치만전)
값비싼 산해진미 상위에 즐비하건만
停盃投箸不能食(정배투저불능식)
도저히 먹고 마실 수 없어 잔과 수저 던졌다
拔劍四顧心茫然(발검사고심망연)
칼 뽑아 사방을 보아도 막막하긴 마찬가지
欲渡黃河氷塞川(욕도황하빙색천)
황하 건너 (임금께) 가려도 강이 얼어붙었고
將登太行雪滿山(장등태항설만산)
태행산이라도 오르려니 눈길이 앞을 막아 어렵구나
閒來垂釣碧溪上(한래수조벽계상)
차라리 벽계에 가서 강태공 낚시나 할까
忽復乘舟夢日邊(홀복승주몽일변)
아니면 재상 이윤처럼 꿈속에 하늘을 날아볼까
行路難行路難(행로난행로난)
어렵고 어렵구나. 인생살이 어렵구나!
多岐路今安在(다기로금안재)
이리 갈까 저리 갈까 도대체 여기는 어딘가
長風破浪會有時(장풍파랑회유시)
큰바람 험한 파도 세차게 몰아올 때
直掛雲帆濟滄海(직괘운범제창해)
큰 돛 높이 달고 푸른 바다 헤치리라.
첫댓글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_()()()_
不忘不失하고 心常憶念하야 無有間斷이니라....
지선화 님! 수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그게 사마타 힘이 부족하고
단단한 자기의 줄이 부족한 사람들은
안 들리는 소리도 만들어내는 거라.
희한~하게 환청까지 들려가지고... ㅎㅎ
그래가지고 문득 해가지고 들었던 게
뿔따구 나가지고 확! 일어나고 이러면
지금 비몽사몽간에 옛날에 욕 들었던 것 그것 때문에
벌~ 떡 일어나가지고 있다가
'아~ 이게 아니구나...'
이러고 또 앉는 수도 있고 그렇찮아요.
- 내 꼴이 그꼴이라서 한참이나 웃습니다. 영판 아실꼬?
고맙습니다
고맙습니다 나무 대방광불화엄경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