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도 법 |
|
등산을 하면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지도와 나침반일 것이다. 그러나 지도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등산인들은 의외로 적다. 독도법에 대하여 알고있지 않은 이상 지도는 그저 이상한 기호로 가득 찬 그림일 뿐이다.
독도법(또는 오리엔티어링)이라고 하면 우리 등산인 들은 먼저 나침반부터 머리에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독도법(O.L)에 필요한 것은 지도(地圖)이며, 나침반은 독도법에서 지도정치와 방향유지를 위한 보조기구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간 및 능선 종주를 하다보면 나침반 사용능력보다는 지도의 독도(지도읽기)능력이 더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
1. 지도(Map)
1) 지도의 정의 지도란 지구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의 지표상황(자연물 및 인공물)을 일정한 축적에 의하여 여러 가지 약속된 기호, 선, 색으로 평면상에 나타낸 그림을 말한다.
2) 지도의 종류와 분류
⑴ 목적에 의한 분류
일 반 도 |
지형도(1/25,000 및 1/50,000), 지세도(1/250,000). 전도(1/1,000,000) |
주 제 도 |
사용목적에 따라 산업, 인구, 교통, 기후 등의 특수한 주제의 내용만을 나타내어그린 지도(지질도, 토지이용도, 기후도, 교통도, 인구분포도) |
특 수 도 |
특수한 목적에 사용되는 지도(항공도, 해도, 대권항법도, 점자지도, 사진지도, 입체모형도, 지적도) |
⑵ 제작 방법에 의한 분류
실 측 도 |
평면측량, 항공사진 측량 등 실제측량에 의해 만들어진 지도(지형도, 해도, 지적도) |
편 찬 도 |
실측도를 바탕으로 하여 알맞게 축소, 편집하여 만들어진 지도를 말하며 대축적 지도로부터 소축적 지도를 편집하는 것이 원칙이다.(지세도, 지방행정도, 세계전도) |
⑶ 축적에 의한 분류
대축적지도 |
비교적 좁은 지역을 크고 자세하게 나타낸 지도 축적비율 : 1/75,000 미만(1/10,000, 1/15,000, 1/25,000, 1/50,000) |
중축적지도 |
대축적지도와 소축적 지도의 중간정도 축적인 지도 축적비율 : 1/75,000∼1/600,000 (1/125,000, 1/250,000) |
소축적지도 |
비교적 넓은 지역을 간략하게 나타낸 지도 축적비율 : 1/600,000 이상 ( 1/1,000,000, 1/1,250,000) |
⑷ 양식에 의한 분류
전 도 |
일정한 지구표면 전체를 그림(한국전도, 세계전도) |
절 도 |
일정한 지역을 일정한 규격으로 분활(지형도, 지세도) |
지 도 첩 |
축적에 관계없이 규격을 통일하여 편찬(도로지도, 시리즈지도) |
⑸ 형태에 의한 분류
평 면 도 |
수평 상태만을 나타내는 기복이 표시되지 않은 지도 |
기 복 도 |
플라스틱 면에 인쇄되어 고도상의 변화를 쉽게 볼 수 있는 지도 |
모 형 도 |
산업과 문화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나타내는 지형의 축소된 지도 |
지 형 도 |
정밀한 측량에 의하여 작성된 실측도로서 지표의 기준점인 삼각점 수준점을 정해 놓고 거리, 고도를 항공사진 측량에 의하여 만들어진 지도 (등고선이 표시된 지도) |
개 념 도 |
산줄기의 흐름을 굵은 선만으로 나타내어 복잡한 산세를 알기 쉽게 표현한 지도 |
지 구 의 |
지구의 모양대로 구형으로 만든 것 |
⑹ 색도에 의한 분류
단색도 지도 |
흑색 (흑색 : 문화적, 인공특징물) |
2 색도 지도 |
흑, 청색 (청색 : 수계를 나타내며 바다, 호수, 강, 늪, 우물) |
3 색도 지도 |
흑, 청, 적색 (적색 : 주요도로 밀집된 건물지역 및 특수지물) |
5 색도 지도 |
흑, 청, 적, 녹, 갈색 (녹색 : 식생 상태를 나타내며 주로 삼림의 상태) |
6 색도 지도 |
흑, 청, 적, 갈색, 담청색 (갈색 : 등고선을 표시) |
(표 1) 지도의 종류
축 척 |
명 칭 |
색 도 |
전국매수 |
비 고 |
1 : 25,000 1 : 50,000 1 : 250,000 1 : 1,000,000 |
|
지형도 지형도 지세도 전 도 |
5색도 5색도 5색도 6색도 |
762매 239매 13매 1매 |
|
남한전역지도 | |
3) 지형도
⑴ 지형도의 정의 지형도는 정밀한 측량에 의하여 작성된 실측도로서 지표의 기준점인 삼각점, 수준점을 정해놓고 거리, 고도를 항공사진 촬영에 의하여 기본원도를 만든다.
우리들이 살고 있는 지표면의 모양을 등고선 도식이라 불리우는 기본 표현법에 의해 축적 투영한 지도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지형도는 거의 등고선 도식에 의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에는 그 외에 몇 가지 기복 투영법을 사용하고 있다.
⑵ 지형도가 갖추어야 할 조건 ① 지상의 숲이나 논밭, 도로와 건물 등이 상세하고 알기 쉽게 기록되어 있어야 한다. ② 지도의 축적률을 표시하여 거리와 각도가 실제와 일치하여야 한다. ③ 고저가 나타나 있고 언덕이나 계곡이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⑶ 지도 위에 지형을 표시하는 방법 ① 음 영 법 : 빛의 명암을 이용하여 그리는 방법 ② 영 선 법 : 경사면을 따라서 선을 그어 표시하는 방법 ③ 등고선법 : 같은 높이의 지점을 서로 연결하는 방법 ④ 이 외에 점등고선법, 계단식법 등이 있다.
4) 난외주기 및 기호
⑴ 난외주기(欄外註記 introductory remarks) : 정보를 제공받으려면 그 지도의 명칭과 그 주변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래서 지도에 대한 설명을 읽은 후에 지도를 해독하여야 한다. 지도를 정확히 읽기 위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전문적인 사항을 지도 欄外에 표기한 것으로 이런 한 설명은 지도의 아래 위 가장자리에 있으며 이를 난외주기라 한다.
① 도엽명과 도엽번호 : 도엽명은 지도의 상단 중앙에 있고, 보통 그 지역내의 현저한 문화적, 지리적 지형지물의 이름을 따서 표시한다. 도엽번호는 지도의 상단 가장자리 오른쪽에 있다.(그림2)
② 행정구역 색인도 : 해당지도의 도엽명과 인접한 관계를 표시한 곳으로, 지도 하단 우측에 있다. 사각형을 가로 세로로 각각 3등분하여 9개로 나누고, 해당 지도의 지도를 중앙에 넣고 도엽명과 도엽번호를 표기하고, 그 주위에 인접하는 지도의 명칭과 번호가 표기되어 있다.(그림4)
③ 축적 : 축적은 지상거리에 대한 도상거리의 비율로 지도의 상단 가장자리 왼편에 있다. 축적도표는 도상거리를 지상거리로 환산에 필요한 도표로 지도 하단 중앙에 위치에 있다.
④ 색인도 : 행정구역 색인도는 지도에 기재되는 많은 내용들 때문에 각 지역간의 경계를 해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기는데, 행정구역의 식별을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표시한 것이다. 직사각형 안에 행정 경계를 표시하고 행정단위별로 숫자를 표기해 도표 아래부분에 숫자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명칭을 설명해 놓았으며 지도의 하단 오른쪽에 있다.(그림5)
⑵ 일반기호(generality remarks) : 지구 표면상의 자연물 또는 인공물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간단한 표시 방법으로 지도상에 표시한 표준적인 그림을 말한다.
○ 일반기호의 색체 흑 색 - 문화적, 인공물특징물(도로, 가옥, 철도, 사당, 사원, 묘지, 고압선 등) 청 색 - 배수관계(바다, 호수, 강, 늪, 하천, 우물) 갈 색 - 기복 및 고지(등고선, 제방 등) 녹 색 - 식물관계(산림, 과수원,, 전답 등) 적 색 - 양호한 인공물(도로, 건물 밀집지대 및 특수지물)
⑶ 좌표 및 축적
① 좌표(Grid)의 정의 : 어떤 지점을 찾거나 가리키기 위해 지도상에 종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설정한 정방형 망상조직의 가상 선을 말한다.
② 좌표(Grid)의 종류
A. 지리좌표 : 지구표면의 어떠한 지점을 지시하고 발견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동서(위도선)와 남북(경도선)으로 그어진 2개의 선을 말하며, 가장 오래된 체계의 위치 결정법이다. 지리좌표는 만국 공통으로 사용하며, 측정단위는 도( ° ), 분('), 초(")이다.
가. 경도선(경선) : 일명 자오선이라고 하며 적도를 횡단하여 지구표면의 남북 양극을 통과하는 각도를 가진 선으로,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통과하는 본초자오선을기준으로 하여 동쪽으로 0°∼ 180°까지를 동경이라 하며, 서쪽으로 0°부터 180°까지를 서경이라 한다. 동경과 서경이 합쳐지는 경선을 날짜변경선이라 한다. 경도는 적도 상에서의 1°에 대한 지상거리가 110.322㎞가 된다. 남, 북극으로 이동함에 따라 그 거리는 작아지며, 양극에 도달하면 0킬로미터가 된다. 참고로 우리 나라 서울 부근의 경도는 1"가 24.4m 이다.
나. 위도선 : 적도 선에서 시작하여 평행하게 지구표면의 동서를 연결한 각도를 가진 선으로서, 적도를 기준으로 0°부터 남북을 각각 90°로 나누었다. 0°로부터 북반부의 90°까지를 북위라 하고, 0°로부터 남반부의 90°까지를 남위라 하며, 북(N) 또는 남(S)의 방향을 반드시 붙여 사용한다. 위도 1°에 대한 지상거리는 약 110.6㎞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약간씩 간격이 벌어진다. 우리 나라 서울 부근의 위도 1"는 30.8m 이다.
다. 지리좌표 읽는 법 : 위도를 먼저 읽고 다음에 경도를 읽는다. 예를 들어 수원의 위치를 지적하면 북위 37° 15', 동경 127° 12'으로 읽는다.
B. 평면 직각좌표 : 우리 나 지형도는 GAUSS상사 이중 투영법에 의한 평면 직각 좌표로 제작되었다. 우리 나 좌표원점은 아래의 3개의 원점을 사용한다.
C. UTM 좌표 : 이 좌표는 현재 대축적 및 중축적 지도에서 목표물의 위치를 결정하거나 거리를 측정하는데 편리하기 때문에 군사용으로 많이 사용하며 일명 군사좌표라고 한다. ③ 높이(고도)
A. 고도(高度)란 : 기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지점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기준면은 고도를 측정하는데 하나의 표준이 된다. 이 기준면은 평균해수면을 말한다.
B. 높이의 기준 가. 우리 나라 높이의 기준 : 인천만의 평균해수면 (단, 제주도는 제주만의 평균해수면) 나. 대한민국 수준원점 : 높이 26.687m (위치 : 인천시 인하공대 내)
C. 지도부호 가. 삼각점( ) : 삼각측량의 기준이 되는 점. 위도와 경도가 결정되어 있다. 나. 수준점( ) :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해발고도를 결정한 점. 도로변에 있다. 다. 표고점( × ) : 수준점에 의거, 정확한 높이를 측량해둔 지점
④ 축 적 지도는 지구표면의 일부를 일정한 비례관계로 도식화한 것이므로, 축적은 지상의 수평거리에 대한 도상의 수평거리의 비율을 말한다. 통상 분수로 나타내며 이를 축적(RF)이라 한다.
A. 도상거리 및 지상거리의 비
축적(RF) = |
도상거리(MD) |
1. 축적은 항상 도상거리를 1로 하여 나타낸다. 2. 축적은 어떠한 단위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3. R.F : Representative Fraction M.D : Map Distance , G.D : Ground Distance |
--------------- |
지상거리(GD) | |
1:25,000과 1:50,000 지형도는 지도 1장당 크기가 가로 53,5㎝, 세로 78.5㎝이다 이 안에 나타나는 지형의 면적은 1:25,000의 경우 11㎞×14㎞이고 1:50,000은 22㎞×24㎞이다. 가. 지상거리 = 도상거리×축적의 분모 즉, 축적 1:50,000 지도의 도상거리가 5㎝라면 지상거리는 5×50,000 = 250,000㎝ ( 2.5㎞)이다. 나. 도상거리 = (지상거리÷축적의 분모)×100 즉, 지상거리가 2,200m라면, 축적 1:50,000의 지형도에서 도상거리를 측정하면 2,200m / 50,000 × 100 = 4.4㎝가 된다.
B. 축적과 길이
|
구 분 |
축 척 |
도상거리 1㎝의 실제거리 |
실제거리 1㎞의 도상거리 |
대 축 척 |
1 : 2,000 1 : 5,000 1 : 10,000 1 : 20,000 1 : 25,000 1 : 50,000 |
20m (0.02㎞) 50m (0.05㎞) 100m (0.1㎞) 200m (0.2㎞) 250m (0.25㎞) 500m (0.5㎞) |
50㎝ × 20m = 1㎞ 20㎝ × 50m = 1㎞ 10㎝ × 100m = 1㎞ 5㎝ × 200m = 1㎞ 4㎝ × 250m = 1㎞ 2㎝ × 500m = 1㎞ |
중 축 적 |
1 : 75,000 1 : 80,000 1 : 100,000 1 : 125,000 1 : 250,000 1 : 500,000 |
750m (0.75㎞) 800m (0.8㎞) 1,000m ( 1㎞) 1,250m (1.25㎞) 2,500m (2.5㎞) 5,000m ( 5㎞) |
1.33 ㎝ 1.25 ㎝ 1 ㎝ 8 ㎜ 4 ㎜ 2 ㎜ |
소 축 적 |
1 : 1,000,000 |
10,000m (10㎞) |
1㎜ | |
|
5) 등고선(等高線, CONTOUR)
⑴ 등고선의 정의 : 지표의 서로 같은 높이를 연결한 선을 등고선이라 하며 지도 읽기를 쉽게 하기 위해 등고선은 주곡선, 계곡선, 간곡선, 조곡선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① 주곡선(主曲線) : 계곡선 사이에 있는 5등분한 4개의 등고선으로 계곡선보다 가는 선으로 그려져 있다. 가는 실선이며 지도에서 ‘주로 쓰이는 곡선’이기에 주곡선이다.
② 계곡선(計曲線) : 고도 0에서 시작하여 매 5번째의 등고선마다 그려진 굵은 선을 칭한다. 선 의 중간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입되어 있어 등고선의 고도를 쉽게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③ 간곡선 : 경사가 완만하여 주곡선 간격으로는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나타낼 수 없는 상세한 지형의 형태나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사용하는 갈색 점선이다. 보통 주곡선 간격의 1/2로 표시하며, 가는 점선이다.
④ 조곡선 : 지형이 아주 완만하거나 평탄한 지역에 작은 기복의 변화나 형상을 표현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짧은 점선으로 주곡선과 간곡선 간격의 1/2로 표시하는 보조 등고선으로 점선이다.
⑵ 등고선의 성질 ① 등고선상의 각 점은 모두 높이가 같다. ② 등고선은 지표면을 수평으로 자른 면이기 때문에 폐곡선이다. ③ 상하의 등고선끼리 교차하거나 끊어지지 않는다. 즉 어떤 등고선이든지 지도상에 그려진 등고선을 따라가면 한 장의 지형도에서 도곽선으로 인하여 끊기는 일이 있어도 반드시 원점으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간곡선이나 조곡선은 그렇지 않다. ④ 등고선의 간격이 좁으면 경사가 급하고, 간격이 넓으면 경사가 완만하다. ⑤ 등고선으로 표현이 불가능한 지형은 변형지 기호로 표시한다.
⑶ 등고선 간격 : 등고선 간격은 축적에 따라 다르며 난외주기에 명시되어 있다.
|
<도표> 등고선 구분과 등고선 간격
축척 |
구분 |
계곡선 |
주곡선 |
간곡선 |
조곡선 |
1 : 5,000 1 : 10,000 1 : 25,000 1 : 50,000 1 : 250,000 |
10 m 25 m 50 m 100 m 500 m |
5 m 5 m 10 m 20 m 100 m |
1 m 2.5 m 5 m 10 m |
0.5 m 1.5 m 2.5 m 5 m |
선의모양 |
------- |
------- |
-- -- -- |
-- -- -- | |
⑷ 등고선 간격과 경사
① 경사도 : 경사도란 경사의 최고 높이와 최저 높이간의 차, 즉 수직 거리를 경사를 이루고 있는 부분의 수평거리로 나누어 산출한 값을 말한다. 경사도 표시방법으로는 퍼센트법과 도수법이 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경사도 = 수직거리 / 수평거리이다. |
② 등고선에 의한 산의 경사도 측정
|
a 직선거리 : 자로 재어 안다. b 고 도 차 : 등고선을 읽어 안다. c 사면거리 : a²+ b²= c²이라는 공식으로 푼다. θ경 사 도 : tan θ = b / a 라는 삼각함수로 푼다. |
예) A지점과 B지점간의 높이의 차 b는 200m, A지점과 B지점간의 직선거리는 지도상에서 계측한 도상거리를 실지거리로 환산하면 되는데, 도상거리인 a가 0.9cm라 한다면 5만 지형도의 경우 실거리는, 450m가 된다. 따라서
tanθ = b / a = 200 / 450 = 0.4444
삼각함수표에서 tan 0.4444 는 24°가 되므로 A지점과 B지점간의 평균경사각은 24°가 된다.
|
< 도표> 등고선 간격과 경사도 관계
주곡선간격 ( 계곡선간격 ) |
도상 1㎝당 주곡선갯수 ( 그림) |
경사도( °) |
0.2 mm ( 1 mm ) 0.4 mm ( 2 mm ) 0.5 mm ( 2.5 mm ) 0.6 mm ( 3 mm ) 0.7 mm ( 3.5 mm ) 0.8 mm ( 4 mm ) 1.0 mm ( 5 mm ) 1.1 mm ( 5.5 mm ) 1.2 mm ( 6 mm ) 1.5 mm ( 7.5 mm ) 2.0 mm ( 10 mm ) 2.2 mm ( 11 mm ) 3.0 mm ( 15 mm ) 4.6 mm ( 22 mm ) 5.0 mm ( 25 mm ) 10 mm ( 50 mm ) |
50 25 20 16.7 14.2 12.5 10 9 8.3 6.7 5 4.5 3.3 2.2 2 1 |
64° 45° 38° 33.5° 30° 27° 22° 20° 18° 15° 11° 10° 7.5° 5° 5° 2.5° |
③ 지형도에서 등고선 및 경사의 특징 가. 등고선이 조밀하면 경사가 심하고, 등고선 간격이 넓으면 경사는 완만하다. 나. 등고선 밀도와 경사도의 관계는 1:25,000이나 1:50,000 지도에서 공통으로 적용된다. 다. 1:50,000 지도의 도상 1cm(실제거리 500m)에 고도차이 250m 이상인 경우(계곡선 간격 4mm이내, 혹은 1cm에 주곡선 개수 13개 이상)는 암반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일 가능성이많다. 라. 지형도상에 등고선으로 표현할 수 있는 토지의 최대 경사는 0.2mm이하이다. 국립지리원 도식규정에도 주곡선 간격이 0.2mm이하일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다. 마. 주곡선의 간격이 0.2mm이면 1:25,000 , 1:50,000지형도 공히 토지의 경사는 64°가 되는데 토지의 경사가 64°이상이 되면 절벽으로 간주되어 특수지형 기호로 표시한다. |
⑸ 개념도(지성선, 地性線) : 개념도를 전문용어로는 지성선도(地性線圖)라고 하는데, 산줄기의 흐름을 굵은 선만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등고선을 잘 읽지 못하는 사람도 복잡한 산의 지세를 알기 쉽고 산의 개념을 파악하는데 편리하다.
○ 마루금(∩능선) - 지도상에 능선을 따라 그은 선을 말한다. ○ 물 길(∪계곡) 등고선은 마루금에서 방향을 바꾸며, 마루금은 한 점에서 여러 방향으로 나누어진다.
⑹ 채 단(彩丹) : 채단(단채)이란 등고선에 색칠하는 일을 말한다. 심이 단단한 색연필을 써서 1:50,000 지도의 경우 100m간격으로 낮은 쪽은 녹색계통, 점차 높아질수록 갈색계통을 칠해 나간다. (초록→연두→노랑→갈색→고동) |
|
|
| |
");
}
else {
document.writeln(" ");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BE%CB%C6%C4%C0%CE"; rurl = "http://cafe145.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MyAvatar?TYPE=POPUP&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친구 앨범 function popupAlbum() { mname = "%BE%CB%C6%C4%C0%CE"; rurl = "http://cafe145.daum.net/reload.html";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Album?TYPE=POPUP&EUSERID=-8ELmM1RZsw0&MNAME="+mname+"&URL="+rur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찜목록 function popupZim() { url = "http://mall.avatar.daum.net/cgi-bin/ViewFriendWishList?TYPE=POPUP&EUSERID=-8ELmM1RZsw0&MNAME=%BE%CB%C6%C4%C0%CE&URL=http://cafe145.daum.net/reload.html" /*window.open*/(url, '', 'toolbar=0,status=0,width=610,height=402,scrollbars=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