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이야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대중에게 널리 알려서 그 상품을 구매하도록 설득하는 것
잠재되어 있는 고객을 환기시켜 상품의 구매를 촉진하는 것
1. TV광고
시각, 음향, 동작을 결합하여 상품을 실제대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구사되는 영상의 수사력으로 상업정보의 전달뿐 아니라 설득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비록 짧은 시간이지만 일정기간동안 계속 같은 내용이 반복됨으로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광고메시지표현에 매우 섬세한 곳까지도 주의해야한다.
실물전시와 같은 시각효과와 자기중심적 판단을 하게 되는 현실성이 수용자내부에 인식도를 높여 확고한 위치를 점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장점
시청각동시성:
임장감각성:
체험감각성:
친근성-3B:
특수효과성:
신뢰성:
잠재이미지형성:
현재진행성:
적시성:
① 광고의 종류
․프로그램 광고:광고주가 특정 프로그램의 스폰서로 참여하여 그 프로그램 속에 광고메시지를 삽입
고정시청자와 정기적인 접촉을 확보하여 본 프로그램이 시청자로부터 성공적인 호응을 얻으면 스폰서가 된 기업도 함께 호응을 얻어 친근감, 신뢰감을 쌓을 수 있다.
․스파트 광고: 프로그램 중간에 삽입되는 광고, 프로그램 중간시간을 스테이션 브레이크라고 한다
․로컬광고: 지역 방송국을 이용해서 하는 광고로 원하는 지역을 골라서 할 수 있다.
․네트워크광고: 전국에 방송망을 가지고 있는 방송본국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광고등급: SA/A/B/C
․최대허용 광고시간: 방송순서시간의 8/100
․스팟광고: 매시간당2회이내/매회3건이내/매회광고시간은 1분30초이내
․자막광고: 매시간당6회이내/1회마다 10초이내/자막의 크기는 화면의 1/4이내
․중간광고: 스포츠 실황중계를 제외하고는 금지
2. 라디오광고
광고음악의 구분
대중들이 흔히들 말하는 cm song은 광고에 나오는 모든 음악들로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
하지만 이것은 분명히 구분되어진다. 광고에 쓰이는 음악은 크게 3가지로 나뉘는데
<bgm>은 background music이란 말로 광고의 배경음악으로 쓰이는 것이다.
<징 글>은 어떠한 특정 브랜드네임을 광고에서 칭할 때 운율이 있게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002데이콤, 케이에프 씨 등을 볼 수 있다.
<cm song>은 commercial message song. 즉 상업적 메시지가 담겨있는 노래란 뜻이다.
이것은 로고송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징글과 비슷하게 느껴지지만 브랜드 네임만을 강조하는 징글과 특정 광고를 위해 특별한 가사가 있는 곡을 작곡하거나,개사한 경우인 cm song과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 또 다른 시각으로 구분을 해보면 같은 cm 송이지만 라디오 광고에서는 동영상과 같이 보여 지지 않는 단점이 있어 청각에 의존한 이해가 요구된다. 이에 이미지와 음악의 적절한 조화가 되는 tvcm송보다는 음악적인 부분도 물론이거니와 더욱더 정확한 메시지를 필요로 한다.
․장점: 청취의 개인화로 개인적 소구력이 강하다. 반복효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메시지의 빈도수가 높다. 신속한 전달광고에 적합하다.
CM송으로 친숙한 느낌이 든다.
․단점: 청각에만 의존해야한다. 청취자가 임의로 의미를 혼동할 수 있다.
많은 이에게 한꺼번에 전달할 수 없다.
3.잡지광고
특정한 제목을 가지고 월간, 격월간, 계간 등 일정한 간격으로 장기간에 걸쳐 간행되는 출판물
주간이상의 간격으로 발행되는 서적형식의 정기 간행물로 사상 전달을 목적으로 한다.
각호마다 연관성이 있으며 특징이 있다.
장점
자료보전적 항구성-발행기간이 한 주일,한 달 또는 몇 달에 걸쳐 간행되는 까닭
심층성-자유로운 지면의 시간적인 여유등으로 다각적인 심층적 보도, 분석의 접근이 가능
목표수용자의 정확성-다양한 각 잡지들의 성격에 따라 각기 분할된 독자층을 확보
높은 회독률성-한 독자가 읽은 잡지는 그 가족 및 주위사람들에게도 읽혀져 때로는 상품구매의 유발의 권유자
신뢰성-대체로 정기구독되는 경우가 많음
설득성-독자가 장소에 구애됨이 없어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어서 심리적 저항감을 덜 느낌
상품의 재현성-다양한 색채로 상품의 정확한 이미지표현이 가능
경제성-대부분 전국 독자를 상대로 배포
정보전달 쌍방향성-광고게재시 접지를 붙일수 있는 매체
구매자 확보성-독자층은 수입수준이 높고 제품정보나 서비스에 관한 반응이 민감하여 구매력이 강하다
<잡지광고의 종류>
․표지1면광고-앞표지에 실리는 광고
․표지2면광고-앞표지의 내면광고로 표지3면보다 효과가 크고 게재료가 비싸다.
․표지3면광고-뒤표지의 내면광고 //표지대면 광고-표지2,3면에 대면하는 페이지에 싣는 광고
․표지4면광고-뒤표지에 실리는 광고로 가장 효과가 크고 게재료가 제일 비싸다
4. 신문광고
① 신문의 종류
․발행 주기 : 일간신문-조간․석간, 주간신문
․배포 지역 : 전국지, 불록지-몇 지방을 포함하는 신문, 지방지
․대 상 : 일반지-보도신문, 경제신문, 스포츠신문,
특수지-정당이나 노조 등 각종 단체의 기관지,학생신문, 어린이신문, 스포츠, 가요,
시,음악. 미술 등의 특수 그룹 신문
② 신문광고의 종류
․규격에 의한 분류
1단-3.4㎝ 전면광고(53.5㎝ 38.5㎝), 전7단광고, 반7단광고, 전5단광고, 반5단광고 등)
․내용에 의한 분류
<영업광고> 상품, 서비스, 기업광고(기업의 이미지. 규모, 사회적 사명, 기술의 우위성)
<비영업광고>의견광고, 법. 고지광고, 정치. 종교광고등
․지면 활용에 관한 분류
<티저(Teaser)광고>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주의를 집중시키는 방법의 광고. 신상품 소개 시에
많이 사용한다.
<멀티(multi) 광고>
1.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품을 1개 지에 1면 이상 연속해서 게재하는 형태
2.전달하여야 할 소구점이 여러 개이거나 전달하여야 할 정보가 많은 경우
3.구성적. 내용적 요소 또는 상품의 소개 등을 한 면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4.경쟁사의 제품보다 이미지를 견실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③ 신문광고의 구성요소
<조형적 요소>
․일러스트레이션,비쥬얼(그림, 삽화. 만화. 컷, 디자인등 회화적인 부분통칭)
․트레이드마크, 브랜드
․코퍼레이트심벌, 로고타입
․보더라인
<내용적 요소>
헤드라인
․전체광고 내용을 함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
․광고에서 독자가 얻게되는 구체적 정보의 도입부이며 광고의 아이디어와 직결되고 소구의
키포인트가 되는 광고의 핵 바디카피로의 자연스러운 유도 역할을 해야한다.
오버라인
오버헤드(Over-head), 또는 리드인(Lead-in)이라고 불리는데 헤드라인 바로 위에 위치하면서
헤드라인보다 작은 활자체로 써 있는 문안을 말한다.
서브헤드라인
․1-3줄의 짧은 어구로 보디카피의 바로 앞에서 본문의 내용을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내므로
헤드라인을 보완, 본문의 주요점을 강조한다.
보디카피
․광고의 구체적 정보를 전달한다. 카피 구성요건-흥미성, 단순성, 강조성, 설득성
도입, 중간, 결말의 구성형태
도입-헤드라인에서 끌어들인 독자의 관심확대
중간-광고의 컨셉을 소구하기 위해 사실 명시, 상품에 대한 욕망 ,신뢰 환기
결말-구매행동을 독촉, 반복하여 컨셉강조
일러스트레이션
그림이나 사진으로 나타나는 시각적인 요소를 비주얼이라고 한다.헤드라인과 함께 독자를 광고로 이끄는 역할을 한다. 광고의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헤드라인, 바다카피와 비주얼은 서로간에 적절한 통일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캡 션 -일러스트나 사진주위에 설명하는 짧은 글로 상황을 객관적으로 정확하게 묘사하는 특성
슬로건-광고에서 반복하여 사용하는 간결하고 힘있는 말, 문장으로 기업의 이미지나 제품이 추구하는 바를 알려 구매활동을 촉진하는 것이 목적
리 드 -본문도입부분에 큰글자로 구성한다(주목성, 조형성고려)
블러브-광고물 중 등장하는 인물의 입에서 문안이 흘러나오는 식으로 처리한 만화적인 형태의 카피를 말한다. 블러브가 큰 활자체로 광고의 머리부분에 자리잡아 헤드라인 대신 쓰이는 경우도 있다.
로고타입-회사명이나 상품명, 독특한 활자체로 만들어진 등록상표 등을 가리킨다.
이 자체가 카피가 될 수있다.

0414 4대광고디자인.hwp
신문.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