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대림 제2, 3주일 말씀 전례(‘나해’ 제1독서)를 통해 전달되는 예언자 이사야의 메시지와 관계없는 것은?
① 예언자는 유배로 단련 받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위로의 복음’을 선포한다.
② 예언자는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로 세례자 요한의 탄생을 예고한다.
③ 시련을 통해 죄에서 정화된 이들은 왕권을 행사하러 이 땅에 오실 주님의 ‘길’을
준비해야 한다.
④ 예언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활동을 예표하며, 주님의 은혜의 해를 선포한다. |
02 ‘하느님 나라로의 초대’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하느님 나라는 비유를 통해 전해지며, 이를 잘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열려 있다.
② 예언자들을 통해 이스라엘에 전해진 이 메시아의 나라는 모든 민족들을 초대한다.
③ 그리스도께서는 말씀과 징표 그리고 제자들의 파견을 통해 사람들을 하느님
나라로 불러 모으신다.
④ 하느님 나라는 가난한 이들의 것이며, 죄인들에까지도 자비로이 열려 있다. |
03 하느님 나라의 ‘현재성’과 ‘미래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하느님 나라가 갖는 ‘미래성’은 ‘현재성’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 있다.
② 현재 일어나는 ‘시대의 징표’를 보아, 하느님 나라 도래의 특정 시점을 미리 알 수
있다.
③ 하느님 나라는 현재가 이어지고 이어져 그 축적된 힘으로 실현되는 미래다.
④ 하느님 나라는 ‘이미’ 도래했으나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
04 하느님의 ‘다스림’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아닌 것은?
① ‘하느님 나라’의 번역에 쓰인 그리스어 ‘바실레이아’는 ‘다스리다’와 ‘왕’의 뜻을
지닌다.
② 하느님 나라를 ‘공간적’으로 보아 왕이 다스리는 땅으로 이해할 수 있다.
③ 하느님 나라는 완성을 지향하는 개념이지, 영토를 넓히는 정복을 지향하는
개념이 아니다.
④ 하느님을 왕으로 인정하면 곧 그분의 다스림을 받아들인다는 뜻이 된다. |
05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하느님의 나라를 설명하기 위한 표상이 아닌 것은?
① 누룩 ② 하늘의 별 ③ 겨자씨 ④ 땅에 뿌린 씨 |
06 마르코 복음 1장에서, 예수님이 하느님 나라에 들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것은?
07 하느님 나라의 구원적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예수님이 선포한 하느님 나라 메시지의 핵심은 ‘하느님 아버지의 심판’에 대한
계시다.
② 하느님 나라의 구원은 일차적으로 ‘죄의 용서’와 하느님의 ‘자비하심’을 만나는
것이다.
③ 기적과 치유는 하느님 나라의 사건을 나타내는 유일한 구원적 표징이다.
④ 하느님 나라의 도래란 하느님의 ‘사랑’이 세상에 현존하고, 지배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
08 하느님 나라의 구원적 성격으로 제시할 수 없는 것은?
① 최후 심판 ② 죄의 용서 ③ 하느님의 자비 ④ 영원한 생명 |
09 ‘메시아’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 용어는 신약에 와서 인류의 구세주로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칭호 중
하나가 된다.
② 이 말은 ‘기름부음받은이’를 뜻한다.
③ ‘그리스도’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메시아’의 그리스어 번역이다.
④ ‘기름부음을 받은 자’ 즉, 구약의 도유된 왕을 전적으로 가리키는 용어다. |
10 구약성경에서 하느님의 구원사업을 이루기 위한 ‘기름으로 도유된 자’로 등장하는 인물이 아닌 것은?
11 구약시대 이스라엘 백성의 ‘메시아사상’에 기원이 된 것은?
① 창조설화 ② 판관의 등장 ③ 하느님의 계약 ④ 출애굽 사건 |
12 구약성경에서 ‘메시아사상’에 가장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사건은?
① 이스라엘 왕들의 폭정과 우상숭배 ② 나탄의 예언
③ 바빌론 유배 ④ 다윗 왕조의 탄생 |
13 다음 중 ‘주님의 종’(이사 42,1-7 참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① 주님의 종은 기름으로 도유된 참된 메시아다.
② 그의 사명은 죄인들의 속죄 제물로 자기의 생명을 바쳐 백성을 구하는 것이다.
③ 그는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는 ‘예언자’의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④ 그가 곧 고통 받는 종, 수난 받는 메시아다. |
14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의 참된 메시아적 권위가 드러나는 행위와 거리가 먼 것은?
① 사랑과 봉사 ② 섬김 ③ 성부께 대한 순종 ④ 정치적 해방자 |
15 구약성경에 드러나는 ‘희년’의 기원(레위 25장 참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매 일곱째 해는 안식년이며, 안식년을 일곱 번 지낸 다음해, 곧 50년째 되는 해가
‘희년’이다.
② 희년의 의미는 안식년의 연장선에서 찾아야 하고, 둘은 동일한 예식 형태를 취한다.
③ 희년은 주님께서 ‘본래 땅의 소유자’라는 데 뿌리를 두고 있다.
④ 희년은 숫양의 뿔을 불어 해방을 알린다는 사실에서 축제의 의미가 깊게 풍긴다. |
16 신약성경에서 예수님이 선포하신 희년의 의미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예수님 희년 선포의 전적인 수신자는 오직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이다.
② 희년은 모든 잘못과 죄의 용서가 드러나는 하느님 나라의 시작을 의미한다.
③ 희년 선포를 통해 그 구원의 기쁨이 ‘50년마다’ 실현된다.
④ 희년을 통해 인간과 공동체가 당한 억눌림으로부터 조건 없는 해방이 선포된다. |
17 교회의 희년 거행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오늘날 교회는 상징적이고 신학적인 의미에서 50년마다 희년을 기념한다.
② 교회 희년은 영적으로 새로 태어나는 해이며, 개인적으로는 그리스도와 만나는 해다.
③ 교회는 희년 선포를 통해 전대사를 부여함으로써 ‘지은 죄’를 모두 사해 준다.
④ 교회가 실천해야 할 희년의 본뜻은 하느님과 일치 그리고 전 인류와 일치를 이루는 것이다. |
18 교회의 희년을 구성하는 요소에 해당하는 설명을 바르게 연결하시오.
① 용서와 회개 ㉠ 일상에서 벗어나 자기 자신을 되찾고 영적으로
새로 태어나는 체험
② 순 례 ㉡ 하느님께서 거저 주시는 사랑으로 인한 용서의 결과로 하느님과
형제에게 되돌아가는 것
③ 대 사 ㉢ 잠벌을 면제 받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앙을 돈독히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신앙을 실천케 함
19 한국천주교 주교회의는 ‘인권 주일’인 대림 제2주일을 시작으로 한 주간을 (‘ ’)으로 지내기로 결정했다. 빈칸에 들어갈 말을 고르시오.
① 사회 복지 주간 ② 생명 주간 ③ 자선 주간 ④ 사회 교리 주간 |
20 사회 교리의 형성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① 구약성경은 십계명을 통해 개인과 공동체와 하느님의 관계를 가르쳤다.
② 그리스도의 강생과 파스카 신비는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까지 포함하는 인류의
구원을 실현했다.
③ 교부들은 신앙의 관점에서 당대의 사회적 물음에 응답함으로써 삶의 길을 제시했다.
④ 예수님의 활동들은 계명 준수와 개인기도 생활이 공동체에 대한 선행보다 우선함을 보여 준다. |
21 교회가 ‘인간 존엄성 증진의 의무, 공공질서와 평화, 사회정의의 기본기준’과 같은 공동선 증진의 의무를 국가의 기본 의무로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된 것은?
22 다음 중 가톨릭 사회 교리의 효시로 꼽히는 교황 회칙을 고르시오.
① 레오 13세의 <새로운 사태> ② 요한 23세의 <지상의 평화>
③ 바오로 6세의 <민족들의 발전> ④ 요한 바오로 2세의 <노동하는 인간> |
23 사회 교리의 발전에 있어 ‘교회와 정치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을 모두 고르시오.
① 교회와 정치 공동체는 서로 같은 사명을 지니고 있기에, 교회는 국가 정치에 참여할 수 있다.
② 교회는 인간의 기본권과 영혼들의 구원이 요구할 때에는 정치 질서에 관한 일에
대해서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 것은 정당하다.
③ 교회가 직접적으로 정치활동에 개입하지는 않더라도 사회의 불의와 폭력을 고발할 의무가 있다.
④ 사회 교리는 정치적 체계나 이념을 제시하려는 것으로, 참된 인간 발전과 인권을
옹호한다. |
24 사회 교리의 ‘기본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인간 존엄성의 근거는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되었다는 데 있다.
② 공동선의 원리에 따르면 개인의 권리들이 본질적으로 무엇보다 중요하다.
③ 보조성은 상위단체가 작은 단체의 자율성과 주체성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는 교회
가르침에서 출발한다.
④ 연대성의 원리는 모든 사람이 상호 의존과 유대를 바탕으로 서로 책임을 지고
돌보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
25 회칙 <진리 안의 사랑>이 가르치는 ‘인간과 자연환경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① 환경은 하느님께서 모든 이에게 주신 선물로서, 이를 사용하는 우리는 무조건적인
자율성을 가진다.
② 인간을 비롯해 자연은 단순한 우연이나 진화 결정론의 결실이다.
③ 신앙인은 자연 안에서 하느님 창조활동의 놀라운 결과를 깨달아야 하며, 자연을
이용해서 인간의 정당한 욕구를 충족시켜서는 안 된다.
④ 자연을 인간 자신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보는 것은 진정한 발전에 위배된다. |
정답
01.② 02.① 03.② 04.② 05.② 06.② 07.① 08.① 09.④ 10.②
11.③ 12.③ 13.① 14.④ 15.② 16.②④ 17.①③ 18.①-㉡, ②-㉠, ③-㉢
19.④ 20.④ 21.② 22.① 23.①④ 24.② 25.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