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6. 秦始皇本紀(진시황본기)
01
秦始皇帝者, 秦莊襄王子也. 莊襄王爲秦質子①於趙, 見呂不韋姬, 悅而取②之, 生始皇. 以秦昭王四十八年正月生於邯鄲. 及生, 名爲政, 姓趙氏. 年十三歲, 莊襄王死, 政代立爲秦王.
진시황제자, 진장양왕자야. 장양왕위진질자①어조, 견려불위희, 열이취②지, 생시황. 이진소왕사십팔년정월생어한단. 급생, 명위정, 성조씨. 연십삼세, 장양왕사, 정대립위진왕.
[解釋] 秦始皇帝는 秦나라 莊襄王의 아들이다. 장양왕이 인질이 되어 趙나라에 있을 때 呂不韋의 첩을 보고 좋아하여, 그녀를 아내로 맞이하여 始皇[政]을 낳았다. 시황은 秦昭王 48년(기원전 259년) 정월에 邯鄲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 이름을 政, 성을 趙라고 했다. 13세 때 장양왕이 죽자, 政이 왕위를 이어 秦王이 되었다.
[註解] ①質子 : 인질로 보낸 아들. 당시 장양왕은 소양왕의 손자의 신분으로 조나라에 인질로 가 있었다. ②取 : 娶와 같다. 아내를 맞이하다. 장가들다.
當是之時, 秦地已并巴、蜀、漢中, 越宛有①郢, 置南郡矣;北收上郡以東, 有河東、太原、上黨郡;東至滎陽, 滅二周②, 置三川郡.
당시지시, 진지이병파、촉、한중, 월완유①영, 치남군의;북수상군이동, 유하동、태원、상당군;동지형양, 멸이주②, 치삼천군.
[解釋] 이 무렵 진나라의 영토는 이미 巴、蜀、漢中을 합병하고, 宛을 넘어 초나라 도읍 郢을 차지하여 南郡을 두었다. 북쪽으로는 上郡 동쪽을 거두어 河東、太原、上黨을 점거했으며, 동쪽으로는 滎陽에 이르러 東周와 西周를 멸망시키고 三川郡을 설치했다.
[註解] ①有 : 점유하다. ②二周 : 東周와 西周.
呂不韋爲相, 封十萬戶, 號曰文信侯. 招致賓客游士, 欲以并天下. 李斯爲舍人. 蒙驁、王齮、麃公等爲將軍. 王年少, 初卽位, 委①國事大臣.
여불위위상, 봉십만호, 호왈문신후. 초치빈객유사, 욕이병천하. 이사위사인. 몽오、왕기、포공등위장군. 왕년소, 초즉위, 위①국사대신.
[解釋] 呂不韋를 재상으로 삼고 10만 호에 이르는 봉지를 하사하고 文信侯로 불렀다. 빈객과 유세객들을 초빙하여 천하를 병탄하고자 했다. 李斯가 여불위의 舍人이 되었다. 蒙驁、王齮、麃公 등이 장군이 되었다. 진왕은 어린 나이로 막 즉위한 터라 국사를 대신들에게 맡겼다.
[註解] ①委 : 위탁하다. 맡기다.
02
晉陽反, 元年, 將軍蒙驁擊定之. 二年, 麃公將卒攻卷, 斬首三萬. 三年, 蒙驁攻韓, 取十三城. 王齮死. 十月, 將軍蒙驁攻魏氏暢、有詭. 歲①大饑.
진양반, 원년, 장군몽오격정지. 이년, 포공장졸공권, 참수삼만. 삼년, 몽오공한, 취십삼성. 왕기사. 십월, 장군몽오공위씨창、유궤. 세①대기.
[解釋] 晉陽에서 반란이 일어난 진왕 정 원년(기원전 246년), 장군 몽오가 공격하여 난을 평정했다. 진왕 정 2년(기원전 245년), 麃公이 군사를 거느리고, 卷邑을 공격하여 3만 명을 참수했다. 진왕 정 3년(기원전 244년), 몽오가 韓나라를 공격해 13개 성을 빼앗았다. 왕기가 죽었다. 10월, 장군 몽오가 魏나라의 暢、有詭를 공격했다. 이해에 큰 기근이 들었다.
[註解] ①歲 : 수확. 작황.
四年, 拔①暢、有詭. 三月, 軍罷. 秦質子歸自趙, 趙太子出歸國. 十月庚寅, 蝗蟲從東方來, 蔽天. 天下疫. 百姓內②粟千石, 拜爵③一級. 五年, 將軍驁攻魏, 定酸棗、燕、虛、長平、雍丘、山陽城, 皆拔之, 取二十城. 初置東郡. 冬雷.
사년, 발①창、유궤. 삼월, 군파. 진질자귀자조, 조태자출귀국. 십월경인, 황충종동방래, 폐천. 천하역. 백성납②속천석, 배작③일급. 오년, 장군오공위, 정산조、연、허、장평、옹구、산양성, 개발지, 취이십성. 초치동군. 동뢰.
[解釋] 진왕 정 4년(기원전 243년), 暢、有詭를 점령했다. 3월에 진군을 멈췄다. 진나라의 인질이 조나라에서 돌아왔고, 조나라의 태자도 조나라로 돌아갔다. 10월 경인일, 메뚜기 떼가 동쪽에서 날아와 하늘을 덮었다. 천하에 전염병이 나돌았다. 식량 천 섬을 바치는 백성에게는 작위를 한 등급 올려주었다. 진왕 정 5년(기원전 242년), 장군 몽오가 魏나라를 공격해 酸棗、燕、虛、長平、雍丘、山陽城을 평정해 모두 함락시키고 20개의 성을 빼앗았다. 처음으로 東郡이 설치되었다. 겨울에 천둥이 쳤다.
[註解] ①拔 : 점령하다. 공격해 빼앗다. ②内 : 納과 같다. 바치다. 들이다. ③拜爵 : 작위를 주다.
六年, 韓、魏、趙、衛、楚共擊秦, 取壽陵. 秦出兵, 五國兵罷. 拔衛, 迫①東郡, 其君角率其支屬徙居野王, 阻②其山以保魏之河內. 七年, 彗星先出東方, 見北方, 五月見西方. 將軍驁死. 以攻龍、孤、慶都, 還兵攻汲. 彗星復見③西方十六日. 夏太后死.
육년, 한、위、조、위、초공격진, 취수릉. 진출병, 오국병파. 발위, 박①동군, 기군각솔기지속사거야왕, 조②기산이보위지하내. 칠년, 혜성선출동방, 견북방, 오월견서방. 장군오사. 이공룡、고、경도, 환병공급. 혜성부현③서방십륙일. 하태후사.
[解釋] 진왕 정 6년(기원전 241년), 韓、魏、趙、衛、楚나라가 함께 진나라를 공격해 壽陵을 점령했다. 진나라 군대가 출병하자 다섯 나라 군대가 패하여 달아났다. 진나라가 衛나라를 점령하고 동군으로 닥치자 衛나라 군주 角이 일족을 거느리고 野王으로 이주하여 험준한 산세에 의지한 채 魏나라 河內 지역을 지켰다. 진왕 정 7년(기원전 240년), 혜성이 먼저 동쪽에 나타났다가 북쪽에 나타났고, 5월에는 서쪽에 나타났다. 장군 몽오가 죽었다. 龍、孤、慶都를 공격하던 군대를 돌려 魏나라의 汲을 공격했다. 혜성이 다시 서쪽에 16일 동안 출현했다. 夏太后가 죽었다.
[註解] ①迫 : 닥치다. 秦나라가 朝歌와 濮陽을 함락시키자, 衛나라 元君이 그의 종족을 거느리고 野王으로 옮겨가 사니, 산을 막고서 魏나라의 河內 지역을 지켰다. ②阻 : 의지하다. ③見 : 現과 같다. 출현하다.
八年, 王弟長安君成蟜將軍擊趙, 反, 死屯留, 軍吏皆斬死, 遷其民於臨洮. 將軍壁死①, 卒屯留、蒲鶴反, 戮其尸②. 河魚大上, 輕車重馬東就食.
팔년, 왕제장안군성교장군격조, 반, 사둔류, 군리개참사, 천기민어림조. 장군벽사①, 졸둔류、포학반, 육기시②. 하어대상, 경거중마동취식.
[解釋] 진왕 정 8년(기원전 239년), 진왕의 동생 長安君 成蟜가 군대를 이끌고 趙나라를 공격했을 때 반란을 일으켜 屯留에서 죽었고, 군관들도 모두 참수 당했으며, 둔류의 백성들을 臨洮로 이주시켰다. 성교의 장군 壁은 죽었으며, 둔류의 사병으로 반란을 일으킨 蒲鶴의 시체의 목을 벴다. 황하가 넘쳐 물고기들이 육지로 밀려나오자 사람들은 가벼운 수레와 말을 몰아 먹을 것을 찾아 동쪽으로 갔다.
[註解] ①將軍壁死 : 토벌군으로 갔던 성교의 장교 벽이 죽었다. 壁은 장군의 이름. ②戮其尸 : 戮尸. 이미 죽은 사람의 시체를 다시 목을 베는 형벌.
03
嫪毐封爲長信侯. 予之山陽地, 令毐居之. 宮室車馬衣服苑囿①馳獵恣②毐. 事無小大皆決於毐. 又以河西太原郡更爲毐國.
노애봉위장신후. 여지산양지, 영애거지. 궁실거마의복원유①치렵자②애. 사무소대개결어애. 우이하서태원군경위애국.
[解釋] 嫪毐가 長信侯에 봉해졌다. 山陽 땅을 주어 노애를 그곳에 살도록 했다. 집, 마차, 옷, 苑囿, 사냥 등을 노애 마음대로 하게 했다. 크고 작은 모든 일을 노애가 결정했다. 또 河西 太原郡을 노애의 봉국으로 바꾸었다.
[註解] ①苑囿 : 짐승과 조류를 기르던 곳. ②恣 : 마음대로 하게 하다.
九年, 彗星見, 或竟天①. 攻魏垣、蒲陽. 四月, 上宿雍. 己酉, 王冠②, 帶劍. 長信侯毐作亂而覺, 矯③王御璽④及太后璽以發縣卒⑤及衛卒、官騎、戎翟君公⑥、舍人, 將欲攻蘄年宮爲亂.
구년, 혜성현, 혹경천①. 공위원、포양. 사월, 상숙옹. 기유, 왕관②, 대검. 장신후애작란이각, 교③왕어새④급태후새이발현졸⑤급위졸、관기、융적군공⑥、舍人, 장욕공기년궁위란.
[解釋] 진왕 정 9년(기원전 238년), 혜성이 나타나서 하늘을 가로지는 혜성도 있었다. 魏나라의 垣과 蒲陽을 공격했다. 4월, 주상이 雍에 머물렀다. 기유일, 왕은 冠禮를 치르고 검을 찼다. 장신후 노애가 반란을 일으키려다 들통이 나자 왕의 옥새와 태후의 인장을 도용하여 옹현의 군사, 진왕의 호위군사, 관의 기병, 戎翟의 수령 및 가신들을 동원해 蘄年宮을 공격하는 난을 일으켰다.
[註解] ①竟天 : 하늘을 가로지르다. 竟은 처음부터 끝까지. ②冠 : 고대 귀족의 자제가 만 20세가 되면 성년이 되었다는 표시로 관을 쓰는 의식. ③矯 : 속이다. 도용하다. ④御璽 : 玉璽. ⑤縣卒 : 도성의 군사. 縣은 고대 왕의 관할지. ⑥君公 : 首領.
王知之, 令相國昌平君、昌文君發卒攻毐. 戰咸陽, 斬首數百, 皆拜爵, 及宦者皆在戰中, 亦拜爵一級.
왕지지, 영상국창평군、창문군발졸공애. 전함양, 참수수백, 개배작, 급환자개재전중, 역배작일급.
[解釋] 왕이 이를 알고 재상 昌平君과 昌文君에게 군사를 일으켜 노애를 공격하도록 명령하니 咸陽에서 싸워 수백 명을 참수하여서, 공을 세운 모두에게 작위를 주고, 싸움에 가담한 환관들에게도 작위를 한 등급씩 올려 주었다.
毐等敗走. 卽令國中:有生得毐, 賜錢百萬;殺之, 五十萬. 盡得毐等. 衛尉竭、內史肆、佐弋竭、中大夫令齊等二十人皆梟首①. 車裂②以徇③, 滅其宗.
애등패주. 즉령국중:유생득애, 사전백만;살지, 오십만. 진득애등. 위위갈、내사사、좌익갈、중대부령제등이십인개효수①. 거렬②이순③, 멸기종.
[解釋] 노애 등은 패하여 달아났다. 즉시 나라 안에 영을 내려 노애를 사로잡는 자에게는 1백만 냥, 죽이는 자에게는 50만 냥을 준다고 하였다. 결국 노애 등이 모두 잡혔다. 衛尉 竭、內史肆、佐弋竭、中大夫令齊 등 20명을 모두 梟首刑에 처했다. 노애는 사지를 찢는 車裂刑에 처해 내걸렸으며, 종족은 모두 죽였다.
[註解] ①梟首 : 고대 酷刑의 하나로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장대에 매다는 형벌. ②車裂 : 고대의 혹형의 하나로 팔과 다리를 각각 다른 수레에 매고 수레를 끌어서 죄인을 찢어서 죽이는 형벌. ③徇 : 대중에게 보이다.
及①其舍人, 輕者爲鬼薪②. 及奪爵遷蜀四千餘家, 家房陵. (四)[是]月寒凍, 有死者. 楊端和攻衍氏. 彗星見西方, 又見北方, 從斗以南八十日.
급①기사인, 경자위귀신②. 급탈작천촉사천여가, 가방릉. (사)[시]월한동, 유사자. 양단화공연씨. 혜성현서방, 우현북방, 종두이남팔십일.
[解釋] 그의 家臣에 대하여는 죄가 가벼운 자는 종묘에서 땔나무를 하는 노역인 鬼薪刑에 처했다. 작위를 박탈당하고 蜀으로 쫓겨 간 가구가 4천을 넘었는데 房陵에서 살게 했다. 여름 4월에 추위가 심하였으며 얼어 죽는 자가 있었다. 楊端和가 衍氏를 공격했다. 혜성이 서쪽에 나타났다가 다시 북쪽에 나타났는데 북두성을 따라 남쪽에 80일간 나타났다.
[註解] ①及 : ~에 관해서는. ②鬼薪 : 왕가의 宗廟에서 땔나무를 하는 勞役에 종사하게 하는 형벌. 중국 秦나라 때 시행된 형벌로서, 남자에게 부과되었으며 刑期는 3년이다.
十年, 相國呂不韋坐①嫪毐免②. 桓齮爲將軍. 齊、趙來置酒. 齊人茅焦③說④秦王曰 : 「秦方以天下爲事, 而大王有遷母太后之名, 恐諸侯聞之, 由此倍⑤秦也.」 秦王乃迎太后於雍而入咸陽, 復居甘泉宮.
십년, 상국려불위좌①로애면②. 환기위장군. 제、조래치주. 제인모초③세④진왕왈 : 「진방이천하위사, 이대왕유천모태후지명, 공제후문지, 유차배⑤진야.」 진왕내영태후어옹이입함양, 부거감천궁.
[解釋] 진왕 정 10년(기원전 237년), 재상 여불위가 노애의 반란에 연루되어 면직되고, 桓齮가 장군이 되었다. 제나라와 조나라에서 사신이 와서 술자리를 열었다. 제나라 사람 茅焦가 진왕에게 유세했다. 「진나라가 바야흐로 천하를 염두에 두고 있으나 대왕께서는 어머니인 태후를 유배시켰다는 명성을 듣고 계시니 제후들이 이를 듣고 진나라를 배반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진왕이 곧 옹에서 태후를 함양으로 맞아들였다가, 다시 甘泉宮에 살게 했다.
[註解] ①坐 : 연좌되다. 죄를 받다. ②免 : 면직되다. ③茅焦 : 제나라 사람으로 진왕에게 유세하여 上卿이 되었다. ④說 : 유세하다. <권하여 말하다> ⑤倍 : 背와 같다. 배반하다.
04
大索①, 逐客②, 李斯上書說, 乃止逐客令. 李斯因說秦王, 請先取韓以恐他國, 於是使斯下③韓. 韓王患之. 與韓非謀弱秦④.
대색①, 축객②, 이사상서설, 내지축객령. 이사인설진왕, 청선취한이공타국, 어시사사하③한. 한왕환지. 여한비모약진④.
[解釋] 진나라가 대규모로 조사하여 진나라에 와 있는 유세객을 추방하려고 하자, 李斯가 글을 올려 설득하자, 逐客令을 거두었다. 이사가 이 기회에 진왕에게 유세하여 먼저 韓나라를 빼앗아 다른 나라를 겁주라고 건의하자, 이사로 하여금 한나라의 항복을 받게 했다. 한나라 왕이 이를 걱정하였다. 韓非와 함께 진나라를 약하게 만들 방법을 논의했다.
[註解] ①索 : 수색하다. 찾다. ②逐客 : 외지인 출신의 관리(객경)들을 진나라 밖으로 추방하다. ③下 : 항복시키다. ④弱秦 : 진나라를 약하게 하다.
大梁人尉繚來, 說秦王曰 : 「以秦之彊, 諸侯譬如郡縣之君, 臣但恐諸侯合從, 翕①而出不意, 此乃智伯、夫差、湣王之所以亡也. 願大王毋愛財物, 賂其豪臣, 以亂其謀, 不過亡三十萬金, 則諸侯可盡.」
대량인위료래, 세진왕왈 : 「이진지강, 제후비여군현지군, 신단공제후합종, 흡①이출불의, 차내지백、부차、민왕지소이망야. 원대왕무애재물, 뇌기호신, 이란기모, 불과망삼십만금, 즉제후가진.」
[解釋] 大梁 사람 尉繚가 와서 진왕에게 유세하여 말했다. 「진나라가 강대해져 제후들은 군현의 우두머리에 지나지 않습니다만, 신은 다만 제후들이 합종하여 불시에 공격하지 않을까 걱정될 뿐이며, 이는 智伯、夫差、湣王이 패망한 까닭입니다. 대왕께서는 재물을 아끼지 말고 각국의 세력 있는 대신들에게 뇌물을 써서, 제후들의 계책을 혼란스럽게 만들면 불과 30만 금의 손실로 제후들을 모조리 없앨 수 있습니다.」
[註解] ①翕 : 합하다. 한꺼번에 일어나다.
秦王從其計, 見尉繚亢禮①, 衣服食飲與繚同. 繚曰 : 「秦王爲人, 蜂準, 長目②, 摯③鳥膺④, 豺聲, 少恩而虎狼心, 居約⑤易出人下⑥, 得志亦輕食人. 我布衣⑦, 然見我常身自下我⑧. 誠使⑨秦王得志於天下, 天下皆爲虜⑩矣. 不可與久游.」 乃亡去⑪. 秦王覺, 固止, 以爲秦國尉, 卒用其計策. 而李斯用事⑫.
진왕종기계, 견위료항례①, 의복식음여료동. 요왈 : 「진왕위인, 봉준, 장목②, 지③조응④, 시성, 소은이호랑심, 거약⑤이출인하⑥, 득지역경식인. 아포의⑦, 연견아상신자하아⑧. 성사⑨진왕득지어천하, 천하개위로⑩의. 불가여구유.」 내망거⑪. 진왕각, 고지, 이위진국위, 졸용기계책. 이리사용사⑫.
[解釋] 진왕은 위료의 계책을 따랐으며 위료를 만날 때는 대등한 예의로 대했고 입고 먹는 것을 그와 똑같이 했다. 위료가 말했다. 「진왕이란 위인은 높은 콧등에 째진 눈, 사나운 짐승 같은 가슴팍, 승냥이 같은 목소리를 갖고 있으며, 각박하고 마음이 호랑이나 이리 같고 자신이 곤란해지면 쉽게 다른 사람에게 굴복하지만, 뜻을 이루면 역시 쉽게 사람을 잡아먹을 것이다. 내가 서민 신분인데도 나를 만나면 늘 스스로 몸을 낮춘다. 만약 진왕이 천하에 대한 뜻을 이루고 나면 천하가 모두 그의 노예가 될 것이다. 그와는 오래도록 교유할 수 없다.」 그리고는 도망치려 했다. 진왕이 알아채고 한사코 막으면서 진나라의 國尉로 삼아 끝내 그의 계책을 채용했다. 그러나 이사가 정권을 잡았다.
[註解] ①亢禮 : 대등한 예를 취하다. ②蜂準, 張目 : 벌처럼 높은 콧대와 가늘고 긴 눈. ③摯 : 鷙와 통하여 猛禽[사나운 새]을 말한다. ④膺 : 가슴. 흉부. ⑤約 : 곤궁하다. 빈곤하다. ⑥出人下 : 다른 사람 밑에 굴복하다. ⑦布衣 : 서민의 옷. 즉, 평민을 말한다. ⑧身自下我 : 스스로 몸을 낮추다. ⑨誠使 : 만약. ⑩虜 : 노예. ⑪亡去 : 달아나다. ⑫用事 : 정권을 잡다. 권력을 장악하다.
05
十一年, 王翦、桓齮、楊端和攻鄴, 取九城. 王翦攻閼與、橑楊, 皆并爲一軍. 翦將十八日, 軍歸斗食①以下, 什②推二人從軍取鄴安陽, 桓齮將.
십일년, 왕전、환기、양단화공업, 취구성. 왕전공연여、요양, 개병위일군. 전장십팔일, 군귀두식①이하, 십②추이인종군취업안양, 환기장.
[解釋] 진왕 정 11년(기원전 236년), 王翦、桓齮、楊端和가 趙나라의 鄴을 공격하여 9개 성을 함락시켰다. 왕전이 閼與、橑楊을 공격하여 그곳의 군사를 모두 하나로 통합했다. 왕전이 18일 동안 군사를 통솔하면서 녹봉이 100섬 이하인 군사들은 집으로 돌려보내고, 열 명 가운데 두 명을 선발해 종군하게 하였고 환기가 군사를 이끌고 업과 安陽을 빼앗았다.
[註解] ①斗食 : 봉록이 百石 아래인 낮은 관리. 斗食은 月俸이 11斛[말]이다. ②什 : 十과 같다.
十二年, 文信侯不韋死, 竊葬①. 其舍人臨者, 晉人也逐出之;秦人六百石以上奪爵, 遷;五百石以下不臨②, 遷, 勿奪爵. 自今以來③, 操國事不道如嫪毐、不韋者籍其門, 視此④. 秋, 復嫪毐舍人遷蜀者. 當是之時, 天下大旱, 六月至八月乃雨.
십이년, 문신후불위사, 절장①. 기사인림자, 진인야축출지;진인륙백석이상탈작, 천;오백석이하불림②, 천, 물탈작. 자금이래③, 조국사부도여로애、불위자적기문, 시차④. 추, 부로애사인천촉자. 당시지시, 천하대한, 육월지팔월내우.
[解釋] 진왕 정 12년(기원전 235년), 문신후 여불위가 죽자 몰래 장사를 지냈다. 그의 가신으로 哭을 한 사람 중 晉나라 출신은 추방했고, 秦나라 출신으로 녹봉이 600섬 이상인 자는 관직을 박탈하여 房陵으로 돌아오게 했으며, 녹봉이 500섬 이하이며 곡을 하지 않은 자들은 房陵으로 옮기고 관직은 박탈하지 않았다. 이때부터 국사를 처리할 때 노애나 여불위처럼 바른 길을 따르지 않는 자는 일족을 명부에 기록해 관의 노비로 삼는 것을 관례로 정했다. 가을에 蜀으로 옮긴 노애의 가신들의 세금과 요역을 면제했다. 당시 천하에 큰 가뭄이 들었는데, 6월부터 가뭄이 시작되어 8월이 되어서야 비로소 비가 내렸다.
[註解] ①竊葬 : 몰래 장사지내다. 여불위가 죽자 빈객 수천 명이 몰래 낙양 북망산에 장사지냈다. ②臨 : 哭하다. ③自今以來 : 지금 이후. ④視此 : 이런 것들과 비교하다. 視는 비교하다.
06
十三年, 桓齮攻趙平陽, 殺趙將扈輒, 斬首十萬. 王之河南. 正月, 彗星見東方. 十月, 桓齮攻趙. 十四年, 攻趙軍於平陽, 取宜安, 破之, 殺其將軍. 桓齮定平陽、武城. 韓非使秦, 秦用李斯謀, 留非, 非死雲陽. 韓王請爲臣.
십삼년, 환기공조평양, 살조장호첩, 참수십만. 왕지하남. 정월, 혜성현동방. 십월, 환기공조. 십사년, 공조군어평양, 취의안, 파지, 살기장군. 환기정평양、무성. 한비사진, 진용리사모, 유비, 비사운양. 한왕청위신.
[解釋] 진왕 정 13년(기원전 234년), 환기가 조나라 평양을 공격하여 조나라 장수 扈輒을 죽이고 10만 명을 참수했다. 진왕이 하남에 갔다. 정월, 혜성이 동쪽에 나타났다. 10월, 환기가 조나라를 공격했다. 진왕 정 14년(기원전 233년), 평양에서 조나라 군대를 공격하여 宜安을 빼앗고 격파해, 조나라 장수를 죽였다. 환기가 평양과 武城을 평정했다. 한비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으며 진나라는 이사의 계책으로 한비를 억류시켰고, 한비는 雲陽에서 죽었다. 한나라 왕이 신하가 되기를 청했다.
07
十五年, 大興兵, 一軍至鄴, 一軍至太原, 取狼孟. 地動. 十六年九月, 發卒受地韓南陽假守①騰. 初令男子書年②. 魏獻地於秦. 秦置麗邑. 十七年, 內史騰攻韓, 得韓王安, 盡納其地, 以其地爲郡, 命曰潁川. 地動. 華陽太后卒. 民大饑.
십오년, 대흥병, 일군지업, 일군지태원, 취랑맹. 지동. 십륙년구월, 발졸수지한남양가수①등. 초령남자서년②. 위헌지어진. 진치려읍. 십칠년, 내사등공한, 득한왕안, 진납기지, 이기지위군, 명왈영천. 지동. 화양태후졸. 민대기.
[解釋] 진왕 정 15년(기원전 232년), 군사를 크게 일으켜 한 부대는 鄴에, 또 한 부대는 太原에 도착해 狼孟을 빼앗았다. 지진이 발생했다. 진왕 정 16년(기원전 231년) 9월, 군사를 일으켜서 한나라 남양 땅을 접수하고 騰을 대리 태수로 삼았다. 처음으로 남자의 나이를 등록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위나라가 땅을 진나라에 바쳤다. 진나라는 麗邑을 설치했다. 진왕정 17년(기원전 230년), 內史 騰이 한나라를 공격하여 한나라 왕 安을 사로잡고, 한나라 땅을 모두 몰수하여 군으로 삼고 穎川이라 불렀다. 지진이 있었다. 華陽太后가 죽었다. 백성들이 큰 기근을 겪었다.
[註解] ①假守 : 代理 太守. ②書年 : 나이를 등록하다. 병졸이나 徭役을 징발하기 위한 것이다.
08
十八年, 大興兵攻趙, 王翦將上地, 下井陘, 端和將河內, 羌瘣伐趙, 端和圍邯鄲城.
십팔년, 대흥병공조, 왕전장상지, 하정형, 단화장하내, 강외벌조, 단화위한단성.
[解釋] 진왕 정 18년(기원전 229년), 군사를 크게 일으켜 조나라를 공격했으며, 王翦이 上地의 군사를 이끌고 井陘을 점령했고, 楊端和가 하내의 군사를 이끌고 羌瘣와 함께 조나라를 정벌하였으며 단화가 한단성을 포위했다.
十九年, 王翦、羌瘣盡定取趙地東陽, 得趙王. 引兵欲攻燕, 屯中山. 秦王之邯鄲, 諸嘗與王生趙時母家有仇怨, 皆阬①之. 秦王還, 從太原、上郡歸. 始皇帝母太后崩. 趙公子嘉率其宗數百人之代, 自立爲代王, 東與燕合兵, 軍②上谷. 大饑.
십구년, 왕전、강외진정취조지동양, 득조왕. 인병욕공연, 둔중산. 진왕지한단, 제상여왕생조시모가유구원, 개갱①지. 진왕환, 종태원、상군귀. 시황제모태후붕. 조공자가솔기종수백인지대, 자립위대왕, 동여연합병, 군②상곡. 대기.
[解釋] 진왕 정 19년(기원전 228년), 왕전, 강외가 조나라 땅 東陽을 모두 평정하여 빼앗고, 조나라 왕 遷을 사로잡았다. 이어 군대를 이끌고 연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중산에 주둔했다. 진왕은 한단으로 가서 전에 자신이 조나라에서 태어날 때 어머니 집안과 원한이 있던 자들을 모두 생매장했다. 진왕은 태원, 상군을 거쳐서 돌아왔다. 시황제의 어머니 조태후가 세상을 떠났다. 조나라 공자 嘉가 종족 수백 명을 이끌고 代나라로 가서, 스스로 대나라 왕으로 즉위하고 동쪽 연나라와 연합해 군사를 上谷에 주둔시켰다. 큰 기근이 들었다.
[註解] ①阬 : 생매장하다. ②軍 : 주둔하다.
09
二十年, 燕太子丹患①秦兵至國, 恐, 使荊軻刺秦王. 秦王覺之, 體解②軻以徇, 而使王翦、辛勝攻燕. 燕、代發兵擊秦軍, 秦軍破燕易水之西.
이십년, 연태자단환①진병지국, 공, 사형가자진왕. 진왕각지, 체해②가이순, 이사왕전、신승공연. 연、대발병격진군, 진군파연역수지서.
[解釋] 진왕 정 20년(기원전 227년), 연나라 태자 丹이 진나라 군사들이 연나라에 쳐들어올 것을 염려하여 두려운 나머지 荊軻에게 진왕을 찔러 죽이도록 하였다. 진왕 정이 이를 깨닫고 형가의 사지를 찢어 백성에게 보이고, 王翦과 辛勝에게 연나라를 공격하게 했다. 연나라는 대나라와 함께 군사를 일으켜 진나라 군대를 공격했으며 진나라 군대가 연나라를 易水의 서쪽에서 격파했다.
[註解] ①患 : 염려하다. ②體解 : 사지를 해체하는 고대의 혹형.
二十一年, 王賁攻(薊)[荊]. 乃益發卒詣①王翦軍, 遂破燕太子軍, 取燕薊城, 得太子丹之首. 燕王東收遼東而王之②. 王翦謝病③老歸. 新鄭反. 昌平君徙於郢. 大雨雪④, 深二尺五寸.
이십일년, 왕분공(계)[형]. 내익발졸예①왕전군, 수파연태자군, 취연계성, 득태자단지수. 연왕동수료동이왕지②. 왕전사병③로귀. 신정반. 창평군사어영. 대우설④, 심이척오촌.
[解釋] 진왕 정 21년(기원전 226년), 王賁이 초나라[荊]를 공격했다. 군사를 더 출동시켜 왕전의 군대로 보냈고, 마침내 연나라 태자의 군대를 격파하고, 연나라의 도읍인 薊城을 점령하고 태자 단의 목을 얻었다. 연왕 喜는 동쪽 遼東을 수습하여 그곳에서 왕을 칭하였다. 왕전이 늙고 병든 것을 핑계로 사직하고 귀향했다. 新鄭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昌平君을 초나라의 옛 도읍인 郢으로 옮겼다. 큰 눈이 내려 두 자 다섯 치나 쌓였다.
[註解] ①詣 : 다다르다. 보내다. ②王之 : 그곳에서 왕을 칭하다. ③謝病 : 병을 구실삼아 사직하다. ④雨雪 : 눈이 내리다.
10
二十二年, 王賁攻魏, 引河溝灌大梁, 大梁城壞, 其王請降, 盡取其地.
이십이년, 왕분공위, 인하구관대량, 대량성괴, 기왕청항, 진취기지.
[解釋] 진왕 정 22년(기원전 225년), 王賁이 魏나라를 공격하면서 河溝의 물을 끌어다가 魏나라의 대량성으로 흘러가게 해 대량성이 무너지자 魏나라 왕 假가 항복을 청하자 그 땅을 모두 빼앗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