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子ㅣ 曰其爲人也ㅣ 孝弟오 而好犯上者ㅣ 鮮矣니 不好犯上이오 而好作亂者ㅣ 未之有也ㅣ니라
유자 가로대 그 사람됨이 효도하고 공경하고, 위를 범할 자가 드무니, 위를 범함을 좋아하고 난 지음(작란)을 좋아하는 자 있지 아니하니라.
[해설]
『대학착간고정본』 제9장 1절에 “所謂治國이 必先齊其家者는 其家를 不可敎ㅣ오 而能敎人者ㅣ 無之하니 故로 君子는 不出家而成敎於國하나니 孝者는 所以事君也ㅣ오 弟者는 所以事長也ㅣ오 慈者는 所以使衆也ㅣ니라(이른바 “나라를 다스림이 반드시 먼저 그 집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는 것은 그 가족을 가르치지 못하고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자가 없으니, 그러므로 군자는 집에서 나가지 아니하고도 가르침을 나라에 이루나니, 孝는 인군을 섬기는 방법이고, 弟는 어른을 모시는 방법이 되며, 慈는 무리를 이끄는 방법이 되느니라)라 하였다.
이것은 제가를 바탕으로 해서 치국하는 내용이다. 부모께 효도함(孝)은 나라의 인군을 섬기는 근본이고, 형에게 공순함(弟)은 어른을 섬기는 근본이며, 자식을 사랑함(慈)은 아랫사람을 부리는 근본이 된다고 보았다. 『주역』의 풍화가인괘에서도 “父父子子兄兄弟弟夫夫婦婦而家道正하리니 正家而天下ㅣ 定矣리라(아비는 아비답고, 자식은 자식답고, 형은 형답고, 동생은 동생답고, 남편은 남편답고, 아내는 아내다워야 집안의 도가 바르게 되리니 집안을 바르게 함에 천하가 안정되리라)”하였다.
孝弟는 인륜도덕의 바탕이다. 효도하는 이로서 인군을 충성으로 섬기지 않을 사람이 없고 형에게 공순한 이로서 어른을 공경치 않을 사람이 없으므로, 아래 구절에서도 공자는 제자에게 “들어가서는 효도하고 나가서는 공경하라”(子ㅣ曰 弟子 入則孝하고 出則弟)고 강조하여 다시 말씀하였다. 慈는 부모가 자식에게 자애로운 마음으로 사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랫사람을 사랑한다면 순종하지 않을 사람이 없으므로 인군을 民之父母라 표현하기도 했다.
군자는 孝 弟 慈 세 덕목을 먼저 집사람들에게 가르침으로써 타인의 모범이 된다. 그러므로 집 밖으로 벗어나지 않더라도 자연 이웃과 나라 사람이 이를 본받아 배우고 아름다운 풍속이 일어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