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대학의 고전읽기교육
- 세인트존대학과 노트르담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2010. 01. 25. | 신의항(서울대 기초교육원 초빙교수)
1.서론.
미국대학 학부교육과정 형태 중에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이 고전(Great Books) 중심과정이다. 이 고전 중심 교육과정은 1920년대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의 어스킨(John Erskine), 바준(Jacques Barzun), 트릴링(Lionell Trilling)에 의해서 주장되기 시작했는데, 폭넓은 서양문명(Western Civilization)에 대한 주제가 기초교양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 이후에 시카고대학(University of Chicago)의 아들러(Mortimer J. Adler), 허친스(Robert M Hutchins), 블룸(Allan Bloom)이 대를 이어가면서 고전읽기가 대학교양교육의 중심축을 이루는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을 발전시켜왔다.2) 아들러, 허친스, 그리고 블룸 등 소위 '시카고 학파(The Chicago School)'는 교육의 기본적 이상과 개념은 단순히 20세기 혹은 현실사회의 관습(mores)과 믿음(beliefs)에 제한되지 말고 플라톤(Plato),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등과 같은 성현들이 제기한 '절대적이며 불변하는(absolute and unchanging) 보편적 진리와 가치(universal truth and values)'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 이러한 접근은 '고전운동(Great Books Movement)'으로 발전되어 많은 대학이 인문학과 교양교육 과정에 고전을 텍스트로 채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4) 아들러와 허친스는 1947년 당시까지 오랫동안 산발적으로 제시되었던 고전목록을 총 정리하는 작업을 실행하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Britannica)에서 74명 저자의 433저작을 54권의 한 질로 출판하였으며, 이 출판 사업은 고전운동의 확산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5) 아들러는 1990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의뢰를 받아 1947년 판을 개정, 증보하여 130명 저자의 517저작을 60권으로 출판하였다.6)
2003년 4월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160여개의 미국의 대학에서 학부교과과정에 고전 읽기 중심의 교과목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미국의 대학에서는 “지금까지 사고되고 언급된 모든 것들 중에서 최상의(the best that has been thought and said)”8), 그리고 “지속적으로 중요한 가치와 영향력을 가진(enduring value and seminal influence)”9) 고전을 읽고 토의하는 학습과정이 인문학 교육의 귀중한 초석이 된다고 믿는 것이다. 예컨대 뉴욕대학(New York University), 위스콘신대학(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노트르담대학(University of Notre Dame), 보스턴대학(Boston University), 시카고대학(University of Chicago) 등 연구 중심의 유수대학에서는 ‘자유교육 프로그램( Liberal Studies Program)’이라는 명칭의 학부 교육과정을 하나의 단과대학 수준으로 개설하여 학제적, 융합적인 고전읽기 중심의 전공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자유교육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필수과목은 고전을 텍스트로 사용하는 일련의 세미나들이다. 특히, 고전읽기 중심의 학사과정은 메릴랜드(Maryland) 주 애나폴리스(Annapolis)에 있는 세인트존대학(St. John's College)에서 확대 개발되었으며, 이 대학에서는 4년간의 학부과정이 전적으로 고전만을 다룬다.10) 세인트존 대학은 뉴멕시코(New Mexico) 주의 산타페(Santa Fe) 시에도 같은 고전읽기중심 학사과정을 같은 이름의 대학으로 설립해서 계속 운영하고 있다.
그렇지만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에 대한 여러 비판이나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많은 주립대학의 경우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을 ‘Honors College(우등생 교육과정)’의 학사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해 놓고 있다. 콜로라도대학(University of Colorado), 켄터키대학(University of Kentucky), 머서대학(Mercer University), 메인대학(University of Maine), 미주리대학(University of Missouri),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University of South Carolina), 버몬트대학(University of Vermont), 위스콘신대학(University of Wisconsin), 그리고 와이오밍대학(University of Wyoming) 등의 주립대학들이 ‘고전읽기’를 ‘Honors College’의 교양교육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11)고전읽기를 ‘Honors College’에 국한시켰다는 사실은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이 대중성을 가지기는 어렵다는 제약점이 있음을 반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을 비판하는 이들에 의하면, 진리는 영원불변하는 것이라는 시카고학파(The Chicago School)의 주장이 옳다고 볼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학부교육과정을 고전읽기 중심으로 삼는 것은 급속하게 팽창, 발전하는 지식과 과학교육을 소홀히 취급하게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많은 고전들이 유럽, 서양문명 중심의 근시안적, 우월주의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다고 지적한다.12)나아가서 고전중심의 교과과정은 ‘이미 사망한 백인 남성들(dead white males)’의 저서들을 다루어서, 제국주의적, 남성중심사상, 배타적 경향을 포함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13) 이런 비판적 시각에서는 이 교과과정의 핵심인 고전들이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가 아닌 ‘Bad Books’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다.14)
이러한 비판에도 ‘고전읽기 프로그램(Great Books Program)’은 미국대학의 학사과정, 특히 교양교육의 중요한 축으로 지난 80년 동안 남아왔다. 특기할 사항은 뉴욕대학이 2008년에 고전읽기 중심의 학부 전공과정을 설립했다는 사실이다.15) 뉴욕대학과 같은 연구중심의 유수 사립대학에서 프로그램 신설과 관련하여 상당한 예산지원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고전읽기가 뿌리가 되는 학부과정을 최근에 시작했다는 것은 고전읽기 교육의 중요성과 그러한 교육의 수요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이 보고서에서는 세인트존 대학과 노트르담 대학의 고전읽기 중심의 학부 교과과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주)
1) New York Times, January 8, 2006, “Columbia: Great Books." http://www.nytimes.com/2006/01/08/education/edlife/columbia_corebox.html?ei=50.
2) http://www.ecu.edu/greatbooks/history.htm
http://www.reference.com/browse/wiki/Mortimer_Adler
http://en.wikipedia.org/wiki/Allan_Bloom
Wrightson, Katherine M. 1998. “The Professor as Teacher: Allan Bloom, Wayne Booth, and the Tradition of Teaching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Innovative Higher Education 23 (2): 103-113.
3) Grimes, William. 2001. "Mortimer Adler, 98, Dies: Helped Create Study of Classics." New York Times, June 29, 2001.
4) http://www.angelicum.net/html/great_books_movement.html
5) http://www.anglicum.net/html/great_books_movement.html
6) http://www.angelicum.net/html/great_books_movement.html
7) http://astro.temple.edu/-szelnick/actc/ListofGreatBooksPrograms2.htm
8) http://pls.nd.edu/prospective-students/welcome/
9) http://pls.nd.edu/courses/great-books/
10) http://www.sjca.edu/asp/home.aspx
http://www.reference.com/browse/wiki/St._John%27s_College%2C_U._S.
11) http://www.nas.org/reports/gt_bks/gb_programs.htm
12) http://www.reference.com/browse/wiki/Great_Books
13) http://en.wikipedia.org/wiki/Allan_Bloom
14) New York Times, January 8, 2006, “Columbia: Great Books." http://www.nytimes.com/2006/01/08/education/edlife/columbia_corebox.html?ei=50
15) http://www.liberalstudies.nyu.edu/page/LShome;
세인트존대학(St. John's College)의 고전교육 16)
A. 세인트존대학의 기본 교육철학
1869년 킹 윌리암스 스쿨(King William's School)로 설립된 세인트존대학은 1937년 완전히 고전들로만 구성된 커리큘럼을 도입함으로써 미국의 다른 대학들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대학이 되었다. 세인트존대학에는 선택과목이 없고, 모든 학생들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맨 처음부터 시작해야만 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편입학도 허용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인트존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의 3분의 1 정도가 다른 대학교를 다니다가 이상적인 대학을 발견하고 옮겨온 이들이다. 심지어 다른 대학을 3년이나 다니다가 온 학생들도 있다.
세인트존대학의 특별한 점은 전공도, 선택과목도 없이 오직 하나의 커리큘럼으로 4년의 학부 과정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이 커리큘럼은 서구 문명의 위대한 사상들을 담은 100개의 고전들로 구성되며, 이 밖에도 과학, 수학, 외국어, 음악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학업 성취 등급은 대학원 진학을 위해서만 기록될 뿐 심의되지 않으며, 학생들에 대한 평가는 시험 대신 수업 토론에 대한 참여와 기여 정도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세인트존대학의 가장 중요한 평가 형태는 ‘돈 랙(the Don Rag)’이라는 것으로 이는 모든 학생은 매 학기 말에 모든 개별지도교수를 만나서 자신과 자신의 학업에 대한 무제한적인 토론을 벌이는 것을 의미한다. 세인트존대학에는 교수 등급이 존재하지 않으며 교수진들에게 출판 의무를 부과하지도 않는다. 교수진의 역할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고취하는 것이다. 모든 교수들은 매년 그리스어 강의, 문학 강의, 또는 몇 년 동안 계속되는 프톨레마이오스의 기하학 강의에서 토론을 이끌어갈 수 있는 개별 지도교수들이다. 세인트존대학은 450명의 학생들로 구성되는 진정한 학습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세인트존대학의 학생들은 스스로 선택하여 이 대학에 진학한 이들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에게 4년간의 대학 생활이 파티나 스포츠 없이 금요일 밤 강의에 의무적으로 출석해야 하고 고전 음악을 공부하고 심지어 작곡하기도 해야 하는 상황이 즐거울 수 있다는 사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세인트존대학은 그 자체로 명징한 수학을 좋아하거나 디킨스 소설을 읽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들, 즉 진정한 지식 탐구자들을 위한 학교이다. 선택과목은 단 하나도 존재하지 않고 겉으로 보기에는 낡아 보이는 고전들에 기반한 독특한 커리큘럼은 각각의 학생들이 자기 발전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 고안된 것이다.
4년의 과정을 마친 후 학생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자신이 잘 하는 것을 분명하게 알게 된다. 세인트 존 대학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들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믿게끔 학생들의 자신감을 무한하게 고취시키는 학교이다. 학생들은 큰 그림(Big Picture)에서 자신의 위치를 발견할 수 있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잘 알게 된다. 세인트존대학 졸업생의 80% 정도가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의학 혹은 법학을 전공한다. 전형적인 진로를 선택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세인트존대학의 교육 과정을 이수한 졸업생이라면 아마도 새로운 각도로 큰 그림을 파악하는 새로운 방법을 탐구하는 진로를 찾아갈 수 있는 능력은 충분할 것이다.
주)
16) http://www.sjca.edu
B. 세인트존대학의 교과과정17)
1) 세미나
세미나는 자기 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탐구적인 대화를 유발하는 질문들로 시작되어 2시간 동안 진행된다. 세미나는 학생들의 호기심, 판단, 주의력, 상상력,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 반박을 기꺼이 수용하는 것, 인내심, 용기, 리더십, 협동심 등에 기반하여 진행된다. 세미나는 학생들로 하여금 주의 깊은 독서 습관을 개발하고, 사고의 분명함과 정신의 풍부함을 유발하며, 낯설은 영역도 기꺼이 수용할 수 있게끔 장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에 대해 대부분을 책임지는 프로그램인 세미나는 가장 순수한 형태로 대학의 임무를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① 1학년
세인트존대학에서의 1학년은 ‘그리스의 한 해’라고 할 수 있다. 호머(Homer),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이 서구 사상의 근간을 대표하고 있듯이, 1학년 세미나는 남은 학년들의 토대를 구성한다. 세미나는 『일리아드(Iliad)』와 『오디세이(Odyssey)』로 시작하여, 아이스킬로스(Aeschylus)와 소포클레스(Sophocles)의 희곡을 거쳐, 플라톤의 저작들에 상당 시간을 할애하고 아리스토텔레스로 마무리된다. 1학년 기간 동안 학생들은 진지한 독서, 질문, 대화의 습관을 배우게 된다.
<1학년 세미나 고전 읽기 목록>
호머 『일리아드』 Homer, Iliad
호머 『오디세이』 Homer, Odyssey
플라톤 『메논』 Plato, Meno
아이스킬로스 『아가멤논』 Aeschylus, Agamemnon
아이스킬로스 『신주(神酒)를 나르는 사람들』 Aeschylus, Libation Bearers
아이스킬로스 『에우메니데스』 Aeschylus, Eumenides
플라톤 『고르기아스』 Plato, Gorgias
플루타크 『영웅전』 Plutarch, Lives
헤로도토스 『역사』 Herodotus, History
플라톤 『국가』 Plato, Republic
아리스토파네스 『구름』 Aristophanes, Clouds
플라톤 『소크라테스를 위한 변명』Plato, Apology
플라톤 『크리톤』 Plato, Crito
플라톤 『파이돈』 Plato, Phaedo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 Thucydides, Peloponnesian War
플라톤 『향연』 Plato, Symposium
주)
17) http://www.stjohncollege.edu/academic/ANreadlist.shtml
② 2학년
2학년 세미나의 읽기 목록은 4년 교육과정 중 고대와 중세에 생산된 고전들로 구성되어 있다. 유대 성경과 로마의 고전 시 및 역사 선집을 읽은 후, 나머지 읽기 목록은 유대와 로마라는 두 가지 상이한 세계를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다루는 작가들과, 이 두 세계를 자기 것으로 흡수하고 판단하는 방식을 발견하고자 노력한 작가들의 작품들로 구성된다. 로마의 작가들에게도 부분적으로 이질적인 전통(고대 그리스 전통)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란 문제가 핵심적인 주제였다. 따라서 세미나의 다양한 읽기 목록은 공통의 고전적·성서적 근원, 그리고 이러한 근원에 대한 반응들을 누적해 놓은 기록들을 통해 결합된다.
<2학년 세미나 고전 읽기 목록>
『성서』 Bible
플루타크 『영웅전: 카이사르』 Plutarch, Lives:Caesar
루크레티우스 『만물의 본성에 대하여』 Lucretius, De Rerum Natura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아스』 Virgil, Aeneid
타키투스 『연대기』 Tacitus, Annals
에픽테투스 『에픽테투스 담론집』 Epictetus, Discourses and Handbook(selections)
플로티누스 『플로티누스 선집』 Plotinus, selections
아우구스투스 『참회록』 Augustine, Confessions
성 안셀무스 『프로슬로지움』 Anselm, Proslogium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Prima Pars
③ 3학년
3학년 세미나에서는 가장 짧은 연대기(주로 17~18세기)의 고전들을 다룬다. 가을 학기에는 윤리적·정치적 질문들을 형이상학적 질문들과 결부시켜 고전 읽기를 진행하고, 봄 학기에는 이 두 가지 질문을 분리하여 방학 이전까지는 형이상학, 방학 이후에는 대부분 윤리적▪정치적 읽기 목록에 집중한다. 윤리학과 정치학에 대한 오랜 질문들은 미국 작가들(메디슨(Madison), 해밀턴(Hamilton), 마크 트웨인(Mark Twain))과의 첫 번째 조우로 이어지고 자신의 삶의 방식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이끌어낸다.
<3학년 세미나 고전 읽기 목록>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Cervantes, Don Quixote
데카르트 『성찰』 Descartes, Meditations
파스칼 『팡세』 Pascal, Pensees
밀턴 『실락원』 Milton, Paradise Lost
홉즈 『리바이어던』 Hobbes, Leviathan
스피노자 『신학-정치론』 Spinoza,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라이프니츠 『형이상학서설』 Leibniz, Discourse on Metaphysics
라이프니츠 『철학에세이』 Leibniz, Philosophical Essays
라이프니츠 『단자론』 Leibniz, Monadology
라이프니츠 『자연과 은총의 원리』 Leibniz, Principles of Nature and Grace
④ 4학년
4학년 세미나의 읽기 목록은 가장 최근의 것에 해당한다.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파우스트(Faust)』, 『카라마조프의 형제들(The Brothers Karamazov)』등이 읽기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학생들은 또한 헤겔(Hegel), 니체(Nietzsche), 하이데거(Heidegger)와 같은 세인트존대학 프로그램에서 가장 힘든 저자들의 작품에도 도전하게 된다. 교양 있는 시민 양성이라는 대학의 임무에 충실하기 위해 4학년 학생들의 읽기 목록에는 『연방주의자 논집(Federalist Papers)』, 링컨(Lincoln)의 연설문들, 핵심적인 대법원판례, 미국적 실험의 급진적 성격에 대한 토크빌(Tocqueville)의 평론과 같은 미국 민주주의에 관한 핵심적 저작들도 포함된다.
<4학년 세미나 고전 읽기 목록>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Tolstoi, War and Peace
헤겔 『논리학』 Hegel, Logic
헤겔 『정신현상학』 Hegel, Phenomenology of Spirit
맑스 『공산당선언』 Marx, Communist Manifesto
맑스 『경제철학수고, 1884년』 Marx, The Economic and Philosophic Manuscripts of 1884
맑스 『자본론』 Marx, Capital
맑스 『독일이데올로기』 Marx, German Ideology
키에르케고르 『공포와 전율』 Kierkegaard, Fear and Trembling
키에르케고르 『철학적 단편』 Kierkegaard, Philosophical Fragments
멜빌 『베니토 세레노 선장』 Melville, Benito Cereno
노트르담대학(University of Notre Dame)의 교양교육
18)
A. 노트르담대학의 교육철학
1950년에 설립된 노트르담대학의 교양교육프로그램(the Program of Liberal Studies, 이하 PLS)은 서구 전통 및 가톨릭 전통에 기반하여 3년 과정으로 구성된 일련의 세미나와 개인교습을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PLS 학부 커리큘럼의 핵심은 일주일에 두 번, 12~16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서구의 주요 고전들 및 일부 제한된 범위의 동양 고전들을 학습하고 토의하는 고전세미나(the Great Books Seminar)이다. 이와 병행하여 학생들은 문학, 철학, 과학, 신학, 정치이론, 예술 및 지성사와 문화사에 대한 보다 심화된 탐구를 목적으로 하는 개인교습을 필수적으로 받아야 한다.
주)
18) http://www.pls.nd.edu
PLS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는 한편,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고 정교한 주장을 개진하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게 된다. 따라서 PLS의 학생들이 졸업할 무렵에는 광범위한 전문적 직업 영역에서 성공하기 위한 준비를 잘 갖출 수 있게 된다. PLS의 졸업생들은 기업, 금융, 법, 과학, 교육, 학문 분야에서 리더로서 활동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출판, 언론, 예술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졸업생들은 빈민과 장애인을 위한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하였고, 성직자로서 혹은 신도로서 교회를 위해 복무하고 있다.
PLS 과정은 교양교육의 이상에 헌신적이며 각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꾸려진다. 노트르담대학에서는 고도로 학제적 환경에서 학문적 탁월함을 추구하게 함으로써 PLS에 참여하는 것이 교수와 학생 모두에게 풍부하고 가치 있는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활기찬 지적 분위기와 더불어 PLS는 가톨릭 사회 교육에 기반한 오랜 전통의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노트르담대학의 교수들은 싸우스벤드노숙자센터(the South Bend Center for the Homeless)에서 성공적으로 고전세미나를 이끌어가고 있으며, PLS의 학생들 또한 수많은 지역 학교들에서 고전세미나를 주도하고 있다. PLS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전통은 PLS 졸업생들의 활동에서도 드러나는데, 이들은 가톨릭 교육동맹(the Alliance for Catholic Education), 아메리콥스(AmeriCorps), 미국을 위한 교육(Teach for America), 평화단(Peace Corps)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수년간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B. 노트르담대학의 교과과정19)
1) 고전세미나(Great Books Seminars)
PLS 학생들은 매학기마다 4학점짜리 고전세미나를 3년간 총 6개를 수강해야 한다. 고전세미나는 장르 혹은 학제에 상관없이 서구 전통 전체를 포괄하는 고전들을 강조한다. 고전세미나를 통해 학생들이 읽게 될 책들은 현재까지도 상당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발휘하고 있는 가치와 내용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다. 고전세미나를 통해 학생들은 상당히 복잡한 내용의 문헌들을 어떻게 읽고 토의할 수 있는지 뿐만 아니라, 지적인 질문을 어떤 방식으로 던져야 하는지, 그리고 교조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자신의 관점을 정교하게 세워가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배우게 된다.
고전세미나에는 교수의 강의가 포함되지 않는다. 교수는 세미나 커리큘럼에 대한 전문가라기보다는 보다 경험이 많은 독자로 간주되며 세미나 팀의 대화를 촉진하고 보다 풍성한 내용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세미나에 참여한 사람들은 서로에게서 배우고 서로를 가르치려 노력하며, 세미나에 참여한 모든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스승은 바로 고전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주)
19) http://www.pls.nd.edu/courses/great-books/
① 세미나 I(Smniar I)
6개의 고전세미나 중 가장 먼저 참여하게 되는 이 세미나는 고대 그리스 문헌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생들에게 고전세미나 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고안된 이 세미나는 토론, 완전한 독해, 복잡한 사상들에 대한 의사소통을 강조한다. 이 세미나의 읽기 목록에는 호머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 헤로도토스(Herodotus)의 『역사(Histories)』, 소포클레스의 『테베 연극들(Thebe Plays)』,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Poetics)』, 에우리피데스(Euripides)의 『메디아(Medea)』와 『주신 바쿠스의 시녀들(Bacchae)』, 투키디데스(Thucydides)의 『펠로폰네소스전쟁(Peloponnesian War)』,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의 『구름(the Clouds)』, 플라톤의 『소크라테스를 위한 변명(the Apology)』, 『크리톤(Crito)』, 『향연(Symposium)』이 포함된다.
② 세미나 II(Seminar II)
1학년 2학기에 이루어지는 두 번째 세미나는 세미나 I의 연장이다. 읽기 자료는 고대 그리스에서 로마 시기를 거쳐 초기 기독교 문화에서 중세까지 확장된다. 세미나 II의 읽기 목록에는 플라톤의 『국가(the Republic)』, 『파이드로스(Phaedrus)』,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하여(On the Soul)』, 루크레티우스(Lucretius)의 『만물의 본성에 관하여(The Way Things Are)』, 키케로(Cicero)의 『국가론(On the Republic)』, 베르길리우스(Vergil)의 『아이네아스(Aneid)』, 에픽테토스(Epictetus)의 『입문(Handbook)』,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의 『참회록(Confessions)』과 『신의 도시(City of God)』, 성 안셀무스(St. Anselm)의 『프로슬로지움(Proslogion)』, 성 보나벤투라(St. Bonaventure)의 『하느님께 이르는 정신의 여행(Journey of the Mind to God)』이 포함된다.
③ 세미나 III(Seminar III)
세미나 III은 중세 전성기에서 르네상스 시기의 고전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진다. 읽기 자료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Summa Theologiae)』, 단테(Dante)의 『신곡(Divine Comedy)』, 페트라르카(Petrarch)의 『몽벤투 산을 오르며(Ascent of Mont Ventoux)』, 『자신과 타인의 무지에 관하여(On His Own Ignorance and that of Others)』, 초서(Chaucer)의 『캔터베리 이야기(Canterbury Tales)』, 노르위치의 줄리앙(Julian of Norwich)의 『상연(Showings)』, 에라스무스(Erasmus)의 『우신예찬(Praise of Folly)』, 마키아벨리(Machiavelli)의 『군주론(The Prince)』, 토마스 무어(More)의 『유토피아(Utopia)』, 몽테뉴(Montaigne)의 『수상록(Les Essais)』, 아빌라의 성녀 테레사(St. Teresa of Avila)의 『영혼의 성(Interior Castle)』, 세르반테스(Cervantes)의 『돈키호테(Don Quixote)』 등이 사용된다.
④ 세미나 IV(Seminar IV)
3학년 2학기에 이루어지는 세미나 IV에서는 르네상스에서 계몽주의 시기에 이르는 저작들이 다루어진다. 세익스피어(Shakespeare)의 『폭풍(Tempest)』, 베이컨(Bacon)의 『신 오르가논(New Organon)』, 데카르트의 『성찰록(Discourse on Method and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홉즈(Hobbes)의 『리바이어던(Leviathan)』, 파스칼(Pascal)의 『팡세(Pensees)』, 스위프트(Swift)의 『걸리버 여행기(Gulliver's Travels)』, 흄(Hume)의 『인간오성에 관한 논집(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루소(Rousseau)의 『인간불평등 기원론(Discourse on the Origin of Inequality)』, 스미스(Smith)의 『국부론(Wealth of Nations)』, 칸트(Kant)의 『프롤레고메나(Prolegomena to any Future Metaphysics)』, 맬서스(Malthus)의 『인구론(Essays on the Principles of Population)』, 오스틴(Austen)의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 괴테(Goethe)의 『파우스트(Faust)』, 모차르트(Mozart)의 『돈 지오반니(Don Giovanni)』 등이 읽기자료로 사용된다.
⑤ 세미나 V(Seminar V)
4학년 1학기에 진행되는 세미나 V에서는 19세기 문학의 고전 문헌들을 포함하여 19세기 유럽의 정석으로 진입한 동양 전통의 중요한 저작들을 살펴본다. 이러한 저작들에는 톨스토이(Tolstoy)의 『전쟁과 평화(War and Peace)』, 공자(Confucius)의 『논어(Analects)』, The Way of Lao Tzu,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ita)』, 헤겔(Hegel)의 『역사철학(Philosophy of History)』, 키에르케고르(Kierkegaard)의 『철학적 단편(Philosophical Fragments)』, 뉴먼(Newman)의 『대학의 사상(Idea of a University)』, 토크빌(De Tocqueville)의 『미국의 민주주의(Democracy in America)』, 멜빌의 『백경(Moby Dick)』, 소로(Thoreau)의 『월든(Walden)』, 밀(Mill)의 『자유론(On Liberty)』, 다윈(Darwin)의 『인간의 유래(Descent of Man)』가 포함된다.
⑥ 세미나 VI(Seminar VI)
4학년 2학기에는 19세기에서 20세기에 걸쳐 있는 중요한 저작들에 초점을 맞춘 세미나 VI가 진행된다. 주요한 읽기 자료는 맑스(Marx)의 『자본론(Capital)』, 『공산당선언(Communist Manifesto)』, 플로베르(Flaubert)의 『보바리 부인(Madame Bovary)』, 니체의 Beyond Good and Evil,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의 『심리학(Psychology)』, 프로이트(Freud)의 『정신분석입문(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 융(Jung)의 『분석심리학(Analytical Psychology)』, 베버(Weber)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의 『청색책(Blue Book)』, 하이데거(Heidegger)의 『철학이란 무엇인가?(What is Philosophy?)』, 엘리슨(Ellison)의 Invisible Man, 도스토예프스키의 『카라마조프의 형제들』 등이다.
⑦ 대학 문학세미나(University Seminars in Literature)
PLS프로그램의 입문세미나는 주의 깊은 독해, 토론, 글쓰기 기술을 함양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학생들은 이 세미나를 통해 호머, 그리스 극작가들, 투키디데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베르길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등 그리스와 라틴 문명의 근간이 되는 저작들을 읽게 될 것이다.
2) 개인교습(Tutorials)
세미나와 함께 병행하여 3학점 학제간 과정으로 운영되는 개인교습은 세미나보다 특수한 문헌과 주제에 보다 집중적으로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은 세미나 수강 이후에 들을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앞서 과정에서 배운 것들이 이후 과정의 기반이 되게끔 한다.
① 예술 개인교습(Fine Arts Tutorial)
a. 예술(Fine Arts)
이 과정은 예술, 미학, 비판적 표현들, 서구 문화를 보고 듣는 방법들에 대한 입문이다. 주된 강조점은 미사곡, 오라토리오, 오페라, 교향곡, 가곡을 포함한 중세부터 현재까지의 음악의 주요 장르에 놓여있지만, 시각예술 및 문학 및 지식 운동에서의 보다 중요한 발전들 또한 다루어질 것이다. 미시간과 시카고 지역의 다양한 살아 있는 예술적 자원들, 음반 및 재생 자료, 슬라이드 및 필름, 그 밖에 이론 상 중요한 저작들을 사용하여 학생들은 예술을 평가하고 논의하는 개념적 틀을 발달시킬 수 있다.
② 지성사 개인교습(Intellectual History Tutorial)
a. 지성사 및 문화사(Intellectual and Cultural History)
이 교습은 역사 및 역사의식과 관련된 이슈를 다룬다. 이 과정의 첫 번째 부분은 역사사료에 관한 주제들 및 문헌에 대한 맥락화된 분석에서 역사적 분석을 사용한 것을 탐구한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역사 이슈는 아우구스티누스, 보쉬에(Bossuet), 몽테스키외, 칸트, 헤겔, 랑케(Ranke), 엘리아데(Eliade)와 같은 저자들을 중심으로 다루어진다.
③ 문학 개인교습(Literature Tutorials)
a. 문학 I: 서정시(Literature I: The Lyric Poem)
이 강좌는 영어로 쓰인 여러 편의 서정시들에 대한 밀도 있는 학습을 통한 시에 대한 입문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선별된 시들에 대한 심도 깊은 독해를 통해 학생들은 운율, 상징, 이미지, 메타포, 패러독스와 아이러니를 포함한 문학적 수단들에 익숙해지게 된다. 학습할 시들은 르네상스에서 20세기까지 걸쳐 있는 것들이며, 돈(Donne), 허버트(Herbert), 마벨(Marvell), 그레이(Gray), 워즈워스(Wordsworth), 디킨슨(Dickinson), 홉킨스(Hopkins), 예이츠(Yeats), 엘리엇(Eliot), 스티븐스(Stevens)의 저작시들과 더불어 세익스피어의 『소네트(Sonnets)』와 키이츠(Keats)의 『오즈(Odes)』를 포함할 수 있다.
b. 문학 II: 세익스피어와 밀튼(Literature II: Shakespeare and Milton)
이 강좌에서는 문학 장르, 양식, 전통의 표현적 힘에 초점을 맞추고 긴 작품의 단일성과 일관성에 대한 질문을 다루게 된다. 읽기 목록에는 세익스피어의 여러 편의 희곡들과 밀튼(Milton)의 『실낙원(Paradise Lost)』이 포함된다.
④ 자연과학 개인교습(Natural Science Tutorials)
a. 자연과학의 기본 개념들(Fundamental Concepts of Natural Science)
이 과정은 물리세계의 경험들의 기본이 되는 질문들을 제기한다. 우선 ‘공간이란 무엇인가?’, ‘시간이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들과 생물의 본질에 관한 보다 폭넓은 이슈들이 다른 고대 문헌들의 주석을 포함한 플라톤의 『티마이오스(Timaeus)』, 아리스토텔레스의 『물리학(Physics)』에 대한 심도 깊은 독서를 통해 제기된다. 이러한 질문들에 대답하기 위해 고대와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의 자료들을 섭렵하게 된다. 이러한 읽기 목록에는 유클리드(Euclid)의 『기하학 원본(Elements)』, 데카르트의 『철학의 원리들(Principles of Philosophy)』, 그리고 아인슈타인(Einstein)의 『상대성 이론(Theories of Relativity)』이 포함된다.
b. 과학적 탐구: 이론과 실제(Scientific Inquiry: Theories and Practices)
역사적 자료들을 활용하여 학생들은 근대 과학적 탐구들, 특히 물리과학과 생명과학에서 제기된 철학적이고 방법론적인 질문들을 살펴본다. 무엇이 과학으로 하여금 새로운 이론을 채택하거나 이에 저항하게끔 만드는가? 과학은 지적 훈련과 어떤 관계를 맺는가? 이러한 관계는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근대과학에서 채택된 자연 세계에 대한 기본 가정들은 무엇인가? 과학자들이 확실한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 주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프톨레마이오스,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갈릴레오(Galileo), 데카르트, 뉴튼(Newton)의 저서들을 포함한 근대 과학의 발달에 있어 핵심적인 텍스트들을 학습하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질문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c. 과학, 사회, 인간(Science, Society, and the Human Person)
이 강좌에서 학생들은 두 가지 상호 연관된 질문을 탐구하게 된다. 첫째, 과학은 인간 본성에 대해 우리에게 어떤 것을 알려주는가? 둘째, 역사적·철학적 숙고는 과학에 관하여 우리에게 어떤 것을 알려주는가? 중요한 역사적·현재적 저작들을 읽고 토론하며 학생들은 인간 및 사회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창출된 수수께끼, 도전들, 통찰들을 접하게 된다. 읽기 목록에는 다윈, 쿤(Thomas Kuhn), 손다이크(Thorndike), 피아제(Jean Piaget)의 저서들이 포함된다.
⑤ 철학 개인교습(Philosophy Tutorials)
a. 철학적 탐구(Philosophical Inquiry)
이 강좌는 철학의 상이한 유형과 탐구를 대표하는 주요 저서들에 대한 탐독을 통해 통합적 인문교육의 맥락에서 다른 학문 영역과의 연관성 및 차별성을 학습하는 철학적 탐구의 입문 과정이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이 강좌를 통해 논리적 추론의 공식적·비공식적 원리들을 탐구한다. 학생들은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저작들 및 플라톤의 『메논(Meno)』,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Organon)』 및 『물리학』에서 출발하여 그의 여러 저작들을 섭렵하고, 보이티우스(Boethius), 데카르트, 니체와 같은 철학자들의 사상 또한 학습하게 된다.
b. 윤리학(Ethics)
이 강좌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Nicomachean Ethics)』과 칸트의 『도덕철학』을 주된 근간으로 하여 도덕적 추론 양식 및 선한 삶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학습한다. 읽기 자료는 공리주의 윤리전통 및 아우구스투수, 아퀴나스, 뉴먼과 같은 도덕 신학 및 도덕적 발달에 관한 여러 저서들 또한 포함한다.
c. 형이상학과 인식론(Metaphysics and Epistemology)
이 강좌에서는 지식, 현실, 그리고 그들 간 관계의 속성에 관한 철학적 개념을 학습한다. 이 강좌의 기본 커리큘럼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Metaphysics)』과 칸트의 『순수이성비판(Critique of Pure Reason)』이 사용되며, 뉴먼, 아렌트(Arendt), 레비나스(Levinas) 등의 저서도 커리큘럼에 포함된다.
⑥ 정치학 개인교습(Political Tutorial)
a. 정치 및 헌법론: 고대와 근대(Political and Constitutional Theory: Ancient and Modern)
이 강좌에서는 정치 공동체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다양한 해결책들의 속성, 특히 민주주의에 대한 밀도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읽기 목록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Politics)』, 로크(Locke)의 『제2서한(Second Treatise)』, 『연방주의자 논집(The Federalist Papers)』에서 선택된 문헌 및 미국헌법문서 등이 포함된다.
⑦ 신학 개인교습(Theology Tutorials)
a. 성서와 해석(The Bible and Its Interpretations)
이 강좌에서는 성서에 대한 밀도 있는 학습을 목표로 성서 구절 중 선택된 구문에 대해 상세한 분석이 진행된다. 이 강좌에서는 교회의 역사에서 성서의 역할, 성서 해석의 역할, 근대 신학에서의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다루게 될 것이다.
b. 기독교 신학의 전통(Christian Theological Tradition)
신, 창조와 인간성, 성육신과 부활, 성례를 포함한 주요한 기독교 교리를 학습하는 이 강좌는 기독교,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마 가톨릭 전통에 대한 역사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읽기 자료는 교부철학의 저자들, 아퀴나스와 같은 중세 저자들 및 바티칸II의 문서들을 포함한다.
3) 4학년 에세이(Senior Essay)
PLS의 독특한 필수 요건 중 하나가 바로 PLS 교수진 중 한 명의 밀착 지도하에서 4학년 마지막 학기에 40~60 페이지 분량으로 작성되는 공식 논문인 4학년 에세이이다. 4학년 에세이는 학생들이 구체적인 주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3년간의 지식과 기술을 통합할 기회를 제공한다.
① 에세이 개인교습
모든 PLS 학생들은 4학년 에세이를 작성해야 한다. 에세이 개인교습에서 4학년들은 자신들의 특정한 관심 주제에 대해 프로그램 교수에게 일대일 지도를 받는다. 모든 가능한 주제와 테마로 쓰인 4학년 에세이를 통해 학생들은 PLS에서 보낸 3년 동안 그들이 얼마나 진보할 수 있는지, 얼마나 많은 것들을 성취할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4) 선택과목(Electives)
PLS 전공자들은 다른 학과의 선택과목들로 PLS 과정을 보충할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제2전공, 부전공, 다른 다양한 영역의 집중과목을 선택하여 이수한다.
논의
1920년대에 콜럼비아대학에서 시작되어 1930년대에 시카고대학에서 뿌리를 내린 대학교육 과정에서의 ‘고전읽기’는 지난 80여 년의 긴 역사를 지니고 있다.20) 미국대학 교양교육의 중요한 기본요소의 한 부분을 서양문명의 전통이 되는 고전에 할애하는 것은 항존주의 교육철학에 기반한 것이었다. 그러나 실용주의(Pragmatism) 교육철학의 관점에서는 고전 텍스트를 서양문명의 유일한 ‘정전(Western Canon)’으로 삼는 것에 대한 비판을 계속해 왔다. 이러한 대립되는 주장에도 고전읽기가 많은 고등교육 기관에서 교양교육의 기본이 되어 왔다는 사실은 미국대학 공동체가 획일적인 교육과정보다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시도하는 데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세인트존대학과 노트르담대학의 고전중심 교육프로그램은 미국대학의 고전읽기 교육의 전형적인 사례는 결코 아니다. 오히려 이 두 사례는 고전중심 교육이 극단적으로 특성화된 경우이다. 다만 이 두 대학의 고전중심 교육과정이 가장 체계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이 두 대학 사례의 고전읽기 교과목에서 아래와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로, 고전 읽기 프로그램에 포함된 고전도서 목록은 문학, 철학, 과학, 신학, 정치이론, 예술, 지성 및 문화사를 포함하는 다양한 학문영역에 관련되어 있으며, 고전읽기프로그램은 학제적, 융합적 접근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은 학문적 경계를 넘어 학제적, 융합적으로 다양한 지식을 접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고전 읽기 프로그램에서 고전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그리스 시대 문헌을 시작으로 하여 로마시대, 그리고 근대 및 현대의 문헌을 순서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인류 역사 상에서 탁월한 사고의 흐름이 정치·사회적으로 어떠한 연관을 맺으며 발전해 왔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셋째로, 고전읽기 중심의 교과목의 대부분이 세미나 형식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수강생(15~16명)이 자신이 읽은 고전에 대한 충분한 토론과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고 있다. 세미나과정과 병행해서 고전읽기 개인지도(tutorials) 과목도 수강하게 하여 단계적이고 밀착적인 학습지도를 제공한다.
넷째로, 고전읽기프로그램 과정을 이수한 학부생들이 법학, 의학, 경영학, 자연과학, 교육학 등을 포함한 인문학 및 사회과학 이외의 여러 전문대학원 과정 진학에도 이상적인 학부전공과정으로 인정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21)
다섯째로, 고전읽기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학부생들이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전읽기(Junior Great Books Program)의 멘토로서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사회참여 체험학습을 한다.22)그리고, 노트르담 대학의 고전담당 교수들은 대학이 위치한 지역사회의 홈리스(homeless)들을 위한 고전읽기 교양강좌를 제공한다.23) 이와 같은 대학 캠퍼스 밖에서의, 특히 소수민족, 저소득 소외계층을 대상으로도 고전읽기 중심의 교양교육프로그램이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미국 대학의 고전읽기 교과과정의 공통적인 제약점은 교과목에서 다루는 고전의 거의 전부가 서양 정전에 한정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간혹 동양이나 중동의 고전들이 포함되는 사례가 있지만 그러한 경우는 지극히 예외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의 저자들의 구성도 서구 출신 백인 남성들에 편중되어 있다는 비판도 있다.24)
한국 대학에서의 고전읽기교육과정에는 전통적인 서구문명에 근거한 고전과 병행해서 한국의 고전은 물론 중국과 일본의 고전도 포함하며, 여성 저자들의 고전들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고전읽기 중심의 과목은 미국 대학의 사례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처럼 강의 위주가 아닌, 학생과 교수간의 토론과 논의 위주, 비판적 사고, 표현 및 성찰 능력을 키우는 훈련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 고전 텍스트 읽기와 병행해서 고전을 원작으로 한 다큐멘터리, 연극, 및 영화 등을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접근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이와 관련해서 고전읽기 세미나의 평가방법도 전통적인 시험과 리포트 등의 유형보다는 롤 플레잉(role playing), 패러디(parody) 등과 같은 창의적이고 전환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
20) Beam, Alex. 2008. A Great Idea at the Time: The Rise, Fall, and Curious Afterlife of the Great Books. New York: Public Affairs.
21) http://pls.nd.edu/about/profiles/
http://www.stjohnscollege.edu/about/colleges.shtml
22) http://pls.nd.edu/about/community-extensions/
23) http://pls.nd.edu/about/community-extensions/
Ethan Bronner. 1999. "For the Homeless, Rebirth Through Socrates." New York Times, March 7, 1999, p.1.
24) Edwin Mcdowell. 1990. "'Great Books' Takes Moderns and Women." New York Times, October 25, 1990.
대학 | 세인트 존스 대학 고전 커리큘럼 |
| 노트르담 대학 고전 커리큘럼 |
1학년 | 호메로스 일리아스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플라톤 메논 아이스퀼로스 아가멤논 아이스퀼로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아이스퀼로스 자비로운 여신들 플라톤 고르기아스 플루타르코스 뤼쿠르고스, 솔론 헤로도토스 역사 플라톤 국가 아리스토파네스 구름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플라톤 크리톤 플라톤 파이돈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플라톤 향연
| 세미나 1 | 호메로스 일리아스 750년경 호메로스 오뒷세이아 750년경 헤로도토스 역사 430년경 아이스퀼로스 아가멤논 458 아이스퀼로스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458 아이스퀼로스 자비로운 여신들 458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왕 427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334? 소포클레스 콜로누스의 오이디푸스 402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441 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 431 에우리피데스 박코스 여신도들 407년경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390년경 아리스토파네스 구름 423 플라톤 소크라테스의 변론 388? 플라톤 크리톤 388? 플라톤 향연 387? |
2학년 | 성서 아모스 성서 요나 성서 이사야 성서 욥기 루크레티우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 플루타르코스 카이사르, 소 카토 타키투스 연대기 에픽테토스 강연 성서 마가복음 성서 누가복음 성서 사도행전 성서 요한복음 성서 요한1서 성서 고린도전서.후서 성서 로마서 플로티노스 선집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안셀무스 프로슬로기온 Christian Creeds 토머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 세미나 2 | 플라톤 국가 387년경 플라톤 파이드로스 385년경 아리스토텔레스 영혼에 관하여 330? 루크레티우스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 55 키케로 의무론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 19 에픽테토스 잠언집 A.D 120년경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400년경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420년경 안셀무스 프로슬로기온 1077~1078 보나벤투라 하나님과 하나 되어 1259 |
3학년 |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데카르트 성찰 파스칼 팡세 밀턴 실낙원 토머스 홉스 리바이어던 스피노자 신학-정치론 라이프니츠 형이상학 논고 라이프니츠 철학에세이 라이프니츠 자연과 은총의 원리 라이프니츠 모나드론 | 세미나 3 | 토머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1272 단테 신곡 1321 페트라르카 몽벤투 등정 1336 제프리 초서 캔터베리 이야기 1387~1400 노르위치의 줄리앙 Showings 1393 에라스뮈스 우신예찬 1511 마키아벨리 군주론 1513 토머스 모어 유토피아 1516 루터 그리스도인의 자유 1520 몽테뉴 수상록 1580~1588 아빌라의 테레사 Interior Castle 1588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1604~1612 |
4학년
|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헤겔 논리학 헤겔 정신현상학 마르크스 공산당선언 마르크스 경제철학수고 마르크스 자본 1 마르크스 독일 이데올로기 키에르케고르 공포와 전율 키에르케고르 철학적 조각들 허먼 멜빌 베니또 쎄레노 | 세미나 4 | 셰익스피어 템페스트 1611 베이컨 신기관 1620 데카르트 방법서설 1637 데카르트 성찰 1641 토머스 홉스 리바이어던 1651 파스칼 팡세 1670 조나단 스위프트 걸리버 여행기 1726 데이비드 흄 인간 이해력에 관한 탐구 1748 장 자크 루소 인간 불평등 기원론 1754 애덤 스미스 국부론 1776 칸트 미래의 형이상학을 위한 서설 1783 맬서스 인구론 1798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1813 괴테 파우스트 1 1808 괴테 파우스트 2 1832 모짜르트 돈 지오반니 |
|
| 세미나 5 |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1865~1869 공자 논어 B.C.500~479 노자 도덕경 B.C.600~200 미상 바가바드 기타 B.C.100~A.D.100 E.A.Burt The Teachings of the Compassionate Buddha 헤겔 역사철학 1822 키에르케고르 철학적 조각들 1844 뉴먼 대학의 이상 1852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1 1835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2 1840 허먼 멜빌 모비딕 1851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월든, 시민의 불복종 1854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1859 찰스 다윈 지울 수 없는 각인, 인간의 유래 1871 |
|
| 세미나 6 | 도스토예프스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1879~1880 마르크스 자본 1 1867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 1848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1857 니체 선악의 저편 1885~1886 윌리엄 제임스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1902 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1904~1905 프로이트 정신분석입문 1917 마르틴 부버 나와 너 1923 비트겐슈타인 청색책 1933~1934 하이데거 What is that-Philoshphy? 1956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1929 버지니아 울프 등대로 1927 랠프 엘리슨 보이지 않는 인간 1952 플라톤 파이드로스 B.C.385년경 |
출처 | http://www.stjohnscollege.edu/academic/ANreadlist.shtml |
| http://pls.nd.edu/courses/great-book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