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경시와 충북 괴산군의 경계를 이룬 대야산은 속리산국립공원내에 포함되어 있고,
시원한 계곡과 반석이 특징이다. 특히 용추의 기묘한 모습은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낸다.
대야산 용추계곡은 경북쪽에 있고 충북쪽으로 선유구곡, 화양구곡을 두고 있어 여름철에는 많은 등산객들이 찾고 있다.
깎아지른 암봉과 기암괴석이 울창한 수풀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산세를 자랑하는 대야산 제일의 명소는 문경8경의 하나인 용추다.
거대한 화강암반을 뚫고 쏟아지는 폭포 아래에 하트형으로 패인 소(沼)가 윗용추이며, 이곳에 잠시 머물던 물이 매끈한 암반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아랫용추를 빚는다.
용추에서 오솔길을 따라 20분쯤 오르면 월영대가 반긴다.
달 뜨는 밤이면, 바위와 계곡에 달빛이 비친다 해서 월영대(月影臺)라고 한다. 대야산 용추의 물은 `문경 선유동'으로 흘러간다.
선유동 계곡에는 학천정이라는 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숙종 때의 학자인 이재를 기리기 위해 1906년에 세운 것이다.
학천정 앞의 큰 바위에는 선유동문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는데 여기서부터 선유구곡이 시작된다
옥석대, 난생뢰, 영귀암, 탁청대 등의 음각글씨는 신라시대 최치원이 남긴 것이라고도 전한다.
특히 문경 선유동의 용추는 하트모양으로 팬 소인데 절경이다.
늘 초록빛 투명한 물이 넘쳐흐르고 있어 신비감을 자아낸다.
주변 바위에는 옛날 용이 승천하면서 남긴 용비늘 자국이 있다.
인기명산 [25위]
깎아지른 암봉과 기암괴석이 울창한 수풀로 둘러싸인 산세가 아름다운 대야산 제일의 명소는 문경8경의 하나인 용추다.
거대한 화강암반을 뚫고 쏟아지는 폭포 아래에 하트형으로 패인 특이 한 소(沼)용추를 흐르는 용추골의 물은 깨끗하기가 그지없다.
대야산은 인기있는 여름 산행지로 7-8월에 가장 많이 찾는다.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
기암괴석과 폭포·소(沼)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속리산 국립공원구역에 포함되어 있는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되었다.
용추폭포와 촛대바위가 있는 선유동계곡 및 `월영대'가 유명하다
산등산코스
벌바위 용추코스
벌바위버스종점 → (1.2㎞, 20분) → 용추 → (1㎞, 25분) →월영대 → (1.5㎞, 50분) → 밀재→ (2㎞, 1시간) → 정상 →(1㎞, 15분) → 건폭 → (2㎞, 1시간) → 월영대 →(1.2㎞, 20 분) → 용용추(약 11㎞ 5시간)
벌바위마을 - 용추 - 월영대 - 밀재 - 정상 - 촛대봉 - 옛불란티재 - 720고지 - 불란티재 -벌바위 (13km 7시간 소요)
중대봉-대야산 코스
농바위마을→농바위골→곰바위→중대봉(846m)→대야산 →피아골→월령대→용추계곡 →가은읍 완장리 벌바위마을→주차장 (7시간)
농바위마을-장화바위-곰바위-대슬램-중대봉-대야산정상 -코끼리바위-밀재-용추골-용추폭포-주차장(6시간30분)
버리미기재 코스
버리미기재-곰넘이봉-미륵바위-불란치재-촛대봉-대야산정상-밀재-떡바위-월영대-용추-주차장(6시간)
대야산 산행코스는 문경 가은읍 벌바위마을 용추계곡, 버리미기재, 농바위마을에서 중대봉-대야야산 연계 산행등 3가지 산행기점이 있다.
용추에서 대야산 코스는 5시간, 중대봉-대야산 코스는 7시간 정도 소요된다.
단체산행의 경우 중대봉-대야산 코스를 많이 이용한다.
용추계곡코스는 주차장에서 용추까지 20분, 월영대까지 40분이다.
월영대에서 밀재로 올라 정상을 간다.
밀재까지는 등산로가 비교적 완만하다.
하산은 정상에서 건폭을 거쳐 피아골, 촛대재-피아골 코스가 있는데 건폭-피아골 코스는 경사가 가파르고 계곡을 이리 저리 건느기 때문에 비가 많이 올 때는 위험하다.
산행시간 5시간 이다.
주차장에서 밀째까지 왕복산행은 2시간 30분, 등산로가 완만하여 가볍게 산행을 하고 암반계곡에서 피서도 하는 무더운 여름에 좋다
* 출처 : 한국의 산하 (상기 산에 대한 설명은 '한국의산하'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