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 2
詩에 주로 쓰이는 용어
시인, 시조시인김석철
1. 수사법/修辭法(표현법, 표현의 기교)
1. 비유법:직유, 은유, 의인, 의성, 의태, 활유, 제유, 환유, 중의, 풍유, 상징, 우화, 대유 2. 강조법: 과장, 영탄, 반복, 열거, 예시, 비교, 점층, 억양, 명령, 미화, 설의, 대조 3. 변화법: 연쇄, 돈호, 돈강, 비약, 역설, 반어,경구, 인용, 현재, 문답,도치, 생략, 댓구 |
2. 상징(象徵) : 추상적인 사실이나 생각, 느낌 따위를 대표성을 띤 기호나 구체적 인 사물로 나타내는 일.
3. 감정이입(感情移入) : 어떤 대상에 자신의 감정을 불어녛거나, 다른 사물로부터 받은 느낌을 직접 받아들여 대상과 자신이 서로 통한다고 느끼는 일.
4. 시의 화자(話者)/시적 자아 :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
5. 시적 허용(사이비 진술) : 시에서만 특별히 허용하는 비문법성. 띄어쓰기나 맞 춤법에 어긋나는 표현이나 비문법적인 문장.
6. 낯설게 하기 : 친숙한 사물이나 관념을 특수화하고 낯설게 함으로써 새로운 느 낌을 갖도록 표현하는 방법.
7. 이미지화(형상화/形象化) : 어떤 사물을 감각적인 인상으로 마음에 떠오르게 하 다. 또는 형체가 분명하지 않은 추상적인 것을 뚜렷한 형상으로 나타내다.
8. 변용(變容) : 정서나 사상 따위를 운율을 지닌 함축적 언어로 표현하 되 사물의 모습이나 형태가 바뀌게 하는 표현.
9. 함축(含蓄) : 어떤 내용이나 요소를 깊이 압축하여 담고 있는 것.
10. 함유(含有) : 포함하고 있는 상태.
11. 내포(內包) : 속에 지니다. 안에 포함하고 있다. 안으로 안고 있는 현상.
12. 승화(昇華) : 어떤 현상이 한 단계 더 높은 영역으로 발전함.
13. 통찰(洞察) :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환히 꿰뚫어 봄.
14. 알레고리(allegory):추상적인 내용을 구체적인 대상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비유법.
15. 아이러니(irony) : 예상 밖의 결과가 빚은 모순이나 부조화. 모순된 점이 있다.
① 속임수 ② 상반된 진술 ③ 반대로 말하거나 그 결과.
16. 예지(睿智) : 사물의 도리를 꿰뚫어 보는 뛰어난 지혜.
17. 정제미(整齊美) : 잘 정돈된 아름다움. 균제미(均齊美).
18. 절제미(節制美) : 정도를 넘지 않고 알맞게 삼가는 데서 느껴지는 아름다움.
19. 품격(品格) : 사람의 품성과 인격.
20. 운율(韻律) : 운문에서 행을 이루는 단어의 배열과 글자의 발음에 의하여 일정 한 리듬감을 자아내게 하는 것.
21. 율격(律格-meter) : 일정한 구조로 반복, 지속되는 소리의 질서
22. 치환(置換) : ① 어떤 일정한 대상을 향하여 있던 욕구가 다른 것으로 바뀌어 나타나는 심리학적 태도. ② 바꾸어 놓다.
23. 환치(換置) : ① 바꾸어 놓음. ② 이전과 다르게 바뀌어지다.
24. 형이상(形而上) : 형체가 없어 감각으로는 파악할 수 없고 오르지 직관에 의해 서만 포착되는 초자연적이고 관념적인 것.
25.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 형이상학에 근거하거나 관련된 것.
26. 형이하(形而下) : 형체를 갖추어 나타나 있는 물질. 수준이나 질이 낮은 상태.
27. 형이하학적(形而下學的) : 형이하학에 근거하거나 관련된 것.
28. 직관(直觀) : 대상이나 현상을 보고 즉각적으로 느끼는 깨달음.
29. 관념(觀念) :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관한 견해나 생각.
30. 착상(著想) : 어떤 일이나 작품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나 구상이 머리에 떠오름.
31. 시적(詩的) : 정서나 사상 따위를 운율을 지닌 함축적 언어로 표현함.
32. 인식(認識) :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아는 일.
33. 포착(捕捉) : ① 깨달아 얻다. ② 이용할 수 있도록 알아차려지다.
34. 심미감(審美感) : 아름다움의 본질을 추구하는 느낌.
35. 변증법(辨證法) : 사물이 운동하는 과정에서 내부에 존재하는 모순으로 인해 자 신을 부정하게 되고, 다시 이 모순을 지양함으로써 다음 단계로 발전해 가는 논 리적인 사고법.
36. 변증법적(辨證法的) : 변증법에 바탕을 두거나 그것에 속하는.
37. 시어(詩語) : 시에 쓰인 말.
38. 메시지(message) :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주장하거나 경고하기 위해 내세우거 나 특별히 전달하는 말. 의미가 있는 말.
39. 정체성(正體性) : ① 어떤 존재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특성. ② 어떤 형편 이나 상태가 진척되지 아니하고 한자리에 머물러 있는 특성.
40. 뉘앙스 : 주로 말투나 표현의 차이에 의해 달라지는 섬세한 느낌이나 분위기
41. 어조(語調-tone) : 말의 가락이나 말하는 투. 말의 분위기. 어조는 대화를 할 때 표현을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며, 어조에 변화를 줌으로 써 화자의 감정과 기분을 전달할 수 있다. 화자가 자신의 감정과 기분에 대해, 또는 대화 상대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느냐.
42. 천편일률적(千篇一律的) : 여럿이 개성이 없이 모두 비슷비슷한 성질을 띠는 것
43. 육화(肉化) :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모습으로 뚜렷이 나타나게 함.
44. 탐미주의자(眈美主義者) : 아름다움을 최고의 가치로 여겨, 거기에 깊이 빠지거 나 몹시 즐기는 사람.
45. 모티브(motive) : 예술 작품에서 창작 동기가 되는 중심 제재나 생각.
46. 오브제(objet) : 다다이즘이나 초현실주의에서, 자연물이나 일상에서 쓰는 생활 용품 따위를 원래의 기능이나 있어야 할 장소에서 분리하여 그대로 독립된 작품 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느낌을 일으키는 상징적 기능의 물체를 이르는 말.
47. 다다이즘(dadaism) : 기존의 모든 가치나 질서를 철저히 부정하고 야유하면서, 비이성적, 비심미적, 비도덕적인 것을 지향하는 예술 사조.
48. 초현실주의(超現實主義) : 비합리적인 잠재의식이나 꿈의 세계를 탐구하여 표현 .의 혁신을 꾀한 예술 활동.
49. 공감(共感) :남의 주장이나 감정, 생각 따위에 찬성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낌.
50. 카타르시스(catharsis) : 비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비참한 운명을 보고 간접 경험을 함으로써, 자신의 두려움과 슬픔이 해소되고 마음이 깨끗해지는 일.
51. 테마(thema) : 창작이나 논의의 중심이 되는 내용이나 주제.
52. 플롯(plot) : 사건을 인과 관계에 따라 필연성 있게 엮는 방식. 구성.
53. 스파크(spark) : 전기의 방전(합선) 때 일어나는 불꽃
54. 캐릭터(character) : 소설이나 연극, 만화 등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
55. 패러디(parody) : 전통적인 사상이나 관념, 특정 작가의 문체를 모방하여 익살 스럽게 변형하거나 개작하는 수법. 우리 말로는 ‘골계(滑稽)’라고 함. 일부러 남 을 웃기려는 행동이나 말.
56. 오버랩(overlap) : ① 이모저모를 겹쳐 보이게 하다 ② 한 장면에 다른 장면 이 겹치게 나타나서 앞의 장면이 서서히 사라지게 하는 촬영 기법.
57. 묘사(描寫) : 어떤 대상이나 사물, 현상 따위를 언어로 그려내거나 그림을 그려 서 나타냄.
58. 중층묘사(重層描寫):한 대상 사상에 대한 구체적이고도 감각적인 표현 양식에다 추상 적인 표현, 즉 사상의 추상적 표현을 교차시켜 서술하는 방법. 즉 이중적 묘사로서 형이 상적 방법이며 현대시의 대표적 표현 방식. 사물이 이미지와 사상의 결합에 의해 교차된 입체적이고도 조형적 형상화를 성립시키는 표현 방식. 감각과 사상이 통합된 시의 표현 방식.
59. 비의(秘義) :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은밀한 뜻.
60. 메타포(metaphor) : 간접적이며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말, 즉 은유적인 표현.
61. 메타언어 : 다른 언어를 기술하거나 분석하는 데 쓰는 언어. 은유적 언어. 뜻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언어.
62, 익살 : 남을 웃기려고 일부러 하는 우스운 행동이나 말.
63. 펀(pun) : 말장난, 말놀이; 농담, 언어유희.
64. 해조(諧調) : 조화로운 가락, 즐거운 가락.
65. 시상[詩想] : 시를 지을 때 떠오르는 시인의 느낌이나 생각.
66. 음보[音步] : 시가의 운율을 이루는 기본 단위. 음의 걸음걸이.
67. 소절(小節) : 마디를 가리킨다. (= 음보)
68. 시적 진술과 설명 : 시적 진술이란 시적 묘사와 더불어 시적 언술의 특징을
드러내는 큰 두 갈래 중의 하나로 구분하는 것인데 외형상 드러난 모양으로는 독백이다. 그러나 이 독백은 의미 있는 깨달음을 바닥에 깔고 있어 정서적 호소 력이 큰 표현이다.
69. 시적 묘사 : 근본적으로 언어를 회화적으로 가시화하고 시적 진술은 독백의 양 상으로 가청화하지만 시적 진술은 시각적 인식과 맞닿아 있는 묘사와는 달리 청 각을 통한 설득과 깊은 관련을 지니고 있다. 시적 묘사가 가시적, 제시적, 감각 적이라면 시적 진술은 가청적, 고백적, 해석적이다.
70. 정서 :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
71. 시상(詩想) : 시에 나타난 사상이나 감정. 시적인 생각이나 상념.
72. 행(行)과 연(聯) : ①행(行)은 시에서 글의 줄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②연(聯)은 시에서, 몇 행을 한 단위로 묶어서 구분한 부분.
73. 해학(諧謔) : 익살스럽고 풍자적인 말이나 행동. 유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