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익산시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가 제 때 처리되지 못한채 계속 쌓이고 있어 처리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전주시와 익산시의 하수슬러지를 처리해왔던 (유)녹원이 최근 공장 가동률을 대폭 낮추는 등 사실상 가동을 중단했기 때문이다. (유)녹원의 가동 중단은 슬러지 재활용품인 고화토의 폐석산 복구용 사용을 최근 익산시가 불허하면서 비롯됐다. (유)녹원은 익산시의 매립중단 조치 이후에도 하수슬러지로 재활용제품을 만들어 쌓아두고 있지만 저장공간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더 이상 작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하루 100톤씩 꾸준히 빠져나가야 하는 익산하수처리장의 슬러지가 조금씩 쌓이기 시작해 이미 위험수위에 다다랐고, 이번주내에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하수처리장 가동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하루 20만톤이 넘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하수처리장 가동이 중단되면 정화되지 못한 오·폐수가 그대로 만경강으로 방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익산시는 지난주부터 상수도 공급시설에서 발생하는 정수 오니와 정화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니 등 슬러지 발생량이 높은 시설의 하수처리장 반입을 금지시키는 등 슬러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긴급조치에 나서고 있다.
익산시는 이와함께 하수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는 민간처리시설을 백방으로 알아보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하루 180톤의 하수슬러지가 발생하는 전주시도 사정은 비슷하다. 현재 (유)녹원의 하루 처리량은 전체의 66%인 120톤으로 매일 60톤씩이 하수처리장에 쌓이고 있다. 이에따라 전주시는 다른 민간 처리업체를 알아보고 긴급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지만 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했다. 전주시는 현재 저장소 개조 등을 검토하고 있지만, 저장소를 늘리더라도 5일 이상 버티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녹원 관계자는 "하수슬러지를 처리해서 매립하거나 야적할 수 있는 용량을 이미 초과했다"면서 "익산시에서 전향적인 행정을 펼치지 않으면 기업 도산은 물론 익산시 하수슬러지 처리도 애를 먹게 된다"고 했다.
이에 대해 익산시 관계자는 "하수슬러지가 위험수위까지 다다랐지만 하수처리장 가동중단사태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다양한 방안을 찾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강모.
"하수슬러지 민간위탁 사업 부실···도민혈세 퍼주나?" |
|
김진덕 의원, 부숙토, 매립장 복토재로 사용 제대로 안돼
|
|
자료출처 : 시사제주 2013. 10. 30. 10:43 양두석 기자
하수슬러지 민간위탁 사업인 하수슬러지 부숙토를 매립장 복토재로 사용이 제대로 추진되고 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0일 제주도 수자원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 김진덕 의원은 "하수슬러지를 부숙할 때 수분 조절재로 과연 톱밥을 사용해 부숙하고 있는지 아니면 나뭇가지를 쪼개서 부숙하고 있는지, 아니면 톱밥을 사용 하고 있다면 야자박을 사용하고 있는지 에 대한 지도 감독이 소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도두하수처리장내 광역하수슬러지자원화 시설에서 처리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비는 톤당 10만7,315원, 올해에 삼다비료에서 하수슬러지 처리할 때 톤당 처리비용은 16만원으로 5만원 이상이 처리비가 증가하고 있다.
김 의원은 "2012년 삼다비료에 하수슬러지 처리할 때 톤당 처리비 약 11만원 정도인데, 올해 삼다비료에서 처리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비가 비싼 이유 무엇이냐"면서 "올해 초에 연구용역한 하수슬러지 처리비 적정원가 산정 연구 용역 결과로 연구용역에서 하수슬러지 적정처리비가 운반비를 빼고 톤당 16만900원으로 나와서 이금액을 갖고 계약을 한 것으로 짜 맞추기식 계약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작년 11월달에 본예산 심의할 때 하수슬러지 민간위탁처리비 사업설명서에 톤당 처리비가 16만1,500원으로 되어 있는데, 올해 초에 연구용역한 원가용역 결과와 거의 일치했다"며 "원가 용역 결과 앞에서도 예기했듯이 톤당 처리비가 160만900원으로 나와 있으며, 직접재료비가 톤당 9만6800원으로 약 66%를 차지하고 나머지는 노무비 일반 경비등으로 구분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톤당 처리비 중 66%를 차지하고 있는 직접경비는 통풍제 즉 수분조절재로 야자박을 사용하고 야자박 구입시 톤당 단가는 40만원이며, 하수슬러지 1톤을 부숙하는데 사용하는 야자박은 22kg으로 약 금액으로 환산하며 8만8,000이 드는 것으로 나와 있고 일부 미생물 제재가 8800원으로 되어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즉, 삼다비료에서 처리하고 있는 하수슬러지 단가가 비싼 것은 하수슬러지를 부숙할 때 야자박을 사용하는 것으로 원가 계산을 해서 비싼 것"이라면서 "삼다비료에서 하수슬러지를 부숙할 때 원가계산 용역대로 야자박을 사용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이어 "삼다비료에서 하수슬러지를 부숙해 현재 색달매립장에 복토재로 사용해야 하는데, 색달매립장에서도 악취문제등으로 인해 실제로 복토재로 사용안하고 그냥 매립하고 있는 실정"이라면서 "회천매립장 음식물자원화시설에서는 퇴비를 만들때 수분조절재로 옆에 있는 제주산업의 톱밥을 사용하고 있는데, 제주산업 톱밥은 재활용 톱밥으로 구매가격이 톤당 약 7만원에서 9만원 정도로 하수슬러지 원가분석 용역상에서 제시한 야자박 톤당 구매단가가 40만원에 약 20%정도"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회천매립장 음식물자원화시설에서도 일부 야자박을 사용할려고 했었는데 야자박인 경우 너무 고가이고, 실제로 사용해봐도 수분조절이 잘 안돼서 포기한 적이 있다"며 "음식물쓰레기를 갖고 농경지에 뿌리는 퇴비를 만드는데도 비싼 야자박을 안쓰고 재활용 톱밥을 쓰고 있는데, 하물며 퇴비로 활용도 안하고 매립장에 반입해 처리하는 슬러지를 부숙하는데 야자박을 쓴다는게 말이 되냐"고 집행부를 질책했다.
이어 "야자박 톱밥을 사용한다면 회천매립장 음식물자원화센터처럼 재활용 톱밥내지 그 이하의 싼 톱밥을 쓰도록 하면 처리 원가는 엄청 줄여들어 도민의 혈세를 줄일 수 있으며, 예산낭비를 줄 일수 있다"면서 "하수슬러지 민간위탁 처리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 2014년 본 예산 심의전까지 조치계획을 수립하고 보고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