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에서는 D-Star 리피터가 이미 운용되고 있고, 울산에서도 D-Star 리피터를 준비중에 있습니다.
D-Star 운용방법 중에 주위에 리피터가 있을 경우 손쉽게 사용하는 방법이 D-Star 무전기를 DR 모드로
설정하고 운용하는 것입니다.
DR 모드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리피터를 통하여 D-Star를 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DR 모드는 Duplex Hotspot 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심지어 Simplex Hotspot 에서도 사용가능합니다.
이제 DR 모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습니다.
DR 모드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DR 모드는 D-Star 장비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같은 ICOM 장비이니 거의 다 비슷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글에서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ID-51A Plus ICOM 50주년 한정판 (50th Anniversary Edition) 핸디 기종의
영문 상급 사용설명서 (ID-51A/E-PLUS 50th Anniversary Advanced instructions) 를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사용하는 그림도 사용설명서의 것을 일부 옮겨서 사용하겠습니다.
기종이 다를 경우, 해당 기종의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시면 더 자세한 사항들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리피터 리스트 및 리피터 그룹
DR 모드를 사용하려면 리피터 리스트가 리그 내에 들어 있어야 합니다.
리피터 리스트는 자기 근처의 리피터 (Access 리피터)를 선택할 때에 필요하며, 또한 내 핫스팟 또는 근처 리피터를
통하여 원격지 리피터로 접속하고자 할때 이 리피터 리스트에서 골라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리피터 리스트는 인터넷 상에서 최신판을 다운드하여 리그에 집어 넣을 수 있는 것으로 압니다 (예 : http://dstarinfo.com/ 등).
(참조)
메뉴얼 8-21 쪽에는 ICOM 사이트에서 파일을 받아 SD 카드를 이용해 리피터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일본버전 다운로드 : http://www.icom.co.jp/support/download/firmware_driver/FrmDwn2.php?TYPE=アマチュア無線機器&CAT=デジタル機
2) 미국/유럽버전 다운로드 : http://www.icom.co.jp/world/support/download/firm/index.html
리피터 리스트는 리그 구입시 기본적으로 들어 있습니다. 리그 버전 (일본 버전, 미국 버전, 유럽버전 등) 에 따라 다른
리스트가 들어있습니다.
인터넷 상에서도 전세계 것 다 들어있는 리스트 또는 특정 지역 것만 들어있는 것 등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도 제대로 확인을 못해 봤으니 이 부분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두겠습니다. 누군가가 국내 리피터 리스트를
작성해서 올려주시면 대단히 유용하겠지요.
아무튼, 현재 국내의 리피터는 어느 리스트에도 들어있지 않은것 같은데...
자기 근처에 있는 리피터의 정보를 ID-51의 리피터 리스트에 직접 집어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메뉴얼에 보면 여러가지 방법으로 리피터 리스트에 자기가 사용할 리피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만, 여기서는 수동으로 직접 입력하는 방법으로 해 보겠습니다. 나머지 방법들은 각자 해 보시기 바랍니다.
(1) 먼저 리피터 그룹 추가 방법입니다. (영문 Advanced 메뉴얼 9-41쪽)
ID-51의 MENU 키를 누릅니다.
D-pad 의 UP (RX->CS) 및 Down (DR) 키와 (Ent) 키를 눌러 DV Memory > Repeater List 로 들어갑니다.
01: Africa 부터 21:FM-USA 까지 여러 종류의 리피터 그룹이 들어있지만, 아쉽게도 Korea가 없으므로 비어 있는 번호에
Korea 그룹을 추가하겠습니다.
비어 있는 번호에 커서를 맞추고 "QUICK" 버튼을 누릅니다. 이어서 "Edit Name"을 누릅니다. 다이얼을 돌려 Korea를
하나 하나 입력합니다.
입력시 대소문자 전환은 역시 "QUICK" 버튼을 누른후 선택합니다. 입력 완료후 D-pad(Ent) 키를 두번 눌러 저장합니다.
메뉴얼에서는 비어 있는 20번에 "China" 그룹을 입력하는 예제 그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 리피터 리스트 Korea 그룹에 내가 사용할 근처 리피터의 정보 입력하기
(영문 Advanced 메뉴얼 9-25~34쪽)
위에서 새로 만든 Korea 그룹에 커서를 맞춘후 D-pad(Ent)를 눌러 들어갑니다.
"QUICK" 버튼을 누른후 "Add"를 선택하고 D-pad(Ent)를 누릅니다.
리피터 정보입력 화면이 나옵니다.
TYPE 선택화면에는 DV Repeater, DV Simplex, FM Repeater, FM Simplex 등이 나오는데 DV Repeater를
선택합니다.
1) DV Repeater : DV 모드의 리피터 동작
2) DV Simplex : DV 모드의 Simplex 동작 (Simplex Hotspot 을 등록할 때 사용하면 되겠죠?)
3) FM Repeater : FM 모드의 리피터 동작
4) FM Simplex : FM 모드의 Simplex 동작
NAME 화면에서 다이얼을 돌려 리피터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South Seoul)
SUB NAME 화면에서 다이얼을 돌려 리피터의 추가 정보를 입력합니다. (예; Korea)
CALL SIGN 화면에서 다이얼을 돌려 리피터의 호출부호를 입력합니다. (예; DS0DN B)
<주의> 리피터의 호출부호 뒤에는 반드시 리피터의 노드(포트) 지정문자를 8번째 자리에 명기해야 합니다.
1200 MHz : A (일본은 B)
430 MHz : B (일본은 A)
144 MHZ : C (일본은 144 MHz 밴드의 리피터 불허)
GW CALL SIGN 화면에서 다이얼을 돌려 리피터의 인터넷 게이트웨이 호출부호를 입력합니다. (예; DS0DN G)
위 단계에서 리피터 호출부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호출부호가 입력되므로 맞는지 확인만 합니다.
GROUP 화면에는 현재 들어와 있는 리피터 그룹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확인하고 넘어갑니다.
혹 그룹을 바꾸고 싶다면 다른 그룹을 선택합니다.
USE(FROM) 는 DR 모드 사용시 액세스 리피터로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NO로 설정하면, 나중에 From 리피터
선택시 이 리피터가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YES 로 설정하고 넘어갑니다.
FREQUENCY 에는 리피터의 송신주파수 (내 리그의 수신주파수) 를 지정합니다. (예 : 439.900.00 맨 끝자리의 0 이
표시되지 않는군요)
DUP 화면에서는 Duplex 방향을 지정합니다. (DUP- 또는 DUP+ 또는 OFF)
OFFSET FREQ 화면에는 주파수 오프셋(편이) 값을 지정합니다. 송신주파수에서 수신주파수가 얼마큼 이격되는지를
지정합니다. (예: 5 MHz 등. 해당 리피터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를 확인하고 맞추어 설정해야 합니다)
POSITION 화면에는 리피터의 위치 정보를 기입합니다. 리피터 검색 기능을 사용하지 않거나, 나와 리피터 사이의 거리를
표시하지 않으면 OFF 로 설정합니다. 대략의 위치는 Approximate 를, 정확한 위치를 입력하려면 Exact 를
선택합니다.
LATITUDE 는 위 항목을 Approximate 또는 Exact 로 설정하면 나타납니다. 리피터 위치의 위도를 입력합니다.
LONGITUDE 는 위 항목을 Approximate 또는 Exact 로 설정하면 나타납니다. 리피터 위치의 경도를 입력합니다.
UTC OFFSET 은 UTC 와 리피터 로칼 시간과의 차이를 설정합니다. 한국은 + 9:00
이상과 같이 다 입력이 되었으면 이어서 나오는 <<Add Write>> 에 커서를 놓고 D-pad(Ent)를 누른 후 나오는
Add write? 에 YES 를 눌러서 입력을 완료합니다.
DR 모드 사용법
DR 모드로 들어가려면 D-pad 에 있는 DR 키를 1초 이상 길게 누릅니다. DR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빠져 니올때도
역시 DR 키를 1초 이상 길게 누릅니다.
사진이 조금 흐립니다만, DR 모드 초기화면입니다.
FROM 에 설정된 것이 내가 사용할 근처의 리피터 입니다. 이 리피터를 Access 리피터라고 부릅니다.
위 사진은 위 과정에서 추가한 제가 사용하는 Duplex Hotspot을 설정해 놓은 모습입니다. 리피터 이름과 리피터의 송신주파수
(즉, 내 수신주파수), 그리고 리피터의 호출부호와 노드 (HL4BPL B) 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TO 는 우리가 알고 있는 UR 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다양하게 지정하여 (DR 모드에서는 메뉴에서 선택하거나
또는 직접 입력하기도 합니다) 원격지 리플렉터나 리피터에 연결할 수도 있고, CQCQCQ 로 설정하여 일반적인 교신을 할
수도 있습니다.
(1) 액세스 리피터 설정 방법
FROM 에 액세스 리피터를 설정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1) 근처의 리피터를 알고 있는 경우, 리피터 리스트에서 직접 선택하는 방법 (영문 Advanced 메뉴얼 8-3쪽)
2) 리피터에서 발사하는 전파를 수신해, DR 스캔으로 찾는 방법 (영문 Advanced 메뉴얼 8-4쪽)
3) GPS 등을 사용해 무전기에 설정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현위치 근처의 리피터를 리피터 리스트에서 찾아 설정하는 방법
(영문 Advanced 메뉴얼 8-5쪽)
4) TX History 에서 설정하는 방법 (영문 Advanced 메뉴얼 8-7쪽) 등
첫 번째 방법, 직접 리피터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방법만 알아 보겠습니다.
위에서 설정한 리피터를 선택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DR 화면이 나타납니다.
2) D-pad 에서 UP (RX->CS)또는 Down(DR) 키를 눌러 커서를 FROM에 맞추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3) Repeater List 로 들어간 후, 위에서 만든 Korea 리피터그룹을 선택해 들어가고, 새로 만든 리피터를 선택합니다.
(예: HL4BPL Duplex)
4) FROM 에 액세스 리피터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두 번째, DR scan을 사용하여 리피터를 찾는 방법
DR 스캔은 리피터 리스트에 액세스 리피터로 지정되지 않은 (즉, USE (FROM) 이 NO 로 설정된) 리피터는 건너 뜁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SCAN 키를 1초 동안 길게 누르면 DR 스캔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다음 4가지 방법중 하나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가) Normal : USE (FROM) 이 YES 로 설정된 리피터를 검색합니다.
나) Near Repeater (ALL)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DV 및 FM 리피터 (총 40개 리피터)를 검색합니다.
다) Near Repeater (DV)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DV 리피터를 검색합니다.
라) Near Repeater (FM)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FM 리피터를 검색합니다.
3) DR 스캔이 시작됩니다. 주파수 표시부의 소수점과 FROM 이 깜박거립니다. 리피터 리스트에 있는 리피터들을
순차적으로 계속 스캔합니다.
4) 리피터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스캔이 멈춥니다. 스캔 도중 DR 스캔을 취소하려면 CLR 버튼 (V/MHz CLR LOW 버튼)을
누릅니다.
이 방법은 리피터 리스트에 정확한 정보(주파수, 위치 등) 가 들어 있어야 하며 스캔을 하고 있을 때 리피터가 신호를 송신하고
있어야 검색되는 것 같습니다.
세 번째, 리피터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리피터를 찾는 방법
이 기능은 내 자신의 위치와 리피터 리스트에 입력된 리피터의 위치 정보를 사용해 근처의 리피터를 찾습니다.
GPS를 Manual로 설정해서 위치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해도 잘 작동하는것 같습니다.
1) 내 자신의 위치를 GPS 수신기로 수신하기
GPS 기능을 사용해 GPS 위성으로부터 내 위치와 시간정보를 수신합니다. 실내에서 잘 안되면 실외로 나가서
수신하는 것이 좋습니다. GPS 위성 검색중에는 GPS 아이콘이 깜박거리고, 정상적으로 신호가 수신되기 시작하면
깜박거림이 멈춥니다.
GPS 사용법은 아래 게시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D-Star에서 GPS 운용 방법 (ID-51A Plus 기준)
2)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3) D-pad 에서 UP (RX->CS)또는 Down(DR) 키를 눌러 커서를 FROM에 맞추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4) 이어서 나오는 메뉴 중 Near Repeater 를 선택하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5) 아래와 같은 검색 옵션중 하나를 선택하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가) Near Repeater (ALL)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DV 및 FM 리피터 (총 40개 리피터)를 표시합니다.
나) Near Repeater (DV)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DV 리피터를 표시합니다.
다) Near Repeater (FM) : 근처에 있는 20개 까지의 FM 리피터를 표시합니다.
6) UP/Down 키를 사용해 원하는 리피터에 커서를 맞추고 D-pad(Ent) 키를 눌러 FROM 에 설정합니다.
네 번째, TX History에서 리피터를 설정하는 방법
TX History는 여러분이 DR 기능을 사용해 송신한 10개 까지의 FROM (액세스 리피터)을 저장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에서 UP (RX->CS)또는 Down(DR) 키를 눌러 커서를 FROM에 맞추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3) 이어서 나오는 메뉴 중 TX History 를 선택하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5) 아래와 같은 옵션중 하나를 선택하고 D-pad(Ent) 키를 누릅니다.
가) TX History (DV) : DV 리피터의 TX History를 표시합니다.
나) TX History (FM) : FM 리피터의 TX History를 표시합니다.
6) UP/Down 키를 사용해 원하는 리피터에 커서를 맞추고 D-pad(Ent) 키를 눌러 FROM 에 설정합니다.
(2) TO (목적지) 설정 방법 : Local CQ (영문 Advanced 메뉴얼 8-9쪽)
TO 는 UR (YOURCALL, 목적지) 를 의미합니다. TO 에 설정하는 것에 따라 여러가지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TO 에 CQCQCQ를 설정해 로컬 지역 (즉, 액세스 리피터) 을 통해 호출 및 교신을 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Local CQ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TO 에 CQCQCQ 가 표시됨을 확인합니다.
5) 이제 PTT를 잡고 교신을 하면 됩니다.
(3) TO 설정 방법 : Gateway CQ (영문 Advanced 메뉴얼 8-10쪽)
이 기능은 TO 에 원격지 리피터를 설정하므로 해서, 자기 근처의 리피터 (액세스 리피터) 에 접속해, 게이트웨이를 거쳐,
인터넷을 타고 가서, 원격지 리피터에 접속해 CQ 호출을 하는 것입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Gateway CQ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peater Group 화면이 나타납니다.
4) 목적지 리피터가 속해 있는 그룹을 선택해 들어갑니다. (예 : USA West) 리피터 리스트가 표시됩니다.
5) 원하는 목적지 리피터를 선택합니다. (예 : Phoenix / Arizona W7MOT B)
6) TO 에 선택한 원격지 리피터가 표시됨을 확인합니다.
주) FROM 에 게이트웨이가 없는 리피터를 선택한 경우, XGW 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 경우 게이트웨이 CALL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액세스 리피터에 인터넷에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없는 경우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주) 원격지 리피터를 선택한 후, 다이얼을 돌리면 같은 그룹내의 다른 리피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TO 설정 방법 : YOUR CALL SIGN (영문 Advanced 메뉴얼 8-11쪽)
"Your Call Sign" 메모리는 "UR" (목적지) 호출부호를 저장합니다. TO 에 "Your Call Sign" 으로 개별 호출부호를
설정하면 게이트웨이 호출을 할 수 있습니다. 즉, 여러분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호출하면 그 국이 액세스했던
마지막 리피터로 자동으로 신호가 보내집니다. 여러분이 그 국이 어디에 있는지 몰라도 호출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Call Sign Routing 이라고 부릅니다.
주) 예전에 이 기능을 테스트해본 적이 있는데, ICOM의 Call Sign Routing 은 불완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Call Sign Routing 관련 게시글이 카페에 있습니다. 다음 글들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CCS (Call Connection Service) 콜싸인 루팅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Your Call Sign 을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상대국을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예: "TOM")
5) 상대국이 TO 에 표시됨을 확인합니다.
주) FROM 에 게이트웨이가 없는 리피터를 선택한 경우, XGW 가 화면에 표시되며, 이 경우 게이트웨이 CALL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즉, 액세스 리피터에 인터넷에 연결된 게이트웨이가 없는 경우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입에니다.
주) 상대국을 선택한 후, 다이얼을 돌리면 메모리에 있는 다른 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 "Your Call Sign" 메모리에 상대국을 저장하는 방법;
아래 설명하는 RX History 또는 TX History화면에서 상대국에 커서를 맞추고, QUICK 키를 누른후 "Add to Memory" 를
실행시킵니다. 또 다른 방법이 있는지는 아직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파악되면 나중에 추가하겠습니다.
(5) TO 설정 방법 : RX History (영문 Advanced 메뉴얼 8-12쪽)
DV 모드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호출 데이터가 50개까지 RX History 에 저장됩니다. 이곳에서 상대국을 읽어서
설정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X History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목록에서 원하는 상대국을 골라 선택합니다. TO 에 설정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TO 설정 방법 : TX History (영문 Advanced 메뉴얼 8-13쪽)
TX History는 여러분이 호출했던 20개까지의 "TO" (목적지) 이름 그리고/또는 호출부호를 저장합니다.
이곳에서 상대국을 읽어서 설정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TX History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목록에서 원하는 상대국을 골라 선택합니다. TO 에 설정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 TX History 데이터를 QUICK 키를 눌러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그곳에서 삭제할 수 있습니다.
(Add To RPT List / Delete / Delete All)
(7) TO 설정 방법 : Direct Input (UR) (영문 Advanced 메뉴얼 8-14쪽)
상대국을 직접 입력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Direct Input (U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다이얼을 돌려서 상대국 호출부호를 한 자 한 자 입력한 후 D-pad (Ent) 를 두 번 눌러 저장합니다.
TO 에 설정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 TO 설정 방법 : Direct Input (RPT) (영문 Advanced 메뉴얼 8-15쪽)
목적지 리피터를 직접 입력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Direct Input (RPT)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4) 다이얼을 돌려서 목적지 리피터 호출부호를 한 자 한 자 입력한 후 D-pad (Ent) 를 두 번 눌러 저장합니다.
TO 에 설정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 리피터 호출부호에 노드를 지정해도 괜찮습니다. (예 : NS9RC B)
/JP3YDH 와 같은 것도 좋습니다. 이것은 Gateway Call 을 위한 리피터 호출부호 입니다.
관련 내용은 다음 글을 참조하세요.
(9) TO 설정 방법 : REF 리플렉터 접속하기 (영문 Advanced 메뉴얼 8-17쪽)
여러분이 사용하는 액세스 리피터가 어떤 리플렉터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다른 리플렉터로 바꾸고 싶을때
행하는 조작입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직접 입력하기
2) TX History 사용하기
첫 번째 직접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Link to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Direct Input 을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6) REF000AL 이라고 표시된 것 중 번호 부분에 커서가 깜박거리는 상태에서, UP /Down 키를 누르든지
다이얼을 돌려서 원하는 번호에 맞춥니다. 이어서 D-pad의 오른쪽 화살표키(CS) 를 눌러 모듈 번호 부분으로
커서를 옮긴 후 역시 UP /Down 키를 누르든지 다이얼을 돌려서 원하는 번호 (A~E)에 맞춥니다.
주) 이 기능은 REF 리플렉터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F 리플렉터는 A 부터 E 까지 다섯개의 모듈을 가지고 있고
E 모듈은 에코 테스트 용이므로 실제 교신은 A~D의 4개 모듈을 사용합니다.
7)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Link to Reflector REF001CL"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상태에서 PTT를 잠깐 잡으면 해당 리플렉터의 해당 모듈에 연결되고, 연결되었다는 영문 음성 메세지가 나옵니다.
(Linked to REF001 Bravo!)
두 번째 TX History 사용하기 입니다.
TX History 는 여러분의 액세스 리피터가 이전에 연결했었던 5개 까지의 리플렉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Link to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UP/Down 키를 사용해 목록에서 원하는 리플렉터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6)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Link to Reflector REF001CL"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상태에서 PTT를 잠깐 잡으면 해당 리플렉터의 해당 모듈에 연결되고, 연결되었다는 영문 음성 메세지가 나옵니다.
(Linked to REF001 Bravo!)
(10) TO 설정 방법 : XRF 및 DCS 리플렉터에 접속하기
DR 모드의 리플렉터 메뉴에서는 REF 리플렉터만 선택할 수 있고, DCS 나 XRF 리플렉터를 지정하는 메뉴가 없습니다.
따라서 위 (7) TO 설정 방법 : Direct Input (UR) 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개별 리피터나 개별 호출부호 대신 접속하고자 하는 리플렉터와 모듈를 지정하면 됩니다.
예 : DCS001GL 또는 XRF071CL 등
과정을 약술하면
DR > TO > Direct Input (UR) > XRF071CL
(11) TO 설정 방법 : 리플렉터 사용하기 (영문 Advanced 메뉴얼 8-18쪽)
위와 같이 원하는 리플렉터에 접속된 후 교신을 하려면 TO 를 CQCQCQ 로 바꾸어야 합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Use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Use Reflector CQCQCQ"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이제 PTT를 잡고
교신을 하면 됩니다.
(11) TO 설정 방법 : 리플렉터 접속 끊기 (영문 Advanced 메뉴얼 8-91쪽)
다른 리플렉터에 접속하기 전에 현재 접속된 리플렉터로부터 접속을 끊는 과정입니다. 사실 접속을 끊지 않고 바로
다른 리플렉터에 접속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Unlink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Unlink Reflector U"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6) PTT를 잠깐 잡았다 놓으면 접속이 끊기며, 끊어졌다는 영운 안내 음성 메세지가 나옵니다 (Not Linked!)
(12) TO 설정 방법 : 리플렉터 에코 테스트 (영문 Advanced 메뉴얼 8-19쪽)
이 기능은 여러분의 신호가 액세스 리피터로 잘 들어가는지, 리피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Echo Test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Echo Test E"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6) PTT를 잡고 음성을 송신후 PTT를 놓으면, 송신했던 음성을 다시 들을 수 있습니다.
(13) TO 설정 방법 : 리피터 정보 요구하기 (영문 Advanced 메뉴얼 8-20쪽)
이 기능은 여러분이 액세스 리피터에게 리피터 정보 명령을 보내면 ID 메세지를 되돌려 줍니다.
1) DR 키를 1초 동안 길게 눌러 DR 모드로 들어갑니다.
2) D-pad UP 키를 눌러 TO 에 커서를 맞추고 D-pad (Ent)를 누릅니다.
3) Reflector 를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REFLECTOR 화면이 나옵니다.
4) Repeater Information 을 선택하고 D-pad (Ent)를 누릅니다.
5) DR 모드 초기화면의 TO 부분에 "Repeater Information I" 와 같이 표시됨을 확인하세요.
6) PTT를 잠깐 잡았다 놓으면 리피터의 ID 메세지를 들을 수 있습니다.
예) Not Linked! 또는 Linked to REF001 Chalie!
일단 여기까지 입니다.
위에 적은 내용은 ID-51 핸디에서 키를 조작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만, 설정 부분은 CS-51 같은 Cloning Software를
사용해 수행하면 훨씬 쉽게 할 수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예전의 게시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RF071 사용을 위한 ID-51A Plus 메모리 운용 방법
필요시, 시간 나는대로 내용을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그렇잖아도 DR모드가 궁금했는데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래전에 올려 놓은 memory channel 은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4FM에서는 코드플럭이나 무전기 설정은 어떻게 방법이 있는지요? 아직 활성화가 안된 것 같기는 한데요...
1) Wires-X 의 경우는 Yaesu 자체 Software를 사용하므로 특별한 설정이 필요없고
2) FCS 리플렉터의 경우도 대부분 Hotspot에서 제어를 하니 특별한 리그 설정이 필요없고
3) YSF 리플렉터도 Hotspot 또는 리그에서 간단한 키 조작으로 사용하니
특별히 설정해서 별도로 빼낼 수 있는 코드플러그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어떠한 부분에서 애로를 느끼시는지요?
@HL4BPL 저는 이동하는 걸 전제로 해서 이야기 한 것 같습니다. 그것도 차 말고 걸어서 이동할 때 가능하면 휴대하기 쉽게 Hotspot 하고 무전기만 가지고 이동하면서 운용할 때 코드플럭으로 무전기에서 간단히 조작하는 방법을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빨리 해보고 싶습니다
감사 합니다
내용이 많이 추가되었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