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tiny & fate
오이디푸스의 destiny 혹은 fate
‘destiny’와 ‘fate’는 우리말로는 흔히 ‘운명’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그 담긴 의미는 같지 않다. 사전을 찾아보면 두 단어가 유의어에 속해 있지만,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다른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단어 모두 ‘미래에 일어날 어떤 것’으로서 초월적인 힘, 즉 신(God) 혹은 신과 같은 어떤 것의 작용으로 발생하는,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영역의 어떤 것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그러나 미래에 일어날 그 어떤 것이 위대하고(great) 중요한(important) 무언가라면 ‘destiny’로 이해될 것이며 그와 달리 피할 수 없는(cannot be avoidable), 슬프고(sad) 불쾌한(unpleasant) 어떤 것이라면 그것은 ‘fate’로 불려진다. 좋은 것과 나쁜 것을 모두 아우르고 있는 우리말의 ‘운명(運命)’이라는 단어는 그 모든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destiny이든 fate이든 어쨌거나 인간이 어찌해 볼 수 없는 사건이기는 마찬가지이다. 소포클레스는 인간에게 덧씌워진 운명, 그것도 ‘fate’를 다루고 있다. 이 fate는 피할 수도 없이 온전히 당해야만 하는 어떤 것이다. 인간의 입장에서는 솔직히 억울한 감이 없잖아 있다. 라이오스도 오이디푸스도 신탁을 피하기 위해, 그러니까 그들에게 주어진 불행한 ‘운명’을 피하기 위해, 라이오스는 아들을 버리고, 오이디푸스는 집을 나간다. 그럼에도 그들은 운명을 피하지 못한다. 어차피 정해져 있는 것을 이름하여 ‘운명’이라 했으니, 그들이 그렇게 하는 것까지 모두 운명이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에 입력되어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노력’이라는 이름으로 행하는 인간의 모든 행위도 알고 보면 ‘운명’에 포함된 한 부분에 불과한 것일지도.
사주를 보겠다고 철학관을 간 적이 있다. 혹 나쁜 말을 들을까, 쉬이 가지 못하는 곳이었지만 궁금했다. 내 운명이라는 것이 도대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 어째서 이 모양 이 꼴인지, 혹 해답이라도 있을까, 답답한 마음의 마지막 열쇠라도 쥘 수 있을까 하여 나름으로는 큰마음을 먹고 방문한 적이 있다. 꽤 큰돈을 내고 꽤 긴 시간을 앉아 스님의 말씀을 들었다. 내 사주팔자라는 것이 어떠한지에 대해. 듣고 보니 그래서 그랬던가 싶기도 하고, 한편으론 정말 그럴까 싶기도 했다. 여하튼 스님의 요지는 모든 것은 정해진 대로 간다는 것이었다. 노력의 정도까지도 이미 정해져 있는 것이라고 한다. 운이라는 것이 좋을 때도 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고. 그러니 좋다고 너무 좋아할 것도, 나쁘다고 너무 힘들어할 것도 없다고. 잘 안 풀리면 준비하며 기다리면 될 일이고, 좋으면 좋으니 더 잘 되도록 분발해야 할 일이고. 뭐, 어느 부분은 새겨들을 만하기도 했다.
하지만 기어이 소화되지 않고 명치에 걸려 캑캑거리게 하는 부분도 있었다. 인간의 삶은 정해진 대로 간다는. 역학이라는 것이 결국 운명론과 맞닿아 있지 않나. 그러면. 노력 따위 할 필요가 없나. 모든 게 정해져 있다면 인간은 뭘 하지. 아바타처럼 입력된 대로 사는 게 다인가. 오이디푸스가 제 아버지를 죽이고 제 어머니와 결혼한다는 참담한 운명을 피하기 위해 기껏 부모님을 떠나 왔건만 소용이 없었다. 결국 오이디푸스는 제 아버지를 죽이고 제 어머니와 결혼하여 세상에 내놓을 수 없는 자식을 낳았다. 피할 수 없었나, 생각해보면 이런저런 ‘만약’이 떠오른다. 오이디푸스가 차라리 제 양부모를 떠나지 않았다면, 차라리 제 양아버지에게 출생에 대해 직접 물어 보았다면, 라이오스가 제 아들을 죽이기 위해 내치지 않고 오히려 곁에 두고 지켜보았다면, 오이디푸스가 삼거리에서 마주친 노인 일행을 죽이지 않았더라면, 등등. 그러나 설령 그랬다해도 소포클레스는 그들을 정해진 ‘fate’에서 벗어나게 해주었을 것 같지는 않다. 아무리 돌고 돌아도 결과는 똑같은. 다들 잊고 살지만 마지막엔 결국 죽음이 도사리고 있는 게 인간의 운명인 것처럼. 하지만 너무하지 않은가. 아무리 그래도 왠지 억울하다. 그러면 우리네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
커다란 틀인 ‘fate’나 ‘destiny’ 같은 것은 애초에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만큼 살아보니 분명 인간의 힘으로 어쩌지 못하는, 그런 게 있는 것 같기는 하다. 인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여자나 남자로 태어난 것, 이러저러한 부모님 아래 태어난 것 혹은 이 나라 대한민국에 태어난 것과 같은 것들. 그러나 ‘fortune’이나 ‘lot’와 같은 ‘운’이라는 것도 있단다, 인간사에는. 이런 ‘운’은 노력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 예컨대 꾸준히 사과즙을 먹으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한다든가, 한 달에 몇 번의 글쓰기를 하겠다든가, 일 년에 몇 권의 책을 읽겠다든가 하는 따위의. 한심한가, 인간이 할 수 있는 게 고작 이런 것뿐이라서. 하지만 고작 그런 것이 모여 때로 'destiny'가 되기도 때로 'fate'가 되기도 하는 것일 테다. 그리하여 어쩔 수 없는 건 어쩔 수 없으니 어쩔 수 없는 대로 내버려두고 어쩔 수 있는 것들을 하며 살아보는 수밖에 없다.
끔찍한 현실을 인지한 이오카스테가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음으로써 현실에서 벗어난 것과 달리, 오이디푸스는 그 참담한 운명을 맞닥뜨리고도 자살하지 않는다. 자신으로 인해 벌어진 비극을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다하여 제 눈을 찌르기는 해도, 목숨을 끊지는 않는다. 이오카스테처럼 차라리 죽는 게 낫지 않나, 했다. 그러나 그것은 오히려 쉬운 일이다. 그래서 그것이 오이디푸스의 훌륭한 결단이라고 한다. 죽지 않고 살아서 그 모든 고통을 감내하는 것. 신의 힘, 즉 ‘fate’에 굴복하지 않고 끝끝내 살아내는 것, 아마도 그것이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이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