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수성형 드라이 라미네이션
수성형 드라이 라미네이션이란 용제의 대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이다. 라미네이터는 상술의 용제형의 기계 구조와 같은데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조 능력은 용제형에 비해 보다 높은 능력을 필요로 한다.
유기 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우수하고 안전성이 우수한 라미네이트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물에 분산시키는 것 부터 접착제를 유화(에멀젼)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접착제 공급장치는 기어 펌프 등 전단응력이 걸리는 것은 에멀젼이 파괴되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다이아프럼 펌프나 마그넷 펌프 등이 바람직하다.
가공적성으로는 용제형에 비해 건조 온도를 높힐 필요가 있고, 또한 필름 기재로의 젖음성이 나쁘기 때문에 생산 스피드를 올리지 못한다는 제약이 있다(일반적으로 100~150m/min). 스낵 등의 경포장의 용도에 실적이 있고, 도포량을 늘려서 보일 용도까지 전개 가능한데 실적은 없다. 다른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식에 비해 생산성이 낮은 것에 더해 아크릴 수지 유래의 독특한 취기가 식품 포장으로서는 회피되는 주요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3) 무용제형 라미네이선(논솔벤트 라미네이션)
무용제 라미네이트 방식은 주요가 되는 우레탄계 접착제가 광범위한 기재에 강력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기초로, 이에 더해 용제 사용에 의한 여러 가지 단점을 피하는 방법으로서1970년대 후반에 고안되어 전개되었다.
용제분을 제거하는 건조부가 불필요하고, 접착제를 가온하여 점도를 낮춰 가공 가능한 도공부를필요로 한다. 그림 2.12에 라미네이트 개략도를 나타내었다.
무용제(논솔벤트)의 특징은 대기오염, 인화의 위험성, 건조에 필요한 에너지, 잔류용제, 기재 열변형의 리스크 등이 없다. 가공 속도는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보다 고속화가 가능하여 가공 코스트는 유리하게 된다. 사용용도로서는 포테이토칩 봉투 등의 경포장이 일반적으로 용도가 제한되어 있는데, 최근 접착제의 개발이 진행되어 성능이 향상하여 보일 용도까지 확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