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Supply chain 전체를 아우르는 기업의 물류부의 임무
제조업, 유통업 등의 물류, logistics부의 실무 영역은 여러 영역에 걸쳐 있다.
일반적으로 물류라고 하면, 수송의 이미지가 강하게 되어 있는데, 물류부의 업무에는 수송부문 이외에 보관, 하역, 유통 가공(물류 가공), 포장의 각 부문의 업무도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즉, 수송 배송 네트워크의 관리만이 아닌, 물류 센터의 운영, 물류 정보의 지원 시스템의 도입이나 관리 등도 logistics부의 업무인 것이다.
메이커, 도매업, 소매업 등의 logistics부의 임무는 주로 이러한 물류의 모든 기능에 대해서 사내외의 조정을 행하는 것에 있다. 또한 업무 위탁 등을 행하는 경우, 물류 기업 등의 절충이나 협의 등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업의 logistics부에서는 기업 이념, 기업 전략을 염두에 두고 중장기적인 물류전략의 방향성을 종합하거나, 사회 환경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어떻게 물류 operation을 채용해 갈지, 자료를 종합하거나, 데이터를 정리, 분석하는 것도 있다.
또한, 메이커, 유통업 등이 물류부와 별도로 물류 자회사를 그룹 내에 소유하거나, 물류 센터 업무나 배송 업무 등의 라인 기능을 물류 기업에 외부 위탁을 하는 케이스도 있다. 이 경우 logistics부가 이러한 사외의 물류 기업과의 연대, 조정 역할을 한다. 재고 정책, 매일 물류 operation 방침 등에 대해서, 물류 기업 등과 충분한 협의나 의논, 검토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기업이 사업을 global 전개해 있는 경우, 물류에 대해서도 관련 업무를 행해야 한다. 해외용의 출하 지시나 국외 물류 센터, 공장 등과의 조정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반대로 해외로부터의 수입 화물에도 대응해야만 한다.
요점 BOX 다방면에 걸친 물류, logistics부의 실무 영역 중장기적인 물류 전략의 책정 |
<물류부의 사내외에서의 기능과 역할>
#서플라이체인 #logistics #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