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칼빈대학교 대학원 수원학습관
 
 
 
카페 게시글
사회복지복지실천론 2025-1 사회복지실천론-제07주(김동진)
김동진(교수) 추천 0 조회 31 25.04.14 10:16 댓글 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5.04.20 06:53

    첫댓글 1. 강점관점의 정의
    ① 클리이언트 자신의 다양한 문제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사회복지 실천활동의 전 과정에서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자원을 발견하여 묘사, 탐색, 활용하려는 총체적인 노력이다.
    ② 의료모델에서 탈피하여 출현하게 되었다.
    ③ 근대주의적 관점에서 탈근대주의 관점으로 변환하여 진행되었다.
    ④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역량, 재능, 경쟁력, 가능성, 비전, 가치, 희망 등의 관점에서 보았다.
    2. 강점 실천 원리
    ① 클라이언트에 대한 초기 불신을 중지해야 한다.
    ② 평등한 실천관계 속에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 협력적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③ 강점관점에서 입각한 실천을 위해 사회복지사에 의한 문제 정의, 상황 해석, 개입 처방 등 철저히 자제해야 한다.

  • 25.04.23 13:08

    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관점에 대한 내용으로 강점관점, 사회구성주의, 다문화관점, 성인지관점, 비판적관점이었다. 특히 강점관점은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지향하여 임파워먼트가 클라이언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실천과정을 수행하는데 본질적인 배경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실천에서 강점관점을 적용하는 것은 각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자원을 강조하고 클라이언트의 강점을 활성화하여 사회보기자사 클라이언트체계의 변화과정에 초점을 두도록 하는 것이다. 강점관점은 사람들의 결함과 무능력에 초점을 두는 병리적 관점과는 다르게 그들이 가진 능력과 강점을 확인하고 이용하고 증진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강점관점은 생활주기에 따른 실천과정에 유용하고 사람들의 능력, 가치, 관심, 열망, 수행능력과 자원은 강조한다고 한다.

  • 25.04.26 13:19

    강점 관점에 대해 깊게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모든 개인은 강점과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활용하여 변화와 성장을 할 수 있다는 관점인데
    특히, 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강점 중심의 접근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주도적으로 자신이 처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점에서
    클라이언트의 자존감을 지키고, 역량과 자립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좋은 실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25.05.09 16:23

    강점관점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문제보다는 그들의 강점과 자원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노력을 말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사회적 약자로 여겨질 수 있지만, 그들 안에는 각자의 강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해주는게 중요합니다.
    의료모델에서 탈피하여 대안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탈근대주의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단순히 판단하지 않고, 그들의 가능성과 강점을 바라보고 그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도와주어야 합니다.
    강점 관점과 사회 구성주의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강의였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