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韓信.BC ?∼BC 196)
중국 한(漢)나라 초의 무장. 회음(淮陰: 江蘇省) 출생. 진(秦)나라 말 난세에 처음에는 초(楚)나라의 항량(項梁)ㆍ항우(項羽)를 섬겼으나 중용되지 못하다가 마침 장량의 권유를 받아 한왕(漢王: 高祖 劉邦)의 군에 참가한 뒤, 승상 소하(蕭何)에게 인정을 받아 대장이 되어 위(魏), 조(趙), 연(燕)을 차례로 멸하고 드디어는 초패왕(楚覇王) 항우를 해하(垓下)에서 격파하여 전한(前漢) 창건에 대공을 세움으로써 초왕에 봉함을 받았다.
그러나 한제국(漢帝國)의 권력이 확립되자 유씨(劉氏) 외의 다른 제왕(諸王)과 함께 차차 밀려나, BC 201년 회음후(淮陰侯)로 격하되고, BC 196년 후에 열후 억멸책(列侯抑滅策)과 함께 진희(陳d)의 난에 통모(通謀)하였다 하여 여후(呂后)의 부하에게 참살당하였다.
장량(張良), 소하(蕭何)와 함께 한(漢) 나라 창업 삼걸이라 일컫는다.
일찍이 그가 어린 시절, 가난하여 빨래하는 여자에게 거두어져 밥을 얻어먹고 지낼 때 길을 가던 중 회음 소년이 그를 욕보이려고 앞을 가로막아 “네 이 길을 가려거든 사타귀 밑을 기어 진라”하매, 사세부득 순순히 사타귀 밑을 기어 지났다고 하는 일화는 참된 용기를 드러낸 것으로 유명하다.
【한신의 용병법】유방이 항우에게 패하여 검각산(劍閣山)에 잔도(棧道)를 놓고 촉(蜀)으로 들어간 뒤, 그 잔도(棧道)를 끊어 적이 따름을 막았더니 한신이 대장이 되자 자기가 대장이 못 되어 항시 불평만 하던 번쾌(樊噲)를 시켜 검각산의 잔도를 고치게 하매, 항우는 다시 그 길로 넘어올 계획인 줄 짐작하고 서둘러 병력을 모두 검각산쪽으로 집결시켜 놓자 한신은 예상을 뒤집어 땅이 곤죽같이 질고 좁아서 사람이 잘 다니지 않는 진창(陳倉)으로 빠져 나와 항우의 허를 찔러 크게 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