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문화숲길2차 둘째 날-1
내포문화숲길 제16코스(합덕시장-둔군봉-면천읍성)
2017.5.9(화) 흐리고 비. 아내동행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FAF37591830E526)
합덕 충무장 출발
아침식사 시장 안 웰빙식당(소머리국밥 \7,000*2)
07:08 합덕시장 출발-예보는 오후 세시부터 비가 온다고 했는데 가랑비가 내리고 있다. 비옷을 꺼내 입는다.
07:25 석우천 둑길-어제 끝낸 지점에서 16코스를 이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2095A335917899225)
07:29 성동교 앞
07:37 32국도 운산2교 아래통과-계속 강둑길을 따라간다.
07:43 운곡교-지방하천 석우천 표지판. 석우천을 왼쪽으로 건너 둔군봉을 바라보며 계속 강둑길을 따라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723335917899415)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4DC33591789972B)
07:57 석우리마을회관
08:06 작은 다리를 건너서 70번국지도에서 산길로 오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2D7A335917899921)
08:17 급수탱크
08:34~08:47 둔군봉(137.3m)-삼각점(당진461). 정자에서 잠시 쉬고 넓은 산길 따라 내려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59D0335917899C2E)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43E335917899F28)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CC338591789A108)
08:58 갈림길-도곡리사지(寺址)안내판. 오른쪽 길에 정자.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74238591789A430)
09:11 오른쪽에서 오는 시멘트 길을 만나 따라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277738591789A73E)
09:15 갈림길-합덕면·순성면계. 왼쪽은 나산리. 구절산을 거쳐 면천읍성으로 가는 16-1코스이고 16코스는 오른쪽 광천리. 구절산을 거쳐 면천읍성으로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66538591789A909)
09:17 남원천 너머로 순성면소재지가 뿌옇게 바라보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07AE38591789AB09)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BFE38591789AE08)
09:24 금배마을 길
09:37 광천리 유물 산포지 안내판. 광천리버스정류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BE538591789B103)
09:40 나산리 표지석-이어 나산리버스정류장. 몽산과 아미산을 바라보며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E3A3C591789B330)
![](https://t1.daumcdn.net/cfile/cafe/2464AB3C591789B626)
09:46 남원천-왼쪽 둑길을 따라간다. 둑을 따라 매화나무가 이어지는데 마을노인회에서 심은 것이란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2F63375917982808)
![](https://t1.daumcdn.net/cfile/cafe/257802375917982E17)
09:57 남원천을 오른쪽으로 건너는 다리-합덕·순성면계에서 갈린 16-1지선코스를 여기서 만난다. 몽산과 아미산을 바라보며 백석리마을로 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3BA375917983411)
![](https://t1.daumcdn.net/cfile/cafe/2334F4375917983811)
10:13 쉼터(정자)-비가 그쳐 비옷을 벗고 잠시 쉬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1AE375917983D0A)
10:35 619지방도-백석리 표지석. 지방도를 건너 검을들마을 방향으로. 봉소2리(구절산 입구)버스정류장.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80A375917983F0B)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FFF37591798440E)
10:43 쉼터(정자)-16코스 백제부흥군길 안내판. 시멘트 오르막길이 이어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53C30355917984914)
![](https://t1.daumcdn.net/cfile/cafe/21741C355917985012)
10:57~11:34 하늘이 맑아진다. 길바닥에 젖은 옷 널어놓고 쉬어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47535355917985712)
11:38 정자(쉼터)
11:40 임도삼거리-오른쪽에서 오는 석문지맥을 만나 따라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B8B355917985D18)
11:42 갈림길-임도 따라 가는 길과 산길로 구절산을 넘어가는 길이 갈리는 곳이다. 왼쪽 산길로 오른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64FF335591798631B)
11:49 철탑(No.82)
11:51 구절산(238.9m 고시된 지명 아님)-정상은 덕수 이공 묘지. '석문지맥 238m 준·희' 표지.
![](https://t1.daumcdn.net/cfile/cafe/260D213C591789B92D)
11:56 쉼터(의자)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71335591798691A)
12:00 쉼터(의자)
12:06 임도사거리-내포문화숲길 종합 안내판.
직진하는 길은 대덕산입구에서 면천읍성으로 이어가는 20코스이고 16코스는 왼쪽으로 꺾어 내려간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2AFF355917986F1C)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F933C5917987532)
12:13 쉼터(의자)
12:21 임도삼거리-순성면·면천면계. 주택 한 채. 면천면으로 들어선다.
12:32 면천향교-홍살문과 하마비. 명륜당 둘러보고.
![](https://t1.daumcdn.net/cfile/cafe/25135A3959179B4625)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98D3959179B4A2C)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C6A3959179B4F1E)
12:38 골정저수지-이제 막 연잎이 피어나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04F3959179B542A)
![](https://t1.daumcdn.net/cfile/cafe/240641335917898F28)
12:41 당진 면천읍성 안내판.
![](https://t1.daumcdn.net/cfile/cafe/21574B3959179B5923)
12:44~13:09 면천공립보통학교 3월10일 학생독립만세운동 기념비.
바로 앞 초원콩국수집에서 점심(검은콩국수 \7,000*2)
![](https://t1.daumcdn.net/cfile/cafe/231A9B3959179B5E2A)
13:13 면천초교 앞-풍락루. 구 면천면사무소. 수준점(12-04-10-04 해발고도 59m). 몽산성마룻길 등산로 안내판.
![](https://t1.daumcdn.net/cfile/cafe/234CE23959179B6118)
![](https://t1.daumcdn.net/cfile/cafe/230FFF3759179B6517)
13:17 면천군지-면천읍성 안내판. 면천읍성 복원정비 계획 안내판.
17코스 내포역사인물동학길 안내판.
16코스 종점이다. 17코스를 이어간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9권
충청도 면천군(沔川郡)
동쪽으로는 홍주(洪州) 경계까지 17리고, 남쪽으로는 덕산현(德山縣) 경계까지 12리이고, 서쪽으로는 당진현(唐津縣) 경계까지 13리이고, 북쪽으로는 같은 현 경계까지 15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3백 7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백제의 혜군(槥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혜성군(槥城郡)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顯宗)이 운주(運州)에 붙였다가,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으며, 충렬왕(忠烈王) 16년에, 고을 사람 복규(卜奎)가 합단(哈丹)의 군병을 방어한 공로가 있어 지면주사(知沔州事)로 승격시킨 것을, 본조 태종 1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군(郡)으로 한 것이다.
【산천】 신암산(申庵山) 군 북쪽 12리에 있다. 다불산(多佛山) 군 서쪽 10리에 있다. 몽산(蒙山) 군 북쪽 4리에 있다. 봉서산(鳳棲山) 군 동쪽 2리에 있다. 마산(馬山) 군 남쪽 8리에 있다. 소이산(所伊山) 군 북쪽 9리에 있다. 창택산(倉宅山) 일명 고산(高山)이라고도 하는데, 창택곶(倉宅串)에 있다
【성곽】 읍성(邑城) 돌로 쌓았는데 주위가 3천 2척에 높이는 15척이며, 안에 두 개의 우물이 있다.
【학교】 향교 군 동쪽 2리에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210CBB3759179B6A1B)
![](https://t1.daumcdn.net/cfile/cafe/2258373759179B6F0C)
![](https://t1.daumcdn.net/cfile/cafe/277EB43759179B741D)
![](https://t1.daumcdn.net/cfile/cafe/2216CD3759179B7917)
![](https://t1.daumcdn.net/cfile/cafe/255D353759179B7E14)
![](https://t1.daumcdn.net/cfile/cafe/214B033659179CBD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