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조치 vs 시정조치
지속적 개선의 방법으로 예방조치와 시정조치가 실행되고 있는 데,
간단히 말하면
예방조치은 "아직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잠재해 있는 부적합에 대한 조치"이고
시정조치는 "이미 발견된 부적합에 대한 조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방조치 및 시정조치에 대한 용어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 예방조치
잠재적인 부적합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잠재적 상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
비고1 : 잠재적인 부적합에는 하나 이상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비고2 : 예방조치는 발생 방지하기 위하여 취해지는 반면, 시정조치는 재발 방지하기 위해 취해진다.
● 시정조치
발견된 부적합 또는 기타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
비고1 : 부적합에는 하나 이상의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비고2 : 시정과 시정조치는 구별된다.
☞ 시정조치의 5단계 : ①시정 ②원인분석 ③수평전개: 유사부적합사례조사 및 조치
④ 재발방지대책 수립 및 실시 ⑤ 효과 확인
● 시 정
발견된 부적합을 제거하기 위한 행위
☞ 즉, 시정은 부적합 제거 만 하는 것.
[원 문]
● Preventive Action
action to eliminate the cause / of a potential nonconformity or other undesireable situation.
Note1: There can be more than one cause for a potential nonconformity.
Note2: Preventive action is taken to prevent occurrence / whereas preventive action is taken to prevent recurrence.
● Corrective Action
acton to eliminate the cause of a detected nonconformity or other desired situation.
Note1: There can be more than one cause for a nonconformity.
Note2: There is a distinction between correction and corretive action.
● Correct action
to eliminate a detected nonconform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