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카페를 훓어 보던 중에 두통으로 더러 고생을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 것 같아
간단하게 두통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사실, 머리가 아프다고 하면 지레 겁부터 나는게 인지상정입니다.
인간의 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하면 바로, 인간의 모든 기능을 컨트롤 하는 머리와 혈액펌핑과 호흡을 담당하는 심장과 폐일 것입니다.
따라서 아스피린과 같은 진통제로 해결이 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머리가 지끈거리면서 아픈 두통이 몇일 동안 지속되면서 사라지지 않으면 온갖 생각들이 들게 됩니다. 목과 어깨도 통증이 전달되기 시작하면 두려움 그 자체입니다.
이쯤되면 경상대병원에 가서 CT를 찍어봐야하는 건 아닌지 걱정들을 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두통에 대해서 안다면 두통은 크게 걱정할 것이 아닙니다.
아래의 설명을 한번 보시죠.....
두통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긴장성 두통과 혈관성 두통이다.
먼저, 혈관성 두통은 5개의 대뇌혈관, 즉 전대뇌동맥, 중대뇌동맥, 후대뇌동맥, 경동맥, 추골동맥의 문제(폐색 혹은 출혈)로 인해 뇌압이 상승하면서 증가된 압력이 통증수용기를 자극하기 때문에 두통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은 고혈압, 심장병, 중풍, 낙상이나 교통사고 혹은 외부타격에 의한 외상이 있을 때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선행질환이나 병력이 없었다면 긴장성 두통일 가능성이 높다.
혈관성두통은 전체 두통의 약 10% 정도이며, 나머지 90%는 근육의 긴장에 의해 나타나는 긴장성 두통이다.
긴장성 두통(tension-type headache)이란 목 주위근육들의 긴장에 의해 두통이 나타나는 것이며, 이러한 두통은 편측으로 오는 편두통, 후두통, 전두통 두정부통증 등 다양하게 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두통이 출현하는 곳이 어딘가에 따라서 관련근육이 무엇인지 추정할 수 있다.
아래 그림에서 보듯이 목빗근(흉쇄유돌근, SCM)이 아프면 후두통, 두정부 및 눈쪽으로 통증이 방사되어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목뒤쪽에 있는 머리널판근이 아프면 머리꼭대기에 통증이 나타나며, 위등세모근(상승모근, upper trapezius)이 아프면 편두통이 나타나며, 목갈비근(사각근, scalenus)이 아프면 어깨와 가슴앞쪽, 어깨뼈안쪽과 팔뒤쪽,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통증이 방사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목빗근에 의한 두통발생 패턴]

[머리널판근에 의한 두통발생 패턴]

[위어깨세모근에 의한 두통발생 패턴]
따라서 치료점은 두통이 나타나는 머리가 아니라 목 주위근육이 되는 것이다.
어느 근육이 문제인지 모르겠거던, 목 주위근육을 지긋이 문지르듯이 마사지를 하면서 찾아볼 수 있다. 즉, 눌렀을 때 두통이 발생하는 근육이 있다면 그 근육이 원인근이며, 두통이 사라질 때까지 해당 근육을 치료하면 두통은 사라진다.
본원은 근골격계 질환을 전문적으로 치료를 하는 곳입니다.
그리고 도수치료가 특화되어 있는 곳입니다.
야간진료도 진행하고 있으니 언제든지 내원하시면 친절한 상담과 함께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해결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진료시간
평일 : 오전 9시부터 저녁 9시까지
토요일과 공휴일 :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진료문의 : 763-40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