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오염된다.
피부와 의류· 기타 세탁류 등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세탁세제가 개발되고 유통되고 있다.
세탁세제의 다양화로 인하여 세제의 주 원료인 계면활성제도 많은 종류가 개발되고 있다.
계면활성제만으로 제조된 세탁세제는 세탁물의 얼룩이나 오염물질 등을 깨끗하게 제거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표백효과를 위하여 과탄산소다를 첨가하여 세탁세제를 제조하게 된다.
과탄산소다는 세탁물의 얼룩· 오염물질 등을 물에 녹는 물질로 변화시켜서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과탄산소다를 세제로 사용할 때 피부· 세탁물의 섬유종류와 염색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한다.
과탄산소다는 화학물질의 산화표백제 일종이며 탄산소듐(sodium carbonate)과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
ide)의 부가 생성물이다.
과탄산소다는 강염기성이며 맨손으로 만지면 피부조직이 손상되고 잘못 사용하면 피부의 지방질을 녹이거나
면역을 약화시켜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아토피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인체는 여드름균· 표피포도상균· 결핵균 등 많은 상재균과 미생물 등이 존재한다.
이들은 의류나 침구 등에 서식하며 인체에서 분비되는 각질· 피지 등을 먹이로 삼아 번식 하며 인체에 여러 가
지 세균 및 피부 장해 등의 질병이 유발시키기도 한다.
세탁세제는 미세먼지 등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깨끗이 세척해주어야 하며 의류· 침
구 등에 서식하고 있는 미생물 등도 살균시키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흰 세탁물의 얼룩 등을 깨끗하게 제거 하려면 화학반응을 일으켜야 한다.
흰 세탁물의 얼룩 등 지워지지 않는 때나 유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이며 이를 다시 흰 색으로 복귀 시키려면 유기
화합물을 분해시켜야한다.
이를 표백(bleaching)이라 하며 사용되는 물질을 표백제라 한다.
세탁세제의 대표적인 표백제는 과탄산나트륨(sodium peroxocarbonate)이다.
과탄산나트륨(영어) = 과탄산소다(일어)
친환경세제는 기본적으로 바디워시 대용으로 사용해도 손색이 없어야 합니다.
"독백의 천연세제 총정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