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장
上善若水.
(도道의 본체인 자연自然을) 가장 잘 일삼는 바는 물인 듯하다.
古之聖人, 多以水喩道, 盖水, 生於天, 一, 其質, 輕淸, 而道體, 無所遮隔, 故也. 老子之道要, 在全其氣之本始. 故亦以水喩善.
옛날의 성인이 자주 “물”로써 도(道; 自然)를 비유한 것은 이른바 “물”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는) 하늘(과 땅으)로부터 생겨난 하나로서, 그 본체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에 대해) 가벼우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에 대해) 맑은데, 따라서 도道의 본체(體·質; 自然)가 (그 본체를) 물리치거나 멀리하는 바를 가지는 바가 없기 때문이다. 노자가 일컬은 도(道; 自然)는 그 기(氣; 太極·陰陽)의 근원(本; 無極·性·無爲)과 시작점(始; 無極·命·無爲)이며, (노자가 일삼은) 본체(要·體; 自然·性·命)는 (그 근원에 온전하게) 자리하게 하고, (그 시작점을) 온전하게 (따르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른바 (노자는) “물”로써 (그것을) “(가장) 잘 일삼는 바”를 비유한 것이다.
水善利萬物而不爭, 處衆人之所惡, 故幾於道矣. 幾, 平聲.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잘하지만, (만물과 더불어 자신의 공능功能을) 다투지 않으며,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에 (잘) 머무는데, 따라서 도道에 거의 가깝다. 기幾는 평성(平聲; 1성)의 기幾이다.
此, 終若水之意. 故冠之以一水字也. 善利, 不爭, 冲也. 處人所惡, 謙也. 惟謙與冲, 故幾於道矣.
이 문장은 (앞 문장의) “물인 듯하다若水”(는 말)의 뜻을 보충하는 문장이다. 따라서 (노자는 이 문장의) 앞머리에 한 번만 “수水” 자를 쓴 것이다. “(물이 만물을) 이롭게 하기를 잘하지만”, “(만물과 더불어 자신의 공능功能을) 다투지 않는 것”은 (“물”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을) 텅 비우기 때문이다. “(물이) 세상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에 (잘) 머무는 것”은 (“물”은 상대를) 존중하여 (자신을 상대의 아래로) 낮추기 때문이다. (“물”은) 오로지 (상대를) 존중하여 (자신을 상대의) 아래로 낮추며,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을) 텅 비우는데, “따라서 (물은) 도(道; 自然)에 거의 가깝다는 것이다.”
居善地, 心善淵, 與善仁, 言善信, 政善治, 事善能, 動善時.
자리함이 땅처럼 (하기를) 잘하고, 마음씀이 연못처럼 (마음쓰기를) 잘하며, (백성과) 더불어 함이 (땅처럼) 어질게 (더불어) 하기를 잘하고, 말함이 (땅처럼) 미덥게 (말)하기를 잘하며, (백성을 다스림이 (땅처럼) 다스리기를 잘하고, (사안을) 일삼음이 (땅처럼) 공능 내기를 잘하며, 움직임이 (땅처럼) 때 맞추기를 잘한다.
此, 終上善之意. 故中之以七善字也. 避高處下, 居之善乎! 地也. 涵泓不露, 心之善乎! 淵也. 利用溥遍, 與之善乎! 仁也. 當就卽就, 言之善乎! 信也. 百物待足, 政之善乎! 治也. 險易隨宜, 事之善乎! 能也. 通而後行, 動之善乎! 時也.
이 문장은 (앞 문장의) “가장 잘 일삼는 바上善”(라는 말)의 뜻을 보충하는 문장이다. 따라서 (노자는 이 문장의) 중간에 일곱 번이나 “선善” 자를 쓴 것이다. (일부러 일삼은) 높은 데를 피하고, (저절로 그러한) 아래에 “머무는 바”, “자리하는 바”가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비유컨대) “땅”(의 모양과 모습)이다.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을 “마음” 안으로) 잠기게 하고 빠지게 해서 (그것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 바, “마음”이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비유컨대) “연못”(의 모양과 모습)이다. (자신의) 뛰어남이 (저절로 그러하게) 널리 (백성에게) 미치게 하며, (자신의) 쓰임새가 (저절로 그러하게) 두루 (백성에게) 이르게 한 바, (임금이 백성과) 더불어 함이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따라서 “땅”처럼) “어질어지게 되는 것仁”이다. 마땅할 때 내뱉고, 적절할 때 내뱉은 바, “말”이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따라서 “땅”처럼) “미더워지게 되는 것信”이다. 온갖 물건이 구비되고 충족된 모양과 모습, “다스림”이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비유컨대, “땅”의) “다스림”이다. 어려움과 쉬움이 마땅함을 따르게 된 바, “(사안을) 일삼음”이 “(가장) 잘 일삼아진 바”이다! (비유컨대, “땅”의) 공능功能이다. (다른 사람과 더불어) 어우러진 채, (다른 사람을) 뒤따라 나아가는 바, “움직임”이 (“때” 맞춤을) “(가장) 잘 일삼은 바”이다. (비유컨대, “땅”의) “때 맞춤”이다.
夫惟不爭, 故無尤.
이른바, (물은) 오로지 (만물과 더불어 자신의 공능功能을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는데, 따라서 (만물을 일삼는 데 있어서) 허물을 가지는 바가 없다.
總結上文, 不爭, 應水, 無尤, 應善.
(이 문장은) 위의 문장을 총결한다. “(이른바, 오로지, 세상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더불어 자신의 공능功能을 일부러 일삼아) 다투지 않아야 하는데, (따라서) 물(이 만물을 일삼는 모양이나 모습)과 (더불어) 어우러지게 되고, (따라서 사안을 일삼는 데 있어서) 허물을 가지는 바가 없게 되며, (따라서 가장) 잘 일삼는 (사안의) 모양이나 모습과 (더불어) 아우러지게 된다.”
右第八章.
여기까지가 제8장에 대한 풀이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